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카니예 웨스트 디스코그래피)] ||<-5><#fff> [[카니예 웨스트|[[파일:Kanye West Logo.png|width=80]]]][br]'''[[카니예 웨스트|{{{#000 카니예 웨스트}}}]]의 역대 정규 음반''' || ||<#c3cdcc> {{{#fff,#6a6b6f {{{-2 2008년 11월 24일}}}[br]{{{-2 4집}}} [[808s & Heartbreak|{{{#fff,#6a6b6f '''808s & Heartbreak'''}}}]]}}} || → ||<#EB2944> {{{#FFD03A {{{-2 2010년 11월 22일}}}[br]{{{-2 5집}}}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FFD03A '''My Beautiful Dark[br] Twisted Fantasy'''}}}]]}}} || → ||<#d6d7db> {{{#000 {{{-2 2013년 6월 18일}}}[br]{{{-2 6집}}} [[Yeezus|{{{#!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6d7db;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font-size: 1.25em" '''{{{#000 Yeezu{{{#f00 s}}}}}}'''}}} ]]}}} || ||<-5>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FFD03A,#EB2944,#EB2944,#EB2944,#FFD03A)" {{{#FFD03A '''수상 내역'''}}}}}} || ||<-5><#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201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2)] ---- [include(틀:스핀 매거진 선정 2010년대 101대 명반, 순위=6)] ---- [include(틀:인디펜던트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1)] ---- [include(틀:브루클린비건 선정 2010년대 141대 명반, 순위=13)] ---- [include(틀:슬랜트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1)] ---- [include(틀:Popkultur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1)] ---- [include(틀:Pop & Shot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4)]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3)]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50대 힙합 명반(1위~15위))] ----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1)] ---- [include(틀:Discogs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순위=12)] ---- [include(틀:NME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12)] ---- [include(틀:WHIP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 [include(틀:머큐리 뉴스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353,연도2=2020,순위2=17)]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200대 힙합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항목=201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1)]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2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26)]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앨범 차트,순위=29)] ---- [include(틀:빌보드 선정,선정=빌보드 선정 위대한 앨범 커버들,순위=33)]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연도별 1위 앨범(2000년~2019년))] ---- [include(틀:연도별 메타크리틱 최고 평점 음반)] ---- [include(틀:피치포크/올해의 앨범)] ---- [include(틀:빌보드 선정 올해의 앨범)] ---- [include(틀:롤링 스톤/올해의 앨범(2000~2019))] ---- [include(틀:스테레오검/올해의 앨범)] ---- [Include(틀:피치포크 2010년대 200대 명반)] ---- [Include(틀:스테레오검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 [include(틀:Rock