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C The Max의 앨범)] [목차] == 개요 == ||<-6> [[파일:isu_ost_8.png]] || ||<-6><#59506f> {{{#ffffff '''[[돈꽃|{{{#ffffff 돈꽃}}}]] OST PART.1'''}}} || ||<-3> {{{#ffffff 총 9분 12초}}} ||<-3> {{{#ffffff 2017년 11월 11일 발매}}}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러닝타임}}}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1 || '''My Way'''^^{{{#red TITLE}}}^^ ||<|2> 04:36 || [[이수(가수)|이수]] ||<-2><|2> 톰이랑 제리 || || 2 || '''My Way (inst.)''' || - || == 앨범 소개 == ||
<#59506f><:><-2> {{{#ffffff 앨범 소개}}} || ||<#ffffff,#1f2023><-2> '''연일 첫 방송 전부터 큰 화제를 모으고 있는 MBC 특별기획 드라마 ‘돈꽃’에 국내 최강 보컬리스트 ‘이수’가 첫 주자로 나선다!''' 드라마 주연으로 등장하는 ‘장혁’, ’박세영’, ’이미숙’의 탄탄한 라인업으로 벌써부터 기대되는 드라마 ‘돈꽃’, 첫 번째 OST로 등장하는 ‘이수’의 여운이 오래 남을 “My way”는 영화 한편을 보는 듯한 화려한 곡으로써 긴장감과 폭발력, 은은함과 화려함이 두루 갖춰져 ‘이수’만의 절정의 보이스로 곡의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My way”는 '푸른 바다의 전설 OST' ‘이선희’의 ‘바람꽃’, '함부로 애틋하게 OST' ‘김범수’의 ‘사랑해요’등 국내 다수 드라마 OST를 작곡한 히트 작곡 팀 ‘톰이랑 제리’가 작곡을 맡았으며 ‘엠씨 더 맥스’의 ‘이수’가 작사에 직접 참여하여 곡에 완성도를 한껏 높였다. ‘바라보기’, ‘그 남잔 말야’ 등 OST마다 히트시킨 ‘이수’의 폭발적인 가창력과 감정표현으로 드라마 장면마다 시청자들에게 크나큰 감정몰입을 선사한 이수의 목소리가 이번 ‘돈꽃’에서도 그 빛을 발할 것이다. ‘돈꽃’ OST 첫 번째를 장식할 “My way”는 리스너들과 시청자들의 귀를 행복하게 만들 것이며 올 가을, ‘이수’의 애절한 발라드에 빠져보자 || ==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uoQecUYfsA,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TxTwsBLTGs,width=100%,align=center)]}}} || || '''▲ 뮤직비디오''' || '''▲ 음원''' || == 설명 == * [[2017년]] [[11월 11일]] 발매된 드라마 [[돈꽃]]의 OST. 2018년 2월경부터 SNS상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차트 역주행을 한 곡이다. 멜론 OST 차트 1위를 달성했다. * [[M.C The Max]]의 보컬 [[이수(가수)|이수]]가 불렀다. * 노래방에서 선곡 번호는 TJ에서 96806 (일반) 또는 62506 (원음 MR)이고, 금영에서는 49720이다. * TJ 노래방 기준 : 2018년 2월 15일 노래방 인기곡 10위에 들더니, 2018년 4월 2일에는 노래방 인기곡 2위에 진입했다. 2018년 7월에도 노래방 인기곡 2등을 계속 차지하고 있다. * 2018년 멜론 연간 차트 15위를 달성했다! * 여담으로 [[지금 우리 학교는(드라마) | 지금 우리 학교는]] 12화에 이 노래의 가사 중 일부[* '''흐르는 물결이 ~ 아픈 기억''' 부분]가 등장한다. == 가사 == ||
