[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밈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로버트 파)] [목차] [clearfix] == 개요 == Traumatized Mr. Incredible 또는 People Who Don't Know vs. People Who Know에서 시작한 밈이다. == 유래 == [[트위터]] 유저 [[https://twitter.com/CitizenPlain|Nathan Shipley]]가 영화 [[인크레더블 2]]의 [[등장인물]] 4명인 [[대쉬 파]], [[헬렌 파]], [[로버트 파]], 그리고 [[인크레더블 시리즈/등장인물#s-4.1.2|윈스턴 데버]]의 [[컨셉아트]]를 StyleGAN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로 [[실사체]] 스타일로 재구성한 이미지[[https://twitter.com/CitizenPlain/status/1316760510709338112|#]]에서 유래되었다. 처음엔 [[로버트 파]]의 [[그림]]으로 두 가지를 [[비교]]하는 용으로 쓰이다가 [[2020년]] [[11월 10일]] 레딧 유저 PARILIZEDpArrOT243가 [[학교]]에서 [[https://knowyourmeme.com/photos/2191049-traumatized-mr-incredible-people-who-dont-know-vs-people-who-know|선생님의 문서 & 학생이 받은 것]][* 교사들이 교무에 쓰는 문서의 인쇄 퀄리티는 좋은데, 학생들에게 배부하는 문서의 퀄리티는 복사를 하여 열화되었고 질도 좋지 않다는 경험을 주제로 이야기 한 것이다. 한국에서도 처음에는 [[A4]]지에 [[컴퓨터]]에서 직접 컬러 프린트를 사용하지만, 대규모로 배부하는 가정통신문이나 시험지는 질이 낮은 [[갱지]]에 한번 뽑은 것을 복사해 열화시키면서 지독한 잉크 냄새가 나는 [[흑백]] 프린트로 뽑혀진 것을 받아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라는 이름으로 실사화된 오른쪽을 무섭게 흑백화한 짤을 올리면서 퍼지게 되었다. == 쓰임새 == 원본 이미지와 흑백화한 실사화 이미지를 비교하려는 두 가지 대상에 대응시켜 고퀄리티와 저퀄리티의 대립을 표현하거나, [[치명적 유해물|겉만 보면 멀쩡해보이지만 속은 잔혹한 작품]]을 모르고 있는 사람 vs 알고있는 사람 식으로 ([[쓰르라미 울 적에|예시]] [[https://i.kym-cdn.com/photos/images/original/002/205/473/25d.png|#]])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반대로 로버트 파 이미지들의 순서를 바꿔놓은 버전들도 나타났다. 또한 점차 사용되는 양식이 많아짐에 따라 두 가지 시나리오/상황을 비교하는 경우도 생겼다. 이 경우에는 원본 이미지가 좋은 상황을 나타내면 기괴해진 흑백 이미지는 영 좋지 않거나 나쁜 상황을 나타내는 경우로 많이 쓰인다. 2021년 말부터는 이 사진들을 활용해서 만든 하단에 나오는 영상 버전이 유행하기 시작했고, 2022년에는 거기서 [[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파생 밈|파생]]된 버전들도 나와서 유행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두 이미지를 나란히 놓고 비교하는 내용이라 만드는 난이도가 무척 쉬워서 초보자들도 손쉽게 제작할 수 있고, 이런 점 때문인지 '영상'이 유행한 지 2달이 넘도록 인기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여기에 파생 버전들도 더 만들어지는 상황이라 evolving Meme (진화하는 밈) 이란 별명까지 생겼다. 게다가 로버트뿐만 아니라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실사화 사진을 가지고 만든 버전들도 서서히 등장하고 있으며, 아예 다른 [[픽사]] 캐릭터나 [[진격의 거인]]의 [[옐레나(진격의 거인)|옐레나]]를 비롯한 다른 작품의 캐릭터들을 대상으로 만든 버전들도 생기는 듯 하다. 