NYC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2)] ---- [include(틀:Analog Planet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25)] ---- [Include(틀:Tiny Mix Tapes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27)] ---- [include(틀:Northern Transmissions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6)] ---- [include(틀: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6,순위=422,연도2=2017,순위2=277)] ---- [include(틀:tracklist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46)] ---- [include(틀:Bonafide 선정 2010년대 10대 힙합 명반)] ---- ||||<-5> [[파일:Grammy.svg|width=20]] {{{+1 {{{#000,#fff '''그래미 베스트 랩 앨범'''}}}}}} || || 2010 || || '''2011''' || || 2012 || || ''[[Recovery]]'' {{{-2 [[에미넴|{{{#8086a0 Eminem}}}]]}}} || {{{+1 →}}} || '''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br]{{{-2 [[카녜 웨스트|{{{#8086a0 Kanye West}}}]]}}}''' || {{{+1 →}}} || ''[[Take Care]]'' {{{-2 [[Drake|{{{#8086a0 Drake}}}]]}}} ||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 ---- }}} || ||||<#EB2944> {{{#FFD03A '''{{{+1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YEMBDTF.jpg|width=100%]]}}}|| ||||<#EB2944> {{{#FFD03A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오리지널 앨범 아트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m1111.jpg|width=100%]]}}}}}}}}}}}} || ||||<#EB2944> {{{#FFD03A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CD 앨범 아트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mbdtf시디.webp|width=100%]]}}}}}}}}}}}} || || '''아티스트''' || [[카니예 웨스트]] || || '''발매''' || [[2010년]] [[11월 22일]] || || '''녹음''' || [[2009년]] ~ [[2010년]] || || '''스튜디오''' || 에이벡스, 일렉트릭 레이디, 플래티넘 사운드, 글렌우드 플레이스 || || '''장르''' || [[힙합 음악|힙합]], 프로그레시브 랩, [[팝 음악|팝]][br][[팝 랩]], [[아트 팝]] || || '''길이''' || 1:08:36 + 6:03^^보너스^^ || || '''트랙''' || 13 + 1 + 1 || || '''레이블''' || [[Def Jam]], [[JAY-Z|Roc-A-Fella]] || || '''프로듀서''' || [[Kanye West]], [[MIKE DEAN]], [[RZA]], 빙크, DJ 프랭크 E, [[No I.D.]], S1 || [목차][clearfix] == 개요 == 2010년 11월 22일 발매된 [[카니예 웨스트]]의 5집 앨범. == 상세 == [[힙합]]을 넘어 가장 영향력 있는 대중음악가 중 하나인 [[카니예 웨스트]]의 최고의 걸작이다. '''21세기 최고의 앨범 중 하나'''이자, '''힙합 역사상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특정 장르와 시기를 벗어나 2010년대 이후 [[대중음악]]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위대한 앨범으로 평가받는다. 이 앨범이 만들어진 시기는 카니예의 [[카니예 웨스트/논란 및 사건 사고 #s-3.1|시상식 난입 사건]] 직후로, 당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까지도 그를 "멍청이 같다."라며 디스했을 정도로 그의 이미지가 나락에 빠진 시기였다. 대중들이 카니예를 단순히 자신감이 있고 자의식이 센 사람 수준을 넘어서 오만하고 타인에 존중 자체가 없는 무례한 사람이라고 평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칸예도 자기 인생이 이 앨범에 달려있다는 생각으로 그동안 했던 앨범 제작과는 차원이 다른 빡빡한 제작 과정을 거쳤다. 카니예는 하와이에 건물을 구매해 스튜디오로 개조, 호텔 조리사 2명을 고용해 앨범 녹음에 참여한 전원에게 뷔페 식단을 제공하는 대신 본인 스스로도 '''하루에 90분'''씩 소파에서 쪽잠을 자가면서 고강도의 녹음 과정을 이어갔다.[* 일반인은 절대로 이렇게 해서는 안 된다! 카니예는 상황상 말 그대로 목숨을 걸고 만든 것이었다.] 