<:> {{{#fff '''{{{+3 My Way}}}'''}}}|| || 흐르는 물결이 내 발목에 감겨 나가면 깊은 곳에 숨겨둔 아픈 기억 모두 살아나고 어디에 기대 살아'''{{{#dodgerblue 갈}}}'''까 나를 스쳐가는 그 '''{{{#dodgerblue 모}}}'''든 것'''{{{#dodgerblue 들이}}} {{{#dodgerblue 상}}}{{{#limegreen 처}}}{{{#gold 인}}}{{{#darkorange 데}}}''' '''{{{#limegreen 그댈}}} {{{#gold 그}}}{{{#limegreen 린}}} {{{#dodgerblue 밤}}}{{{#gold 들}}}{{{#limegreen 이}}}''' '''{{{#limegreen 내게 욕}}}{{{#dodgerblue 심이}}}'''란 걸 맘 '''{{{#limegreen 아프}}}{{{#dodgerblue 게}}} {{{#limegreen 알}}}{{{#gold 아}}}''' '''{{{#limegreen 나를}}} {{{#gold 택}}}{{{#limegreen 한}}} {{{#dodgerblue 운}}}{{{#gold 명이}}}{{{#darkorange ㅡ}}} {{{#darkorange 행여 그}}}{{{#gold 댈 맴}}}{{{#darkorange 돌}}}{{{#red 아}}}[br]{{{#red 붙잡}}}{{{#darkorange 지}}} {{{#gold 못}}}{{{#limegreen 하}}}{{{#gold 게}}} {{{#limegreen 이제}}} {{{#gold 그}}}{{{#limegreen 대}}} {{{#gold 곁}}}{{{#dodgerblue 에서}}} {{{#limegreen 떠}}}{{{#gold 나가}}}{{{#darkorange ㅡ}}}''' 내뱉는 숨마다 가시 돋친 고통이어서 깊은 곳에 숨겨둔 사랑 또한 그저 지워내고 어디에 기대 살아'''{{{#dodgerblue 갈}}}'''까 나를 스쳐가는 그 '''{{{#dodgerblue 모}}}'''든 것'''{{{#dodgerblue 들이}}} {{{#dodgerblue 상}}}{{{#limegreen 처}}}{{{#gold 인}}}{{{#darkorange 데}}}''' '''{{{#limegreen 그댈}}} {{{#gold 그}}}{{{#limegreen 린}}} {{{#dodgerblue 밤}}}{{{#gold 들}}}{{{#limegreen 이}}}''' '''{{{#limegreen 내게 사}}}{{{#dodgerblue 치라}}}'''는 걸 맘 '''{{{#limegreen 아프}}}{{{#dodgerblue 게}}} {{{#limegreen 알}}}{{{#gold 아}}}''' '''{{{#limegreen 나를}}} {{{#gold 택}}}{{{#limegreen 한}}} {{{#dodgerblue 운}}}{{{#gold 명이}}}{{{#darkorange ㅡ}}} {{{#darkorange 행여 그}}}{{{#gold 댈 맴}}}{{{#darkorange 돌}}}{{{#red 아}}}[br]{{{#red 붙잡}}}{{{#darkorange 지}}} {{{#gold 못}}}{{{#limegreen 하}}}{{{#gold 게}}} {{{#limegreen 이제}}} {{{#gold 그}}}{{{#limegreen 대}}} {{{#gold 곁}}}{{{#dodgerblue 에서}}} {{{#limegreen 떠}}}{{{#gold 나가}}}{{{#darkorange ㅡ}}}''' 언젠가 그대 곁에 다시 돌아갈 수 있다면 그때가 {{{#gold 언}}}{{{#darkorange 제}}}{{{#gold 라}}}{{{#dodgerblue 도}}}ㅡ 나를 잊'''{{{#gold 지 않}}}{{{#darkorange 았}}}{{{#red 다}}}{{{#darkorange 면}}}''' '''{{{#limegreen 그댈}}} {{{#gold 그}}}{{{#limegreen 린}}} {{{#dodgerblue 날}}}{{{#gold 들}}}{{{#limegreen 이}}}''' '''{{{#limegreen 내게 마}}}{{{#dodgerblue 지막}}}''' 남은 기'''{{{#limegreen 쁨이}}}{{{#dodgerblue 었}}}{{{#limegreen 단}}} {{{#gold 걸}}}''' '''{{{#limegreen 내가}}} {{{#gold 택}}}{{{#limegreen 한}}} {{{#dodgerblue 운}}}{{{#gold 명이}}}{{{#darkorange ㅡ}}} {{{#darkorange 다른 무}}}{{{#gold 엇이}}} {{{#darkorange 아}}}{{{#red 닌}}}[br]{{{#red 그대}}}{{{#darkorange 뿐}}}{{{#gold 이}}}{{{#limegreen 란}}} {{{#gold 걸}}} {{{#limegreen 이제}}} {{{#gold 그}}}{{{#limegreen 대}}} {{{#gold 곁}}}{{{#dodgerblue 에서}}} {{{#limegreen 영}}}{{{#gold 원히}}}{{{#darkorange ㅡ}}}''' || || '''{{{#dodgerblue 