이런 인기 때문에 한국과 일본에서도 점점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 [[TikTok|틱톡]]에서 이러한 것들을 빠른 속도로 양산하고 있다. == 문제점 == 이 밈이 한국에 수입된 이후 [[잼민이|저연령층]]의 질 낮은 영상이 계속 양산되고 있어서[* 대표적으로 스토리이며 대부분이 어디로 감->어떤 일이 일어남->그 일은 지하실의 바람때문->지하실에 창문 없음->누군가가 다가옴->그 후 좋은 일이 일어남-- 또는 개같이 멸망하는-- 식이다.] 결국 다른 밈들처럼 [[억지 밈]]으로 전락해버리고 말았다. 한국보단 덜하지만 서양권에서도 질 낮은 영상이 양산되고 있고[* 사실 이쪽도 한국 못지 않게 심하다. 아예 'Kracc Bacc' 같은 몇몇 유명 밈 창작자들은 이러한 저질 밈을 양산해내는 [[잼민이|저연령층을 풍자한 밈(...)]]을 업로드하며 신랄하게 까는 중이다.] 파생 밈 문서에 서술할 Mr. Incredible Becoming idiot이나 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 - disturbing facts의 경우 동영상들 간의 내용 중복이 많다. 또한 외국에서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주제로 한 영상들이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했는데, 이를 두고 일각에선 [[전쟁]]을 유머로 풀어낼 우려와 [[고인드립]]으로 비춰질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 [[TikTok|틱톡]] 유저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와 비슷하게 [[https://twitter.com/Eletrico_1130/status/1515273298225295361?t=HYleKXGuitHXhq4VbYkxbg&s=19|[[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를 해당 밈으로 풀어낸 영상]], 그리고 [[https://www.youtube.com/watch?v=0Rgn0PHiclU|[[도카이 촌 방사능 누출사고]]]]를 다룬 영상도 있는데, 링크를 타고 가면 알 수 있듯이 고인드립이 아니냐며 비판이 크다.[* 그냥 뇌절 양산형 영상이라면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될 것은 없지만 저런 식으로 세월호 피해자가 사고에서 느꼈을 공포감을 아무 생각도 없이 유가족의 마음에 큰 금을 만들게 하는 밈으로 희화화 하고, 보는 이들로 하여금 역겨움을 일으키는 밈 영상을 만드는 것은 세월호 참사 사건의 피해자와 제 3자에게 큰 불쾌함과 상처를 주는 짓이다.] 그리고 요즘엔 거의 다른 혐짤들이 쓰여져 [[로버트 파]]가 없는 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가 되며 뇌절 밈이 되었다.[* 주로 [[Trollge]]나 [[Wojak]] 합성들이 주를 이루며 나와 통일성이 사라지며 페이즈가 내려가면서 로버트 파의 형상은 안 보이는 것이다.] == 상세 밈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8IRaMc1AiU, width=100%)]}}} || ||<-4> '''{{{#fff 기본적인 밈의 형태}}}'''[br]{{{#fff 점점 기괴해지는 사진들에 공포스러운 BGM을 틀어주는 밈이라서 3페이즈 이후로는 호러물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면 이 밈이 불쾌할 수도 있다. 특히 11페이즈 이후로는 더욱 심하다. 대체로 영상의 옆에 [[로버트 파]]의 표정과 일치하는 상황의 이미지를 넣는다. 영상이 혐오스러울 수 있으니 주의 바란다.