디깅[* 프로듀서, 리스너 등이 다양한 장르의 음반을 찾아 듣는 일을 말한다.] 역시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의 깊이로 시도되었는데, 그 예시로 수록곡 중 '[[POWER(카니예 웨스트)|POWER]]'에는 영국의 60-70년대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킹 크림슨]]의 [[21st Century Schizoid Man]]을, '[[Blame Game]]'에는 영국의 전설적인 [[앰비언트]], [[전자음악]] 프로듀서인 [[에이펙스 트윈]]의 'Avril 14th'를 샘플링[* 다만 항목에서도 볼 수 있듯이, 샘플링 사용 허가를 받지 않고 '''무단 샘플링'''을 한 곡이다.]했다. 가사 역시 이전보다 치밀하게 구성하고자 했던 카니예는 녹음실에서 즉흥적으로 가사를 완성했던 1~4집 때와는 달리 종이에 가사를 써놓고 수없이 수정해갔을 정도로 공을 들였다고 한다. 아래에 나와있는 것처럼 앨범에 들어간 돈이 어마어마한 만큼 카니예도 [[RZA]], [[No I.D.]], 마이크 딘 등의 베테랑 프로듀서진과 [[JAY-Z]], [[Raekwon]], [[니키 미나즈]], [[존 레전드]], [[본 이베어]] 등의 화려한 피처링진을 모아서 최고의 사운드를 위해 엄청나게 많은 회의를 진행했다. 그렇게 카니예는 이 앨범으로 감탄이 나올 만큼 다양한 장르의 곡들에서 따온 샘플들을 본인의 음악 색에 맞춰 적절히 다듬어 배치하고, 거기에 다량의 사운드 샘플을 중첩하여 힙합답지 않은 굉장히 빵빵하고 꽉 들어찬 사운드를 들려줬다. 이 앨범은 락이 그랬듯이 힙합이 수많은 장르를 포용하며 여러모로 힙합의 음악적 한계를 넓히는 것에 일조하였고, 힙합의 [[맥시멀리즘]]에서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도달점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카니예가 최정상급 프로듀서이면서 래퍼이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또한 힙합에 프로그레시브 록, 바로크 음악, 일렉트로니카, 소울, 챔버 뮤직 등 다양한 장르의 요소들을 받아들였다. 이런 부분이 잘 드러나는 것은 앨범의 백미로 평가받는 "[[Runaway(카니예 웨스트)|Runaway]]"인데, 길이가 9분짜리인 대곡인데다 칸예가 랩이 아닌 노래를 부르고 목소리를 변조해 일렉기타처럼 들리게 하여 연주를 마무리하는 등 전통적인 힙합음악의 형식에서 아예 벗어난 곡이다. 단체곡 [[Monster(카니예 웨스트)|Monster]]에서는 참여한 모든 래퍼가 랩을 훌륭히 해냈다고 평가받지만 그 중에서도 [[니키 미나즈]]의 커리어에 한 획을 그은 이중인격 랩이 강렬한 임팩트를 선사했으며 해당 벌스는 니키 커리어뿐 아니라 역대 여성 래퍼 벌스 중에서도 톱클래스로 뽑힐 정도의 명벌스라는 평을 받는다. 기존의 힙합과 자신의 스타일을 잘 융합해온 [[The College Dropout|1]][[Late Registration|~]][[Graduation|3집]]과 실험이 돋보인 [[808s & Heartbreak|4집]]으로 영향력을 넓혀가던 칸예는 이 앨범으로 정점을 찍어서 최고의 힙합 뮤지션일 뿐만 아니라 음악계를 이끌어나가는 거물 아티스트 중 하나로 평가되기 시작했다. == 성과 == ||||<#fff,#191919><-5> {{{+1 [[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앨범'''}}}}}} || || ''The Gift'' {{{-2 {{{#8086a0 Susan Boyle}}}}}} || {{{+1 →}}} || '''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br]{{{-2 [[카녜 웨스트|{{{#8086a0 Kanye West}}}]]}}}''' || {{{+1 →}}} || ''The Gift'' {{{-2 {{{#8086a0 Susan Boyle}}}}}} || || '''국가''' || '''인증''' || '''판매량''' || || [[미국]] || 2× 플래티넘 || 1,351,000+ || || [[호주]] ||<|2> 플래티넘 || 70,000+ || || [[덴마크]] || 20,000+ || || [[영국]] || 골드 || 100,000+ || ||<-3><#EB2944> '''{{{#FFD03A 첫 주 판매량 : 496,000+}}}'''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3)] === 평가 및 수상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my-beautiful-dark-twisted-fantasy,artist=kanye-west,critic=94,user=8.3)]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14880-my-beautiful-dark-twisted-fantasy/, 점수=10)] [include(틀:RYM, type=album, code=kanye-west/my-beautiful-dark-twisted-fantasy, 점수=4.09)]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링크=http://www.acclaimedmusic.net/album/A5079.htm, 순위=2010년 1위 / 2010년대 2위 / 올타임 26위)] ||<-2>
