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필 콜린스)] ||<#000> '''No Jacket Required의 수상 및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74)]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954, 연도=1998)]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139)]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1980년~1999년))] ---- ||<-5> [[파일:Grammy.svg|width=50]][br]'''[[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팝 보컬 퍼포먼스 부분 수상자''' || || '''1985년''' ||<|3> → || '''1986년''' ||<|3> → || '''1987년''' || || [[필 콜린스]][br]''{{{-1 [[Against All Odds (Take a Look at Me Now)|Against All Odds]]}}}'' || [[필 콜린스]][br]''{{{-1 [[No Jacket Required]]}}}'' || [[스티브 윈우드]][br]''{{{-1 [[Higher Love]]}}}'' || ---- [include(틀:브릿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1977년~1999년))] ----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Meat Is Murder, 전번_아티스트=더 스미스, 이번_앨범=No Jacket Required, 이번_아티스트=필 콜린스, 1위_기간=5주 연속, 후번_앨범=The Secret of Association, 후번_아티스트=폴 영)] ---- ||<-5><#fff,#191919> {{{+1 [[빌보드 2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200]]]][br][[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 || ''[[Centerfield|{{{#000 Centerfield}}}]]''[br]{{{-1 [[존 포거티|{{{#808080 존 포거티}}}]]}}} || {{{+1 →}}} || ''[[No Jacket Required|{{{#000 No Jacket Required}}}]]''[br]{{{-1 [[필 콜린스|{{{#808080 필 콜린스}}}]]}}}[br]{{{-2 {{{#808080 (4주 연속)}}}}}} || {{{+1 →}}} || ''[[We Are the World|{{{#000 We Are the World}}}]]''[br]{{{-1 [[마이클 잭슨|{{{#808080 USA for Africa}}}]]}}} || ---- ||<-5><#fff,#191919> {{{+1 [[빌보드 2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200]]]][br][[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 || ''[[We Are the World|{{{#000 We Are the World}}}]]''[br]{{{-1 [[마이클 잭슨|{{{#808080 USA for Africa}}}]]}}} || {{{+1 →}}} || ''[[No Jacket Required|{{{#000 No Jacket Required}}}]]''[br]{{{-1 [[필 콜린스|{{{#808080 필 콜린스}}}]]}}}[br]{{{-2 {{{#808080 (2주 연속 / 누적 6주)}}}}}} || {{{+1 →}}} || ''[[Around the World in a Day|{{{#000 Around the World in a Day}}}]]''[br]{{{-1 [[프린스(음악가)|{{{#808080 프린스 앤 더 레볼루션}}}]]}}} || ---- ||<-5><#fff,#191919> {{{+1 [[빌보드 2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200]]]][br][[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 || ''[[Beverly Hills Cop|{{{#000 Beverly Hills Cop}}}]]''[br]{{{-1 [[Various Artists|{{{#808080 Various Artists}}}]]}}} || {{{+1 →}}} || ''[[No Jacket Required|{{{#000 No Jacket Required}}}]]''[br]{{{-1 [[필 콜린스|{{{#808080 필 콜린스}}}]]}}}[br]{{{-2 {{{#808080 (1주 / 누적 7주)}}}}}} || {{{+1 →}}} || ''[[Songs from the Big Chair|{{{#000 Songs from the Big Chair}}}]]''[br]{{{-1 [[티어스 포 피어스|{{{#808080 티어스 포 피어스}}}]]}}} || ---- [include(틀:배철수의 음악캠프 선정 100대 음반)]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음반명=No Jacket Required)] ---- }}} || ||<-2><#000> '''{{{+1 No Jacket Require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o jacket required.