}}} || || '''{{{#fff 페이즈}}}''' || '''{{{#fff 시간}}}''' || '''{{{#fff 설명}}}''' || '''{{{#fff BGM}}}''' || || '''1''' || 0:00 || 원본 이미지[br]가장 평범한 상태를 나타낸다. || [[마이클 지아키노]] - [[https://www.youtube.com/watch?v=vs4DNJxG4v4|Life's Incredible Again]][* 고화질 버전은 원곡을 그대로 사용하나 오리지널의 경우 [[https://youtu.be/DNnX5Lf_5hQ|약간 피치를 낮춘 버전]]을 사용한다.][br](인크레더블 테마곡) || || '''2''' || 0:03 || StyleGAN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로 실사화 스타일로 재구성한 이미지[*A 해당 페이지에서 나오는 사진을 세부적으로 나누면 3D인 사진과 3D와 2D를 합친 사진과 2D인 사진으로 나누어 지지만 3개의 사진 모두 거의 비슷하다.(단, Uncanny의 파생인 old meme의 경우 3D이미지만 쓴다.)][[https://twitter.com/CitizenPlain/status/1316760510709338112|#]][br]무난한 상태를 나타낸다.[* 원본과 Canny 버전에 비해 이미지 색감이 '''미묘하게 깨져 있다.'''] || [[케빈 매클라우드|Kevin MacLeod]] - [[https://www.youtube.com/watch?v=2SppruC0G5k|Sneaky Adventure]] || || '''3''' || 0:07 || 실사화를 흑백화시킨 버전[br]여기서부터 6페이즈까지 [[https://www.youtube.com/watch?v=tPYAiGRPk6w|해당 원본]]에서 유래되었다. || [[마이클 지아키노]] - [[https://www.youtube.com/watch?v=ado4K7FUOOk|Life's Incredible Again - distorted]][br]([[귀갱]]으로 변조된 인크레더블 테마곡) || || '''4''' || 0:10 || '[[https://en.wikipedia.org/wiki/Derrick_Todd_Lee|데릭 토드 리]]'의 [[https://www.reddit.com/r/creepy/comments/pxn20/police_sketch_of_serial_killer_derrick_todd_lee/|몽타주(열람주의)]][* 참고로 이 페이즈는 눈치채기 어렵지만 두 가지 종류가 돌아다니는데, 하나는 위 영상에 나오는 몽타주에서 오려낸 티가 거의 나지 않는 [[https://www.youtube.com/watch?v=M_HSLao8Vm4|오리지널]]이고 나머지 하나는 몽타주에서 오려낸 흔적이 [[https://youtu.be/tut7lWCkADU?t=10|눈에 확 띄는 고화질]]이 있는데, 위 영상에 있는게 오리지널이다.]를 합성한 사진 ||<|3> [[자살하는 쥐]] [[https://www.youtube.com/watch?v=ZgWPbnwsIeE|테마곡]][* 4번째의 경우 영상을 틀자마자 나오며, 5번째의 경우 5분 6초, 6번째의 경우 6분 10초에 나온다. 뒤로 갈수록 점점 공포성이 심화된다.] || || '''5''' || 0:13 || 영화 [[대부(영화)|대부]]의 포스터처럼 눈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명도를 낮춘 흑백 실사화 || || '''6''' || 0:17 || 4페이즈의 모습에서 입 부분만 없앤 뒤 더욱 더 흑백화 시킨 사진[* 간혹 이 때 4페이즈에서 명도가 낮아진 버전이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오리지널이 아닌, 한 팬에 의해 2차 창작된 HD 버전이다. [[https://youtu.be/CtriR_l5WSc|이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두 가지 종류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단, 페이즈 4의 각주에서 설명한 몽타주 사진을 오려낸 티가 나는게 나오면 페이즈 6에선 명도가 매우 낮은 데릭 토드 리의 몽타주를 합성한 사진이 나온다.] || || '''7''' || 0:19 || 5페이즈에서 더욱 명도를 낮춘 사진 || [[https://youtu.be/ldV-bLG1yqA?t=53|시베리아 지하의 지옥 비명]] || || '''8''' || 0:24 || 7페이즈에서 대비가 늘어났으나 눈동자가 보이고 오싹하게 웃고 있는 사진 || Repulsive - [[https://youtu.be/5uSKe49aUtg|Cry of unheard]] || || '''9''' || 0:30 || 흑백의 해골과 합성한 사진[*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좀 더 하얀빛이 돌고 입을 조금만 벌린 해골과 검은빛에 입을 크게 벌린 해골이 있다.] || [[Sonic.exe]] - [[https://www.youtube.com/watch?v=H1opgCstxyw|Hill]] || || --'''9.5'''-- || 없음[* 이 또한 일부 영상에만 있고 여기엔 없다.] || --어두운 화면에 있는 로버트 파의 눈알--[* 원래 밈이 유행한 초기에 만들어진 소수의 영상에 포함되어 있었는데, 무슨 이유인지 어느 순간부터 안 보이기 시작하더니 현재 거의 없어졌다. 