<#EB2944>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FFD03A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의 전문가 평점''' || ||<#EB2944> '''{{{#FFD03A 매체}}}''' ||<#EB2944> '''{{{#FFD03A 평점}}}''' || || [[AllMusic]] || '''{{{+2 4.5}}}/5''' || || Entertainment Weekly || '''{{{+2 A}}}''' || || [[The Guardian]] || '''★★★★☆''' || ||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 || '''★★★★★''' || || MSN Music (Expert Witness) || '''{{{+2 A}}}''' || || [[NME]] || '''{{{+2 9}}}/10''' || || [[롤링 스톤|Rolling Stone]] || '''★★★★★''' || || [[스핀(잡지)|Spin]] || '''{{{+2 9}}}/10''' || || USA Today || '''★★★★''' || >'''결함이 있으면서 진실한 그의 음악과 페르소나는 칸예의 인간-신화 이분법을 현대적이면서도 고전적이게 만든다. 그는 지난 달 "I can't be everybody's hero and villain, savior and sinner, Christian and anti Christ!"이라 언급했다. 이는 사실일 수 있지만, 그는 그렇게 되려고 다른 누구보다 많이 노력하고 있는 것 같다.''' >---- >피치포크 발매 이전에 이미 [[롤링 스톤]]지로부터 만점의 평점을 받아 기대를 주었으며, 실제로 앨범이 발매되자 극히 일부 잡지를 제외한 모든 평론 잡지들과 평론가들에게 '''2012년 그래미 상 수상 확정''' 내지 '''올해 최고의 앨범 확정'''은 기본이요, '''라킴의 라임 구조 확립 이후 가장 강력한 힙합의 방법론의 제시'''라는 압도적인 평가를 발매 직후부터 받았다. 모든 수록곡 하나하나가 다채로운 사운드와 풍부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힙합의 한계를 넓혔다는 평가가 많다.[* 실제로도 1집과 2집 시절, 즉 대중적으로 크게 성공하여 빌보드 차트를 씹어먹고, 힙합 음악 위주의 음악을 하던 시절에도 평론적 평가는 굉장히 좋았고, 3집과 4집에 들어와 스타일이 변화했을 때에도 유행을 선도하는 아티스트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MBDTF는 그것을 넘어서 대중음악계에 엄청난 충격을 안겨 주었으며 카니예가 단순히 힙합 뮤지션이 아닌, 대중음악 최고의 뮤지션 중 한 명임을 대중들에게 다시금 확인시켜주었다. 실제로 카니예를 다시금 정상으로 올려놓고, 그 영향력을 아직까지도 유지시켜 주는 앨범이다.] 점수에 인색하기로 유명한[* 사실 카니예와 라디오헤드한테는 후한 편이었다. 그 이유는 피치포크 자체가 전위적이고 진취적인 음악을 선호하기 때문. 이로 인하여 시대를 앞서가는 음악을 하는 칸예와 라디오헤드는 항상 좋은 점수를 받아갔는데, 대표적으로 일반적으로는 라디오헤드의 앨범 중 [[OK Computer]] 다음가는 앨범이라 평가받는 전위적 성향의 앨범인 [[Kid A]]에 OK Computer와 같은 만점을 주었다. 그리고 역시나 전위적인 음악가라고 볼 수 있는 플레이보이 카티에게도 비교적 점수가 후하다. 반대로 전위적이지 않고 비교적 고전적인 힙합을 하는 에미넴에게는 평가가 굉장히 박하다. 그러나 이러한 피치포크조차 칸예의 1~4집에는 만점을 주지 않았는데, 피치포크가 만점을 준 것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알 만하다.] [[피치포크 미디어]]가 이 앨범에 무려 '''8년 만'''에 '''10점 만점'''[* 이 이후 10점은 2020년이 되어서야 다시 나오며, 라디오헤드의 디스코그래피 중 [[OK Computer]]를 제외하면 최고라 평가받는 [[Kid A]]가 10점이다.]을 줘서 큰 화제가 되었고, 힙합 매거진 소스지로부터도 마이크 5개 만점을 받았다. 이 앨범은 2014년 피치포크가 선정한 2010년대 최고의 앨범 1위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으며, [[롤링 스톤]]에서 선정한 201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에서는 1위를 차지하였고, 피치포크가 2019년에 선정한 2010년대 최고의 앨범 2위에 올랐다. 1위는 [[프랭크 오션]]의 [[Blonde]]. --힙스터들 미소 짓는 소리 화면 뚫고 들린다.-- 그러나 이러한 엄청난 음악적 성취와는 별개로, 2012년 54회 [[그래미 어워드]] 시상식에선 힙합 부문을 휩쓰는 데에만 만족해야 했고, 올해의 앨범 후보에도 들지 못하는 등 천대를 받았다.[* 참고로 당시 수상작은 [[아델(가수)|아델]]의 21이다. 아델의 음반이 어마어마하게 팔린 터라 수상은 아델이 받아야 된다는 게 중론이었지만 카니예 웨스트가 노미네이트조차 받지 못한 것은 논란이 될 여지가 충분하였다.] 또한, 상업적으로도 빌보드 탑 10 안에 드는 싱글이 없는 등 이전의 카니예에 비해 음원의 성적 면에서는 부족했다. 