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2016년 리마스터반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o Jacket Required 2.jpg|width=100%]]}}} || }}}}}}}}} || || '''발매일''' ||[[1985년]] [[2월 19일]] || || '''녹음일''' ||[[1984년]] [[5월]] – [[1984년]] [[12월]] || || '''장르''' ||[[팝 록]] || || '''재생 시간''' ||50:27 (CD)[br]46:12 (LP) || || '''곡 수''' ||10곡 || || '''프로듀서''' ||[[필 콜린스]], 휴 패덤 || || '''스튜디오''' ||더 타운하우스 || || '''레이블''' ||버진, 애틀랜틱, WEA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록 음악가 [[필 콜린스]]가 1985년 발매한 솔로 3집이다. == 상세 == 1970년대 후반 [[디스코]]와 [[펑크 록]]의 유행으로 인해 [[프로그레시브 록]]이 망한 이후, 몇몇 음악가들은 [[예스(밴드)|뉴웨이브나]] [[핑크 플로이드|디스코, 하드 록 성향으로]] 노선을 바꿔서 대중성을 추구했고, [[킹 크림슨|몇몇은 밴드를 해체하기도 했는데,]] 전설의 프로그레시브 록밴드 [[제네시스(밴드)|제네시스]]의 리더 [[필 콜린스]]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필 콜린스와 제네시스는 1981년 Abacab 앨범 이후 팝으로 성향을 바꿨는데 이 앨범은 그런 필 콜린스의 팝이 절정에 달했을때 나온 솔로 앨범이다. 앨범에서 [[프로그레시브 록]]의 흔적은 전혀 찾을 수 없으며[* 비슷한 시기 발매된 [[핑크 플로이드]]의 [[A Momentary Lapse of Reason]]이 어느정도 음악성을 대중적으로 바꾸긴 했지만, 그나마 프로그레시브 성향을 고수하였던 점과는 대비된다. --물론 핑플도 판매량은 확 올라갔지만 평론가들에겐 난타를 당했다--] 앨범의 전곡은 R&B, 팝, 디스코 장르의 발라드 넘버들로 채워져있다. 심지어 [[록 음악]]의 성향도 거의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몇몇 리스너들은 이 앨범을 록 음반으로 분류하지 않기도 한다. 앨범 제목이 조금 뜬금이 없는데 그 유례가 재미있다. [[필 콜린스]]와 친분이 있던 음악가 [[로버트 플랜트]][* 전설의 하드 록 밴드 [[레드 제플린]]의 보컬이신 그분 맞다. 다만 이 당시에는 레드 제플린을 해체하고 솔로 활동을 막 시작하던 참이었다.]가 필 콜린스와 함께 [[시카고]]에 있는 고급 레스토랑에 갔는데, 콜린스와 플랜트가 양복을 입지 않아 식당 측에서 두명의 입장을 거부했다고 한다. 당시 플랜트와 콜린스는 재킷을 입은 상태였다. 이에 대해 필 콜린스는 복장이 무슨 상관이냐며 식당측에 따져 물었고, 그럼에도 거절을 당하자 빡쳐서 앨범 이름을 이대로 정했다고 한다(...). 식당 측은 이 앨범이 전세계 모든 나라의 차트에서 1위에 오르자 부랴부랴 [[필 콜린스]]와 [[로버트 플랜트]]에게 사과의 의미로 복장을 갖출 필요는 없다는 사과 편지를 써서 보냈다.--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 흥행 == 발매 직후의 흥행은 그야말로 '''대박'''으로 오스트리아를 제외한 전세계 10개국에서 동시에 차트 1위에 올랐으며, 미국에서는 총 7주간 1위, 영국에서는 5주간 1위를 했다. 독일에서는 그 인기가 인기 폭발이었고 독일에서만 150만장이 팔리며 1985년 한해동안 독일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 되었다. 이 앨범은 1985년 빌보드 차트 기준으로 가장 흥행한 앨범중 하나다. 이 앨범은 미국에서 1,200만장이 팔렸고 세계적으로는 2,500만장정도 팔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미국 내 앨범 판매량 순위 37위와, [[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 43위의 기록이다. 이 앨범이 얼마나 많이 팔렸냐면, 1980년대에 발매된 영국 출신 아티스트의 앨범 중 이 앨범보다 많이 팔린 앨범은 [[다이어 스트레이츠]]의 [[Brothers in Arms]]밖에 없을 정도다. 싱글의 경우 빌보드 1위 곡이 2곡[* [[Sussudio]], [[One More Night]]] 수록되어있으며, 다른 싱글 Take Me Home이 7위, Don't Lose My Number이 '''4위'''를 기록하며 대성공을 거두었다. 월드 투어도 연일 매진행각을 기록하는 대흥행을 보이며 기존 필 콜린스의 투어 세션진인 기타리스트 대릴 스튜머, 베이스 리 스클라, 드럼 체스터 톰슨, 키보드 데이비드 프랭크의 체제를 확립시켰다. 이러한 엄청난 성공에 충격을 받은 [[피터 가브리엘]]은 [[프로그레시브 록]]을 완전히 포기하고 팝으로 노선을 바꿔 또다른 전설의 명반 [[So]]를 발매했다. 