확장판에서 생긴 총소리나 추가 확장판보다 찾기 힘들 정도. [[https://www.youtube.com/watch?v=xvJ4zyRk7r0&t=44|#]] 이 링크를 통해 그 모습을 볼수있다.] || --[[알레산드로 모레스키]] - Ave Maria -- || || '''10''' || 0:44 || 굉장히 슬퍼보이는 [[Trollge]](로 변해버린 로버트 파) || [[더 케어테이커]] - [[Everywhere at the end of time|'It's just a burning memory']]의 변형 [[https://www.youtube.com/watch?v=36hM0QvYpTA|#]][br]([[알 보울리]]의 Heartaches 리믹스를 느리고 암울하게 변조시킨 버전) || ||<-4>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확장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ut7lWCkADU, start=54, width=100%)]}}} || ||<-4> '''{{{#fff 확장판}}}''' || || '''{{{#fff 페이즈}}}''' || '''{{{#fff 시간}}}''' || '''{{{#fff 설명}}}''' || '''{{{#fff BGM}}}''' || || --'''8.5'''-- || 없음[* 일부 영상에는 존재하고 이 영상에는 있지 않다. 대신 적은 편은 아니니 찾아보기 쉽다. [[https://www.youtube.com/watch?v=VOCRxEMXhVM&t=53|#]] 이 링크를 통해 총소리를 들을 수 있다.] || --탕!-- || --[[총]] 소리-- || || '''11''' || 0:54 || 우울한 상태에서 어두운 방 안에 있는 [[Trollge]]의 모습 || Repulsive - [[https://youtu.be/8CFPYw4weaE|Kyomi's Lullaby]] || || '''12''' || 0:58 || 해골처럼 기괴하게 합성된 붉은 [[Wojak]] || Repulsive - [[https://youtu.be/NyD4cOlSs4M|Starvation]] || || '''13''' || 1:03 || 사악한 [[썩소]]를 짓고 있는 [[Trollge]]의 모습[br]([[https://youtu.be/-5p8EO_UIGY?t=18|원본은 원래 움짤이다]]) || Repulsive - [[https://youtu.be/C1JspRvVTJA|Judah's Lullaby]] || || '''14''' || 1:07 || [[피눈물]]을 흘리는 Trollge의 모습[br]([[https://www.deviantart.com/oppositeofface/art/TROLL-FACE-exe-876582839|원작자]]) || Repulsive - [[https://youtu.be/CunvBXTAt9E|In The Dark]] || || '''15''' || 1:15 || 해골에 작은 눈을 합성한 사진 || [[Sonic.exe]] - [[https://www.youtube.com/watch?v=H1opgCstxyw|그린 힐 존 테마곡]][br](낮은 음조(단6도 아래)로 변조되었다.) || || '''16''' || 1:24 || [[A Hat in Time/등장인물#Queen Vanessa/바네사 여왕|바네사 여왕]]마냥 검은 화면 속에서 긴 머리카락에 붉은 눈이 쳐다보는 장면[[https://www.olympusproperty.com/apartments/ga/brunswick/odyssey-lake/blog/get-in-the-halloween-spirit-with-these-4-scary-ghost-tours|#]][* 원본 출처가 구형 보니란 