2옥타브 솔(G4)}}}''' '''{{{#limegreen 2옥타브 라(A4)}}}''' '''{{{#gold 2옥타브 라#(A#4)}}}''' '''{{{#darkorange 3옥타브 도(C5)}}}''' '''{{{#red 3옥타브 레(D5)}}}''' 볼드체가 아닌 색깔 텍스트는 가성 파트이다. || == 곡 분석 == * 조성 : 내림나장조(B♭) * 최고음 : '''3옥타브 레(D5)''' 후렴구 전체가 3옥타브대의 초고음으로 점철된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하며, '''이수 솔로곡 중 가장 어려운 곡'''이자, 2023년 들어서 재편한 이후로는 그 어렵다는 헬곡 Top 2인 '''[[흩어지지 않게]], [[어김없이]]'''와 더불어 '''3대장'''으로 재평가되고 있는 헬곡이다. 어느 정도냐면, [[M.C The Max]] 곡 중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는 '''[[어김없이]]'''와 경쟁할 정도였다.[* [[흩어지지 않게(M.C The Max)|흩어지지 않게]], 5집의 [[Moment(M.C The Max)|Moment]], 3집의 [[사랑해 봤나요?]], 1집의 [[Insanity]] 또한 1티어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어김없이]]보다는 한 단계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연히 3옥타브 이상의 음역대를 발산하는 헬곡이다. 이 곡이 어려운 이유는 역시나 3옥타브 초반의 음역대를 길게 유지하기 때문이다. 한 파트당 3옥타브가 '''11번'''이나 나오는 데다, 그게 1~3절까지 빠짐없이 도배된다. 특히 이 곡의 가장 어려운 구간인 '행여 그댈 맴돌아 붙잡지 못하게' 구간은 이 곡의 최고음인 '''3옥타브 레(D5)'''를 찍고, '''3옥타브 도(C5)'''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그 결과 곡 전체의 3옥타브 개수가 '''35개''', 2옥타브 후반대 개수는 무려 '''133개'''에 달한다.[* 어김없이의 3옥타브 개수는 '''22개'''로 My Way보다는 한참 '''적고''' 같은 급인 [[흩어지지 않게(M.C The Max)|흩어지지 않게]]도 '''27개'''로 My Way보단 적다. 그뿐만 아니라 이는 댄스곡에 가까운 [[Moment(M.C The Max)|Moment]]를 제외하면, [[M.C The Max]]의 록발라드들을 통틀어서 '''가장 많은 숫자이다.'''] 참고로 이 곡이 어김없이보다 난이도가 낮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는 그나마 '''쉴 틈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벌스 부분부터 중고음이 난사되고 간주가 하나도 없는 데다가 3옥타브 레(D5)를 길게 끄는 구간이 있는 어김없이와 달리, My Way는 간주가 있고 1~3절 모두 중간에 벌스와 브릿지 부분의 음역대가 낮아 잠시 숨을 고를 수 있는 시간이 있으며, 3옥타브 레(D5)를 길게 끄는 구간이 없다. 오르막과 내리막이 확실하기 때문에 음역대가 받쳐 준다면 비교적 쉽게 소화가 가능하다. 거기에 어김없이에 비해 My Way가 호흡 관리가 수월한 것도 한 몫 한다. 물론 어디까지나 이론적으로만 가능할 뿐, 현실은 대부분 2옥타브 후반의 음역대만 소화해도 노래방에서 거의 모든 노래를 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곡 역시 엠맥 노래들 중에서 1티어에 꼽을 만한 난이도를 자랑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곡과 달리 My Way는 다소 날카롭게 불러도 느낌이 사는 편이지만 어김없이는 이수 특유의 파워풀한 목소리로 부르지 않으면 느낌이 살지 않는다. 그래서 My Way를 부를 때나 어김없이를 부를 때나 드는 힘은 거기서 거기다. 쉽게 범접할 수 없는 난이도로 인해 이 곡에 대한 반응들은 제목 그대로 '''"정말 곡을 혼자 부르려나 보다"'''라는 반응이 대다수다. 실제로 곡명이 [[My Way(이수)|My Way]]라서 일부 네티즌들은 [[이수(가수)|본인]]만 부르려고 만든 음원이라는 드립을 치기도 한다. 