흥행은 No Jacket Required가 더 잘되었지만, 평론가들에게는 So의 평가가 압도적으로 좋다. == 평가 == ||<-2><#000> '''No Jacket Required의 전문가 평가''' || || 올뮤직 || ★★★★★ || || 데일리 볼트 || A || || 인사이클로피디아 오브 팝 뮤직 || ★★★ || || 더 프레스 || ★★★★ || || 레코드 콜렉터 || ★★★★ || || [[롤링 스톤]] || ★★★☆ || || 빌리지 보이스 || C || || [[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 74위 || 1986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We Are the World]]가[* 다른 앨범도 아니고 [[마이클 잭슨]], [[레이 찰스]], [[스티비 원더]], [[밥 딜런]], [[브루스 스프링스틴]], [[신디 로퍼]] 등 196~80년대 록/팝 음악을 조금만 들었더라도 모를 수가 없는 전설들이 참여한 앨범이다.] [[다이어 스트레이츠]]의 [[Money for Nothing]], [[포리너]]의 [[I Want to Know What Love Is]] 등 쟁쟁한 경쟁 후보들을 제치고 올해의 레코드 상을 수상했으며, 앨범상 수상도 거의 점찍어둔 상황이었다. 그러나 No Jacket Required는 그런 대중들의 예상을 깨고 We Are the World를 밀어내며 '''1986년 올해의 앨범상'''을 수상했으며 더 나아가 '''팝 보컬상'''까지 2관왕을 차지한다. 이로서 필 콜린스는 1985년 "Against All Odds"에 이어 2회 연속으로 그래미 팝 보컬상을 수상한 셈이 되었다. 그러나 [[필 콜린스]]의 노선 전환에 수많은 [[프로그레시브 록]] 아티스트들이 분개해하였으며, 특히 [[핑크 플로이드]]의 [[로저 워터스]]는 "내 지인중 필 콜린스를 경멸하는 사람들이 수없이 많다"라며 필 콜린스를 공개 비판하였다. 후대의 [[리암 갤러거]] 역시 이 앨범을 비롯한 필 콜린스의 1980년대 앨범들을 "지루하다"라고 평가한 바 있다. 막대한 성공에도 불구하고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은 커녕 어클레임드 뮤직에서도 그 이름을 찾아볼 수 없으며, 그나마 상업성을 음악성만큼 반영한 명반 리스트인 [[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에서만 70위권에 음반을 올렸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앨범은 상업성과 음악성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앨범으로 자주 꼽힌다.[* 물론 판매량을 감안한다면 감히 그 누구도 이 앨범을 폄하하지 못한다. 워낙에 대중적으로 엄청난 성공을 거두다 보니 찬반양론이 갈릴 뿐. 당시엔 그래미 올해의 앨범상까지 수상해내며 음악성과 상업적 성과를 모두 만족한 초히트작으로 평가받았다.] 그럼에도 후대에 발매한 필 콜린스의 솔로 앨범들의 평가가 전부 최악임을 반영하였을때 이 앨범은 필 콜린스의 명실상부한 최고 명작으로 여겨지며 상술했다시피 그의 앙숙이었던 [[피터 가브리엘]]조차 이 앨범의 음악성에 충격을 받고 팝으로 노선을 전환했던만큼 제네시스 시절 발매했던 S급 명반은 아니더라도 충분히 명반 반열에 오른다고 평가받는다. == 트랙 리스트 == === Side A === ==== [[Sussudio]] ==== [youtube(6JdEbokTHdw)] 두번째로 싱글커트된 곡으로 신디사이저와 드럼 머신을 적극 사용한 필 콜린스의 성향변화를 보여주는 곡, 프린스의 1999와 표절시비가 잠시 있었다. 해당 항목 참조. ==== Only You Know and I Know ==== [youtube(dYDYoE8QaV4)] ==== Long Long Way to Go ==== [youtube(E86cxhOTfFo)] ==== I Don't Wanna Know ==== [youtube(cQUanoT0XWg)] ==== [[One More Night]] ==== [youtube(zKVq-P3z5Vg)] 이 앨범에서 싱글커트된 첫 곡으로 필 콜린스의 소울풀하고 부드러운 보컬을 들을 수 있다. === Side B === ==== Don't Lose My Number ==== [youtube(fxH66Sg5864)] 디스코, 발라드가 넘쳐나는 이 앨범에서 제일 락적인 넘버. 그루브를 잘 살리면서도 긴장감넘치는 기타 솔로와 필 콜린스의 힘이 넘치는 드러밍이 일품이다. 후일 필 콜린스가 밝히길 가사와 곡 모두 즉흥적으로 작사작곡했는데 아직까지도 부르는 게 신기하다고 밝힌 적이 있다(...). 빌보드100에서 4위를 차지한 히트곡. ==== Who Said I Would ==== [youtube(VC1_35iQfeo)] ==== Doesn't Anybody Stay Together Anymore ==== [youtube(YbscDQUPw7w)] ==== Inside Out ==== [youtube(L-IpCQp5Wdw)] ==== Take Me Home ==== [youtube(jq1oyB1CNa4)] 네 번째 싱글곡으로 뉴웨이브, 앰비언트 성향을 보여준다. 월드 투어 당시에 앵콜곡으로 자주 불렀다. 곡의 드럼과 신디사이저는 필 콜린스가 직접 연주했다. == 여담 == * 2016년 리마스터반이 발매되었는데, 이때는 커버의 얼굴 사진을 노인이 된 필 콜린스 자신의 얼굴로 바꿨다. [[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영국의 팝 음반]][[분류:영국의 R&B 음반]][[분류:필 콜린스]][[분류:팝 록]][[분류: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