얘기도 있지만 이 짤이 원본이다.][br]유일하게 움짤이다. || [[Sonic.exe]] - [[https://www.youtube.com/watch?v=tJFcsSUm0As|로보트닉 테마곡]][br](낮은 음조로 변조되었다.) || || '''17''' || 1:36 || 절규하는 표정 [[https://youtu.be/GaQJasZkXbQ|#]][* 최근에는 이 사진이 뭔지 알아볼 수 없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할로윈 인형의 흑백 버전으로 치환한 버전이 나오고 있다.] || Sonic.exe - [[https://www.youtube.com/watch?v=ayqCSS-fkxk|게임오버 테마곡]][br](낮은 음조(단6도 아래)로 변조되었다.) || || '''18''' || 1:45 || 흑백 화면의 얼굴이 심각하게 일그러진 남자[br]([[https://www.flickr.com/photos/127297977@N05/15423421559/|원작자'''(열람시 주의)''']])[* 이 이미지를 제작한 Fredrik Andreasson 본인의 얼굴이다.] || 공포 영화 트랙맨의 OST & 러시아 자장가 민요[br][[https://www.youtube.com/watch?v=nnUFsDzvXBU|Tili Tili Bom 원본]][br][[https://youtu.be/hTnzZpnPlE8|Tili Tili Bom '''변조'''('''썸네일 주의''')]][br](과하게 낮은 음조(단10도 아래)로 변조되었다.) || ||<-4>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추가 확장판 펼치기 · 접기 (섬네일 주의)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tYtLbJkwV8, width=100%)]}}} || ||<-4> '''{{{#fff 추가 확장판}}}''' || || '''{{{#fff 페이즈}}}''' || '''{{{#fff 시간}}}''' || '''{{{#fff 설명}}}''' || '''{{{#fff BGM}}}''' || || '''2.5''' || 0:00 || 맨 위 페이즈 2에 나오는 실사화 흑백 사진이 검은 두줄기의 눈물을 흘리고 있는 사진 || [[유메닛키]] - Shield Folk World || || '''5.5''' || 0:10 || 페이즈 5의 사진의 눈과 입에 포토샵으로 넓히고 그 안에 눈들을 그려 넣은 사진[* 이 페이즈가 나올 경우 5페이즈 다음에 나와야 하는 6페이즈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 [[Five Nights at Freddy's 3]]의 [[https://www.youtube.com/watch?v=EG757bPPXZQ|배드 앤딩 테마]] [* 1924년 사우디의 EAS(Emergency Alert System(긴급 경보 체계)가 [[https://m.youtube.com/watch?v=W5tMQEdD7NA|원본]]이다.] || || '''9.5''' || 0:22 || 위의 사진에 붉게 하고 더욱 포토샵을 하여 왜곡시킨 사진 || [[Roblox]] - [[https://www.youtube.com/watch?v=A6aDgHilTlg|Halloween 2]][br](0.1배속 재생) || || '''9.75''' || 0:30 || 9.5페이즈 사진에서 조금 더 왜곡시킨 뒤 입 부분에 눈을 추가한 사진[* 일부 사람들은 이 사진이 웃는 표정을 하고 있어서 되려 웃기다고 반응하기도 한다.][* 또한 이 장면에 삽입된 BGM의 [[https://arca.live/b/spooky/44518747?p=1|앨범 아트]]로도 쓰였다.] || myuu - [[https://www.youtube.com/watch?v=fjUsMRrCVcs|It's a Small World]][br](역재생) [[https://www.youtube.com/watch?v=fjUsMRrCVcs|역재생]] [* [[디즈니랜드]]의 놀이기구의 테마곡인 [[It's a Small World]]를 공포스러운 [[피아노]] 톤으로 어레인지 한 다음 역재생 한 것이다.] || || '''11.5''' || 0:43 || 흑백으로 편집된 [[핏쨩]]의 모습.