지나치게 높은 난이도 때문인지 [[어김없이]]와 마찬가지로 콘서트 봉인곡 중 하나이며, 발매 후 지금까지 부른 적이 없는 것으로 보아 앞으로도 할 예정은 없어 보인다. 다만 어김없이는 지난 3월 29일 인스타를 통해 봉인이 풀린 바 있었고 My Way도 이수 솔로곡이지만 2021년 5월 3일, 가수 본인의 개인 유튜브 채널에 후반부 파트의 라이브 버전이 공개되었다. --당연하겠지만 모든 커버따위를 압살한다.-- 하지만 워낙 악랄한 난이도 때문에 콘서트 라이브는 힘들다고 생각되던 중 2023년 진행된 기행문 콘서트에서 관객과 함께였지만 결국 1절 라이브가 나왔다![* 여담으로 이 기행문 콘서트에서 봉인되던 곡들이 상당히 많이 나오고 있다. 2014년 이후로 봉인되던 그대가 분다, 역대 최고 난이도 곡 중 하나인 어김없이, 사랑해 봤나요? 까지 상당히 많은 곡들이 봉인해제 되었다.] 2023년 들어서 기존에 3대장 곡 중 하나였던 [[Moment(M.C The Max)|Moment]]가 음역 변동폭이 비교적 일정하고, 감정을 크게 표현하는 곡이 아닌 댄스 곡이다보니 Moment 대신 이 곡을 [[흩어지지 않게]], [[어김없이]]와 더불어 3대장에 넣어야 한다는 의견이 증가하였다. 이유는 My Way 역시 3옥타브 갯수가 '''35개'''로 댄스곡에 가까운 Moment를 제외하면 가장 많고, 음역 변동폭이 넓은데다[* 단, 어김없이와 달리 오르막과 내리막이 확실해서 어김없이, 흩어지지 않게 보다는 확실히 쉽다.], 무엇보다 섬세한 감정을 내면서 '''3옥타브를 더 오래 끌어야 하기 때문에''' Moment에 비해 고음 스킬이 더욱 어렵다. 따라서 이 곡이 Moment의 난이도를 한 단계 끌어내림과 동시에 '''3대장'''으로 평가가 격상하였다. 즉, [[흩어지지 않게]]나 [[어김없이]] 등 '''3대장''' 곡들과 비교했을 때, 뒤늦게 어려운 난이도로 [[재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 커버 버전 == === [[이혁]] === [Youtube(97YgnJzuTyo)] 1키를 올려 불렀다. === [[이보람]] === [Youtube(G6Afw4ni6tQ)] 무려 '''5키'''를 올려 불렀다.[* 다만 원래 남자키+5키가 여자키이므로 그냥 My way를 여자키로 불렀다고 보면 된다. ]최고음은 '''3옥타브 솔(G5)''' === [[임한별]] === [youtube(xVS05tJlQzw)] 후반에 1키를 올린다.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 [[이영현]] [Youtube(343H6IbaPCU)] 2키를 올려 불렀다. * [[서문탁]] [youtube(PadQBZbq3k8)] 마찬가지로 2키를 올려 불렀다. === [[김인섭]] === [youtube(vjRP_Y94xY8)] [youtube(hjGpPfPG-DA)] 화음 추가 버젼 === [[권민제]] === [youtube(ReFXt08VPFg)] === [[버블디아]] === [youtube(SGWohw86Xk8)] '''4키'''를 올려 불렀다. 여키 기준 -1키. === 양경민(유튜버) === [youtube(vntL_SsMKow)] === [[HB crew]] 이예은 === [youtube(UZ4wUKsbNPU)] === [[연규성]] === [youtube(Ci-9s6UPKWs)] === [[하준석]] === [youtube(xWrWNfouVIE)] === 박주현 === [youtube(R4dcC_J8Xyg)] == 기타 == * 이수 솔로 커리어 최고의 히트곡인 건 맞지만 의외로 [[M.C The Max]] 팬들 사이에서 평가가 갈리는 편인데, 아무래도 곡 자체가 이수만을 위해 쓰여진 게 아니라서인 것으로 보인다. * 물론 이수에게 이 곡만 부르라고 하면 당연히 원곡을 뛰어넘는 고음을 들을 수 있지만 겨울나기에서 상당히 많은 고음 노래들을 뽑아내는 탓에 사실 공연에서 부르기는 힘들다. 공연에서의 최초 라이브는 일부 파트이긴 하지만 기행문 울산 콘서트에서 행하였다. 아래 영상은 어김없이 유튜브 라이브 영상이다. [Youtube(UYERgC-nmac?si=Mm7JnremkmZ05d6h&t=258)] == 관련 문서 == * [[고음/노래 목록]] * [[이수(가수)]] * [[M.C The Max]] * [[콘서트에서 부르지 않는 노래]] [[분류:록 발라드]][[분류:M.C The Max/노래]][[분류:2017년 노래]][[분류:드라마 음악]][[분류:돈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