이 이후로 카니예의 음악은 전위적으로 변하여 그의 차트 성적은 더욱 떨어지게 되었다.[* 묘하게 [[라디오헤드]]와 유사한데, 라디오헤드도 [[Kid A]] 이후 차트 성적이 비교적 떨어졌다. 초기 라디오헤드의 곡들인 [[Creep]]이나 [[Paranoid Android]] 같은 곡들은 영국 차트에서 굉장한 고순위를 랭크했으나, 후기 라디오헤드 곡들은 싱글 차트에서는 성적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 트랙리스트 == [include(틀: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 ||||<-4><#EB2944> '''{{{#FFD03A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비고''' || || 1 || [[Dark Fantasy]] || 4:40 || [*Gold [include(틀:RIAA 골드)]] || || 2 || [[Gorgeous]] {{{-2 (feat. [[Kid Cudi]] & [[Raekwon]])}}} || 5:57 || [*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 || 3 || [[POWER(카니예 웨스트)|POWER]] || 4:52 || [*4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4)]] || || 4 || [[All Of The Lights (Interlude)]] || 1:02 || || || 5 || [[All Of The Lights]] || 4:59 || [*5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5)]] || || 6 || [[Monster(카니예 웨스트)|Monster]] {{{-2 (feat. [[JAY-Z]], [[Rick Ross]], [[Nicki Minaj]] & [[Bon Iver]])}}} || 6:19 || [*3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3)]] || || 7 || [[So Appalled]] {{{-2 (feat. [[Swizz Beatz]], [[JAY-Z]], [[Pusha T]], [[Cyhi the Prynce]] & [[RZA]])}}} || 6:38 || [*Gold] || || 8 || [[Devil In A New Dress]] {{{-2 (feat. [[Rick Ross]])}}} || 5:52 || [*2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2)]] || || 9 || [[Runaway(카니예 웨스트)|Runaway]] {{{-2 (feat. [[Pusha T]])}}} || 9:08 || [*3xPlatinum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3)]] || || 10 || [[Hell Of A Life]] || 5:27 ||<|3> [*Gold] || || 11 || [[Blame Game]] {{{-2 (feat. [[John Legend]])}}} || 7:49 || || 12 || [[Lost In The World]] {{{-2 (feat. [[Bon Iver]])}}} || 4:16 || || 13 || [[Who Will Survive In America]] || 1:38 || ||||<-4><#EB2944> '''{{{#FFD03A 아이튠즈 보너스 트랙}}}''' || || 14 || [[See Me Now]] {{{-2 (feat. [[Beyoncé]], [[Charlie Wilson]] & [[Big Sean]])}}} || 6:03 || ||||<-4><#EB2944> '''{{{#FFD03A DVD 보너스 트랙}}}''' || || 1 || Runaway || 35:00 || [* 칸예가 미국의 유명한 뮤직 비디오 감독 Hype Williams와 손잡고 만든 30분짜리 단편 영화로 유튜브에서도 감상이 가능하며, 디럭스 앨범을 사면 이 영상이 담긴 DVD가 들어있다.] || ===# 크레딧 #=== ||<-6><#EB2944> '''{{{#FFD03A 트랙리스트}}}''' || || '''#''' || '''제목''' || '''보컬 참여''' || '''프로듀서''' || '''샘플링''' || '''길이''' || || 1 || [[Dark Fantasy]] || {{{-3 [[Nicki Minaj]], [[Bon Iver]],[br] [[Teyana Taylor]], Amber Rose}}} || {{{-3 [[RZA]], [[Kanye West|West]], [[No I.D.]], Bhasker,[br] [[MIKE DEAN|Dean]]}}} || {{{-3 Meiko Kaji - Gincho Wataridori[* 메이코 카지 주역의 1972년 일본 액션 느와르 영화 "방황하는 긴자의 나비" 주제곡이다.] [br] Anderson - In High Places}}} || 4:40 || || 2 || [[Gorgeous]] || {{{-3 [[Kid Cudi]], [[Raekwon]],[br] [[Tony Williams]]}}} || {{{-3 [[Kanye West|West]], [[No I.D.]], [[MIKE DEAN|Dean]]}}} || {{{-3 