[br] 11페이즈와 12페이즈 사이에 삽입된다. [[https://livedoor.blogimg.jp/haragurosokuho/imgs/b/3/b3f77324.jpg|원본]](공포주의) || myuu - [[https://www.youtube.com/watch?v=ODIyUwS2p2M|Angst]] || }}}}}}}}}}}} || }}}}}}}}}}}} || 2021년 12월 부터는 위의 실사화 이미지를 사용하는 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라는 영상 버전이 등장했다. [[로버트 파]]의 사진에 어떤 대상을 빗대어 표현하는 방식은 이전부터 만들어진 이미지 버전과 비슷하지만, 영상 버전에서는 로버트의 실사화 이미지를 더욱 기괴하게 변형시킨 여러 이미지들이 차례대로 등장하면서 이 이미지들에 비유되는 대상들이나 상황들이 점차적으로 악화되어가는 것을 나타낼때 쓰인다. 특히 뒤로 갈수록 로버트 파의 이미지가 단계적으로 기괴해지고 흑화되다가 마지막 단계에는 아예 로버트 파가 아닌 [[Trollge]]가 나오는 걸로 최악의 상황을 표현하며 끝나는 경우도 많다. 차례대로 기괴해지는 내용은 서양 인터넷에서 몇년 전부터 쓰이던 [[빙산의 일각]]과 유사한 개념으로도 쓰이는 듯 하다.[* 수면 위로 보이는 부분에는 대중적이거나 밝은 요소를 놓고, 깊어질수록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요소들이나 심오한 것들을 넣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2022년]] [[1월]]부터는 10페이즈를 가볍게 넘기는 확장된 버전들도 많이 만들어져서 쓰이고 있다. 위에 있는 영상인 18 페이즈까지 있는 버전이 보통 주요 템플릿으로 쓰이는 편이다. 그러나 아예 '''40 페이즈'''까지 [[https://www.youtube.com/watch?v=6lgw70ufxVM|있는]] 경우도 있는데다, 페이즈 사이를 또 세부적으로 나누는 중간 페이즈와 [[Trollge]]영상에서 가져온걸 붙이는 사례까지 [[https://www.youtube.com/watch?v=Z3CbjIALpCw&t|생기는 중(주의)]]이라서 늘어난 페이즈들에 더 기괴한 사진들이 이어서 나오는 버전들도 늘어나고 있다. 심지어 '''[[https://youtu.be/WotdkXS5PxQ|30분을 넘는]]''' 버전과 '''[[https://youtu.be/BwUvp54B7aw|40분쯤 되는 버전]]'''[* 여기서는 [[Wojak]]이나 Trollge 말고도 사이렌 헤드, 징징이, 제프 더 킬러 같은 것들도 나온다.][* 30분 버전처럼 canny 버전도 확장되었는데, 이 영상의 후반부에는 [[64 bits 32 bits 16 bits 8 bits 4 bits 2 bits 1 bit]] 도 나온다.], '''[[https://www.youtube.com/watch?v=eLA84heiafs|6시간을 넘는 버전]]'''[* 이쪽은 Canny 버전의 확장판까지 포함했다. 점점 기괴해지다 마지막엔 코즈믹 호러 수준으로 변하고 갑자기 원래대로 돌아오는 게 일품이다.][* 여담으로 5:22:57에서 곤지암 귀신이 얼굴을 비춘다.]도 나왔다. 이후 [[https://www.youtube.com/watch?v=x2zwwpIDTHQ&t=34037s|10시간을 넘는 버전과]] '''[[https://www.youtube.com/watch?v=s7RQ8TE8aqU&t=5505s|11시간을 넘는 버전,]] [[반나절]]을 넘는 버전까지 나왔다!! [[https://youtu.be/h19kaY8IkMo|#1]] [[https://youtu.be/6xG1bsgMfvk|#2]] '''[* 모두 제프 더 킬러 등의 혐짤을 사용하고 비명소리 등의 음성도 사용하니 열람에 주의를 요한다.] [* 참고로 [[반나절]]을 넘는 버전은 유튜브 최대 재생시간 12시간을 넘었기 때문에 2개로 분리되었다.] 이런 식으로 페이즈를 더 확장한 버전들도 나오고 있으며, 이중 일부는 시간을 끌거나 더 공포스럽게 보이려고 무리하게 포토샵을 한 사진을 넣기도 하기 때문에 과도하게 우려먹는다는 비판이 있으며 그리고 페이즈 10을 넘어서부터는 [[Wojak]]이나 [[Trollge]]같이 로버트 파가 아닌 다른 캐릭터들이 나오는 경우들이 많으며 아예 변조한 귀신이나 악마의 사진들도 쓰이듯이 로버트 파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고 그냥 공포스러운 이미지만 넣어놓는 경우가 많아 통일성이 사라졌다. 이런 점 때문에 정작 로버트 파과 무관한 사진들이 더 쓰이는것 같은게 아이러니하다는 말도 있다. [* 한편으로는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여기에 나오는 공포스러운 이미지들도 허구한날 보이는 밈으로 전락해 버리기 시작하면서 이제는 여기 나오는 공포 사진들에 면역이 생겨서 더 무섭지도 않고 되려 웃기다는 반응들도 많아지는 추세이다.] 같은 시기 인기가 급상승한 [[The Backrooms]]와 [[리미널 스페이스]]를 주제로 한 영상도 급격히 양산되고 있으며 3월 들어서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주제로 한 영상이 급격히 양산중이다. 이젠 아예 음악으로 리믹스해서 만들기까지 하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4VMnzTxszsg|#]] 최근에는 [[https://youtu.be/ZuhqyTfVj1A|고화질 버전]]이 나오기도 했다. BGM에 더 공포스러운 효과가 생기고 9페이즈 같은 것들은 아예 사진도 현실적으로 변했는지라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 대한민국 한정으로 [[절망]]편이라고 불린다.[* 반대로 [[Mr. Incredible Becoming Canny|Mr. Incredible Becoming Canny 버전]]은 대한민국 한정으로 [[희망]]편이라고 불린다.] [[https://youtu.be/CtriR_l5WSc|이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두가지 종류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 [[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파생 밈|파생 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파생 밈)] == 여담 == * [[Mrincredible]]처럼 이것만으로 '''구독자 수 4만 이상을 찍는''' 유튜버들이 점점 나오기 시작했다. * 아예 로버트 파 말고 다른 캐릭터가 안 좋아지거나 좋아지는 변형도 많이 나오고 있다.[* [[헬렌 파]]가 주로 사용되며, 로버트 파와 같이 사용하여 '특정 상황에 대한 남자와 여자의 반응'을 비교하는 영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 질이 점점 떨어지는 것을 표현 한다는 점, 그것과 반대되는 변형 버전이 있다는 점에서 [[64 bits 32 bits 16 bits 8 bits 4 bits 2 bits 1 bit]] 밈과 어느 정도 유사한 면이 있다. * 어떤 상황에 어울리게 표현한다는 점에서는 [[All Endings]] 밈과 비슷하다는 말도 있다. * 공중파에서 다뤄 밈이 데스노트에 쓰여졌다.... [[https://youtu.be/hfqfMSwf9Y4|해당 영상]] * 기타로 커버하는 영상까지 생겼다. [[https://www.youtube.com/watch?v=1c1JZAHB43I|Uncanny를 커버한 버전]] [[https://www.youtube.com/shorts/Wyw7HbxqOio|Canny를 커버한 버전]] * [[고누리]][[https://youtu.be/jWTtG1WHtu4|#]]나 [[소맥거핀]][[https://youtu.be/X028SNVqoMg|#]], [[Wall Su]][[https://youtu.be/-UyFK_YfEtA|#]] 그리고 [[퍼런안경_BLAS]][[https://youtu.be/7s00ij43-y4|#]] 등 주요 구독자가 저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인기 유튜버들도 이 밈을 사용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로버트 파, version=339, paragraph=4.2)] [[분류:인크레더블 시리즈]][[분류:인터넷 밈/다국적]][[분류:인터넷 밈/캐릭터]][[분류:인터넷 밈/영화 및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