The Turtles - You Showed Me}}} || 5:57 || || 3 || [[POWER(카니예 웨스트)|POWER]] || {{{-3 Dwele}}} || {{{-3 S1, [[Kanye West|West]], Bhasker, [[MIKE DEAN|Dean]]}}} || {{{-3 Continent Number 6 - It's Your Thing,[br] [[King Crimson]] - [[21st Century Schizoid Man]]}}} || 4:52 || || 4 || [[All Of The Lights (Interlude)]] || || {{{-3 [[Kanye West|West]], [[MIKE DEAN|Dean]]}}} ||<|3> || 1:02 || || 5 || [[All Of The Lights]] || {{{-5 [[Rihanna]], [[Kid Cudi]], [[Tony Williams]], [[The-Dream]], Charlie Wilson,[br] [[John Legend]],[br] Elly Jackson of La Roux,[br] [[Alicia Keys]], [[Elton John]], Fergie,[br] Ryan Leslie, [[Drake]], Alvin Fields, Ken Lewis}}} || {{{-3 [[Kanye West|West]], Bhasker}}} || 4:59 || || 6 || [[Monster(카니예 웨스트)|Monster]] || {{{-3 [[JAY-Z]], [[Rick Ross]], [[Nicki Minaj]],[br] [[Bon Iver]]}}} || {{{-3 [[Kanye West|West]], [[MIKE DEAN|Dean]], Plain Pat}}} || 6:19 || || 7 || [[So Appalled]] || {{{-3 [[Swizz Beatz]], [[JAY-Z]], [[Pusha T]],[br] CyHi The Prynce, [[RZA]]}}} || {{{-3 [[Kanye West|West]], [[No I.D.]], [[MIKE DEAN|Dean]]}}} || {{{-3 Manfred Mann's Earth Band -[br] You Are – I Am}}} || 6:38 || || 8 || [[Devil In A New Dress]] || {{{-3 [[Rick Ross]]}}} || {{{-3 Bink, [[MIKE DEAN|Dean]]}}} || {{{-3 Smokey Robinson -[br] Will You Love Me Tomorrow}}} || 5:52 || || 9 || [[Runaway(카니예 웨스트)|Runaway]] || {{{-3 [[Pusha T]], [[Tony Williams]],[br] [[The-Dream]]}}} || {{{-3 [[Kanye West|West]], Emile, Bhasker, [[MIKE DEAN|Dean]]}}} || {{{-3 Backyard Heavies - Expo 83,[br] Rick James Live at Long Beach, CA,[br] 1981}}} || 9:08 || || 10 || [[Hell Of A Life]] || {{{-3 [[Teyana Taylor]], [[The-Dream]]}}} || {{{-3 [[Kanye West|West]], Caren, [[No I.D.]], [[MIKE DEAN|Dean]]}}} || {{{-3 The Mojo Men - She's My Baby,[br] Tony Joe White - Stud-Spider,[br] [[Black Sabbath]] - [[Paranoid#s-4.1.4|Iron Man]] }}} || 5:27 || || 11 || [[Blame Game]] || {{{-3 [[John Legend]], [[크리스 락|Chris Rock]],[br] Salma Kenas}}} || {{{-3 [[Kanye West|West]], DJ Frank E, [[MIKE DEAN|Dean]]}}} || {{{-3 [[Aphex Twin]] - Avril 14th}}} || 7:49 || || 12 || [[Lost In The World]] || {{{-3 [[Bon Iver]], Charlie Wilson,[br] Kaye Fox, [[Tony Williams]],[br] [[Alicia Keys]],[br]Elly Jackson of La Roux}}} ||<|2> {{{-3 [[Kanye West|West]], Bhasker}}} || {{{-3 Manu Dibango - Soul Makossa,[br] Lyn Collins - Think (About It),[br] [[Bon Iver]] - Woods,[br] Gil Scott-Heron - Comment No. 1 }}} || 4:16 || || 13 || [[Who Will Survive In America]] || {{{-3 Charlie Wilson, Kaye Fox,[br] [[Tony Williams]], [[Alicia Keys]],[br] Elly Jackson of La Roux}}} || {{{-3 Gil Scott-Heron - Comment No. 1 }}} || 1:38 || ||||<-6><#EB2944> '''{{{#FFD03A 아이튠즈 보너스 트랙}}}''' || || 14 || [[See Me Now]] || {{{-3 [[Beyoncé]], [[Charlie Wilson]],[br] [[Big Sean]]}}} || {{{-3 [[Kanye West|West]], [[No I.D.]], Lex Luger}}} || || 6:03 || == [[앨범 아트]] == 앨범 아트가 굉장히 많다. 디자인은 현존 회화작가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조지 콘도가 맡았다. [anchor(오리지널)]오리지널의 경우 디자이너에 의하면[* 추가로 정보를 적자면 디자인한 사람은 제이지의 가사에도 나오는 미국의 피카소라고도 불리는 대표적인 화가 조지 콘도이다. 3집은 무라카미 타카시 4집은 KAWS와의 부분적인 협업 5집은 조지 콘도, WTT은 지방시의 수석디자이너 리카르도 티시, 6집은 칸예의 친한 친구이자 Pyrex Vision([[오프화이트]]의 전신)의 버질 아블로, 7집은 베이퍼 웨이브로 음악에 가까운 아트웍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 그림은 몇 가지 이유로 몇 음반 판매점에서 거부당했다고 한다. 덧붙여서 칸예는 이 커버가 거부당하길 원했다고 한다. {{{#!wiki style="text-align:center" [[파일:kanyembdtf.jpg|align=center&width=400]] 메인 앨범 아트의 풀버전이다. ---- [[파일:mbdtf무용.jpg|align=center&width=400]] CD버전 앨범 아트의 풀버전이다. [[Runaway(카니예 웨스트)|Runaway]]의 얼터네이트 앨범 커버에도 쓰였다. ---- [[파일:mbdtf4.png|align=center&width=400]] "Power"의 앨범 커버로도 쓰였다. ---- [[파일:mbdtf5.png|align=center&width=400]] ---- [[파일:mbdtf6.png|align=center&width=400]] ---- [[파일:mbdtf7.png|align=center&width=400]] ---- [[파일:mbdtf8.png|align=center&width=400]] ---- [[파일:mbdtf11.jpg|align=center&width=400]] ---- [[파일:mbdtf10.jpg|align=center&width=400]] ---- [[파일:엠비디티에프.png|align=center&width=400]]}}} == 미완성본 - Record For Hype == 앨범 발매 4개월 전이던 2010년 7월 즈음, recordforhype.zip이라는 파일이 돌아다녔었는데, 이 파일은 본 앨범의 미완성본으로, 뮤직비디오 감독 하이프 윌리엄스[* Hype Williams. 본 앨범을 컨셉으로 제작한 단편영화 Runaway의 감독을 맡았다.]에게 보내는 사전 공유파일이었다. 윌리엄스의 매니저의 이메일이 해킹되면서 파일이 유출됐지만, 파일에는 비밀번호가 걸려있어 지난 10년 간 아무도 이 파일의 정체를 몰랐다. 그러다가 10년이 지난 2020년 7월 28일, [[4chan]]에서 드디어 비밀번호를 해독하여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비밀번호는 의외로 단순했다. '''"wewantmoney"''' 미공개곡 5곡을 비롯하여 [[POWER(카니예 웨스트)|POWER]], [[Gorgeous]], [[Hell Of A Life]], [[Dark Fantasy]], [[All Of The Lights]][* 여기선 Ghetto University란 제목으로 수록.], [[Runaway(카니예 웨스트)|Runaway]], [[Lost In The World]], [[Monster(카니예 웨스트)|Monster]], [[Devil In A New Dress]], [[So Appalled]], [[Blame Game]]의 미완성본이 수록되어 있다. == 기타 == * 칸예 커리어를 대표하는 명반이지만, 몇몇 곡을 '''샘플링 허가 없이 무단으로 발매한 곡'''이라는 것이 큰 오점으로 꼽힌다. [[에이펙스 트윈]]의 5집 앨범 [[Drukqs]]의 수록곡 Avril 14th을 샘플링해 프로듀싱한 [[Blame Game]]은 칸예 쪽에서 처음 에이펙스 트윈에게 Avril 14th 작업 샘플링을 보내왔는데, 에이펙스 트윈은 칸예의 작업물이 너무 늘어지는 느낌이 마음에 들지 않아 원한다면 본인이 직접 다시 샘플링을 제작해 줄 수 있다며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칸예가 '이건 우리 작업물이지 당신 작업물이 아니니까 신경꺼라'라는 답변을 보내고, 이후 추가 연락과 허락 없이 발매한 것이다[* 이후 에이펙스 트윈이 처음 칸예 쪽에서 연락을 받았을 때, '[[안녕하세요]]'나 '고마워요' 같은 허락을 구하는 태도 자체가 없었다고 밝혔다. 즉, '''애초에 허락을 받고 쓸 생각이 없었다는 것.''']. 이 사실은 해당 사건이 벌어지고 몇 년 뒤인 6집 [[Syro]] 발매 전인 2014년 8월 25일, 에이펙스 트윈과 [[피치포크]]와의 인터뷰를 통해 알려지게 되었다. 평소와 달리 매우 이례적으로 빡친 목소리로 '''그 개같은 새끼가 내 음악을 강탈해갔다'''고 욕설까지 사용하면서 비난했고, 칸예 본인의 작업물이라며 샘플 사용료까지 내지 않으려고 뻐기고 있었다는 사실까지 추가로 공개되었다. 이 내용이 밝혀진 이후, [[NME]], [[더 가디언]] 등 많은 음악 웹진들이 칸예에게 이와 관련된 인터뷰 요청을 했으나 모두 무시했으며 앨범이 발매된 지 한참이 지난 지금까지도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POWER(카니예 웨스트)|POWER]] 또한 [[킹 크림슨]]의 [[21st Century Schizoid Man]]을 샘플링했는데, 이건 한술 더 떠서 '''아예 아무런 언급도 없이 샘플링해서''' 곡을 내놨다. 때문에 [[로버트 프립]]은 단 한푼의 저작권료도 가지지 못했고 [[은퇴]]까지 고려했을 정도로 큰 충격을 받았다. * 10번 트랙의 훅은 블랙 사바스의 Iron Man을 차용하였다. * 곡당 길이가 어마어마하게 길다. 거의 대부분 5~6분은 넘으며 [[Runaway(카니예 웨스트)|Runaway]]는 무려 '''9분'''이다. 따라서 트랙 개수는 13개 이지만 러닝타임은 '''70분 가까이 된다.''' 이 점 때문에 곡들의 길이가 적당했던 [[The College Dropout|이]][[Late Registration|전]][[Graduation|의]] [[808s & Heartbreak|음반]]들을 더욱 고평가하는 골수팬들이 존재한다. * 앨범 제작 비용으로 자신의 회사인 Def Jam에게 [[https://hiphopdx.com/news/id.12268/title.def-jam-records-has-reportedly-spent-3-million-on-kanye-wests-new-album|약 300만 달러]][* 한화 약 '''33억''']를 받았다고 한다. * 디럭스 에디션[* CD와 DVD가 들어있는 피지컬] 피지컬과 LP의 경우 5개의 [[앨범 아트]]를 바꿔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쥬얼 케이스 피지컬과 일반 디지팩은 앨범 아트를 바꿀 수 없다. * 이 앨범이 만들어지게 된 과정은 조금 특이하다. 어머니의 죽음, [[808s & Heartbreak|4집]]에 대한 혹평 등 여러 안 좋은 이슈가 계속되며 우울증이 매우 심해졌고 [[카니예 웨스트/논란 및 사건 사고 #s-3.1|그래미 시상식 난입 사건]] 이후 엄청난 대중의 질타를 받자 더 이상 버틸 수 없던 칸예는 일본으로 도망가고 만다. 일본에서 매우 유명한 [[오카다 유키코]]의 자살 사건을 접한 칸예는 오카다의 곡을 샘플링해 자살 암시곡을 만들었으며, 그것이 바로 Never See Me Again이다. --[[https://youtu.be/Sk1UdaGyoz4|#]]--[* 저작권으로 인해 막혔다.] 또한, [[POWER(카니예 웨스트)|POWER]]에도 자살을 암시하는 가사가 있는데 바로 오카다가 자살한 방법인 창문에서 뛰어내린다는 가사가 그대로 들어가 있다.[* Now this will be a beautiful death, I'm jumping out the window][* POWER (Remix)에서도 호텔에서 창문으로 투신 자살한 [[도니 해서웨이]]가 언급된다. ] 다행히도 카니예는 자살을 시도하지 않고 다시 미국으로 돌아왔으며, 독기를 가득 품고 미친 듯이 곡 작업을 시작하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MBDTF다. 그런 이유로 보너스 트랙 [[See Me Now]]는 자살을 이겨내고 화려하게 돌아온 자신을 봐달라는 의미가 담긴 노래가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 칸예 웨스트는 발매를 몇 달 앞두고 '''한국에서''' [[유스트림]]을 통해 본 앨범에 대한 스트리밍을 진행하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piqKALwN13w|#]] 14:30분에선 [[All Of The Lights]]의 데모 버전도 들어볼 수 있다. ~~분명히 여기가 한국인 게 느껴지는 게 깨알 같은 매미 소리는 덤이다~~ 스트리밍 날짜가 2010년 8월 6일인데, 이 날은 칸예 웨스트가 낙산 해수욕장에서 첫 내한공연한 날과 동일하다.[* 이 날 공연에서 칸예가 이 앨범의 수록곡인 [[https://youtu.be/mdftuX2ahQU|POWER도 라이브로 선보였다.]]] 따라서 칸예가 내한일정을 수행하는 도중 스트리밍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낙산 해수욕장에서의 공연은 밤에 이뤄졌으므로, 공연하기 전 저녁에 스트리밍을 한 것으로 보인다. * 세간의 찬사와는 달리, 칸예 본인은 다른 앨범들에 비해 그다지 MBDTF를 좋아하지 않는 모양이다. 본인이 출연한 인터뷰에서 5집은 대중들을 위한 사과문에 가깝다고 말하며 힙합씬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끼친 [[Yeezus]]와 [[808s & Heartbreak]]를 더 선호한다는 발언을 하였다. [[https://twitter.com/MrBusby4o8/status/1498727889063215106?ref_src=twsrc%5Etfw%7Ctwcamp%5Etweetembed%7Ctwterm%5E1498727889063215106%7Ctwgr%5Ef5345cb378c83b3559060b0da3e4b3573529dc55%7Ctwcon%5Es1_&ref_url=https%3A%2F%2Fwww.hotnewhiphop.com%2F388683-twitter-debates-over-kanye-claiming-yeezus-and-808s-are-so-much-better-than-mbdtf-news|#]] [[분류: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