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kFjzwjqpexg)] [youtube(qy4lFxa3MCg)] long ver. 리듬게임 VOEZ의 수록곡. 작곡가 명의는 モリモリあつし vs. uma로, [[モリモリあつし]](모리모리아츠시)와 [[uma(작곡가)|uma]]의 합작이다. 2014년 공개된 '''최초'''의 モリモリあつし와 uma의 합작곡으로, 후에 모리모리아츠시와 유마의 수많은 합작곡과 두 작곡가의 폼을 끌어올려준 기념비 적인 곡이다. 단, 리듬게임 수록으로는 SDVX의 수록곡인 [[Pieces of a Dream]]가 처음이다. 곡 명인 Noël은 프랑스어로 [[크리스마스]]를 뜻한다. 단, 작곡가인 モリモリあつし의 트윗에 따르면 [[https://twitter.com/ats024/status/945243473115996160|크리스마스 곡이라 한적이 없다고 한다.]] 그 중 [[モリモリあつし]]는 Deemo와 VOEZ에 [[PUPA]], Dynamix에 [[紅(Dynamix)|紅]]~~죄다 보스곡이잖아~~를, VOEZ와 [[STELLIGHTS]]에는 [[Vieille Ville]]를 제공한 적이 있으며, uma는 이번이 Rayark의 수록곡으로는 첫 참여이다. 곡 스타일은 모리모리아츠시의 특징으로 자리잡은 시계 소리라던가 샘플링 사용도 그렇고, 전개나 음색도 전체적으로 모리모리아츠시의 초기 스타일이 돋보이는데 마침 2014년도에 발표된 [[Vieille Ville]], [[PUPA]]랑 비슷하다. 거기에다가 uma 특유의 느낌이 가미된 형태로, 이런 스타일은 이후 [[MÚSECA]]의 수록곡인 [[Ärche]]로 발전한다. == [[VOEZ]] == * [[VOEZ/수록곡]] === 채보 === [include(틀:VOEZ의 17레벨)] |||||||| '''Noël''' || |||||||| [[파일:Screenshot_20170527-172326.png|width=300]] || ||<#eee> 작곡 ||||||<:>モリモリあつし vs. uma|| ||<#eee> BPM ||||||<:> 220 || ||<#eee> ||<#6ce> Easy ||<#f9a> Hard ||<#fe7> Special || ||<#eee> 레벨 ||<:>5 ||<:>12 ||<:>'''17''' || ||<#eee> 노트 수 ||<:>317 ||<:>753 ||<:>1112 || [[VOEZ]] 만우절 이벤트 때 [[Gamegame?]] Easy 채보에 숨겨진 이스터 에그를 통해 예고되었고, 5월 26일 1주년이 되는 날 World music Selection에 동봉되었다. 잠수함 패치로 곡 제목은 '''Noel'''에서 '''Noël'''로 제대로 원곡명이 되었고, 명의도 '''モリモリあつし、uma'''에서 '''モリモリあつし vs. uma'''로 변경.[* 참고로 원곡이 수록된 앨범 Un Duex Trois... 상에서는 '''モリモリあつし+uma'''가 명의이니, モリモリあつし、uma는 잘못된게 맞다. 대신 '''モリモリあつし vs. uma'''는 가장 최근에 발매된 앨범인 Re:End of a Dream의 Long ver. 상에서의 명의라 이 쪽이 더 공식.] 참고로 일러스트는 "'''[[성냥팔이 소녀]]'''"가 모티브인 듯한데, 정확히는 성냥팔이 소녀가 다음날 아침 탄 성냥들 사이에서 [[동사]]한 채 발견되는 장면으로 보인다. 해당 동화의 시간적 배경이 크리스마스 이브라는 걸 생각하면 적절한 일러스트. ==== Easy ==== {{{#!HTML이 문장을 지우고 유튜브 소스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플레이/FC/AP/SS 영상[* 셋 중 영상에 해당하는 분류만 적습니다.] 패턴의 구분되는 특징이나, 해당 패턴만의 패턴을 간략하게 적도록 합니다. ==== Hard ==== {{{#!HTML이 문장을 지우고 유튜브 소스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플레이/FC/AP/SS 영상[* 셋 중 영상에 해당하는 분류만 적습니다.] 패턴의 구분되는 특징이나, 해당 패턴만의 패턴을 간략하게 적도록 합니다. ==== Special ==== [youtube(AfQlOnfxPqg)] '''AMP''' 영상. 플레이어는 [[ヒグルース]]. '''VOEZ 최초의 17레벨''' 종합하자면, 이전 패턴에서 별로 좋은 소리를 못 듣던 스와이프 축연타를 제외하고 '''어려운 조합이란 조합은 다 집어넣었다.''' 초반에는 빠른 2-1-2 형태의 폭타가 나온 뒤 스와이프와 동타,홀드로 압박을 해오다가 중반에는 동시치기 연타, 홀드노트 발광, 동타-트릴-동타.. 등의 패턴이 나오고 후반에는 스와이프+슬라이드 발광구간에 단타를 끼워넣은 부분이 나오고 복잡한 단타+스왚+슬라 패턴 후 폭타로 이어지는 후살로 끝난다. 하지만 표기 상 난이도에 비해 50위 컷은 의외로 높게 나온 편인데 1주년 이벤트 때문에 탑랭커들이 몰려서 그런 것도 있지만 채보 특성상 슬라이드 노트가 많아 뭉개기가 쉬워서 점수가 높게 나오는 편. 대부분 [[Interstellar Experience]]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평가한다. 하지만 이 곡이 물렙인 건 아니며, 오히려 인터스텔라가 불렙이라는 평이 중론이다. 이 채보는 [[https://youtu.be/P7t-7zgvSEc|처음 예고된 영상에 비해]] 강화된 [[FREEDOM D↓VE|패턴이다!]] 아마 난이도 상향평준화가 심각해지기 이전에 만들어진 채보인 것 같은데, 난이도 상향으로 [[Cytus]] 최후의 보스곡이 된 [[FREEDOM DiVE]]와는 달리 난이도를 올렸어도 [[Interstellar Experience]]보다 밑이라는 평이 나오니 억울할 만 할 듯. 다만 이것은 어느 정도 클리어가 되는 고수들의 이야기로, 초보자에게 까다로운 패턴[* 특히 중반의 홀드노트 발광은 Gamegame?에서 나온 방식대로 레인이 겹치는 것을 이용해 시작부분만 처리하고 터치는 다른 부위로 유지해도 되는 방법을 모른다면 다지플레이로 처리해야하는데, 이를 모르는 초보자는 백이면 백 여기서 말린다.]들이 산재해있어 이를 전부 처리해낼 실력이 안된다면 체감상 인터스텔라보다 더 어려워질 수도 있다. 그리고 2017년 10월 15일 결국 [[https://twitter.com/h155i/status/919690329233616896|정복당했다.]][* 이제 VOEZ에서 AMP가 나오지 않은 곡은 딱 하나 [[Lost in the nowhere#s-3.1.2|Lost in the nowhere]] HARD 채보 뿐이었으나, 2018년 2월 25일, 226일 만에 AMP가 뚫렸다.][* 여담으로 수록 당일인 5월 26일을 제외하면 '''[[Aragami|AMP가 142일만에 나왔다.]]''' Aragami 또한 AC가 142일 만에 나왔는데 두 곡 모두 꽤 긴 기간동안 AC/AMP자리를 방어했다는 공통점을 생각해보면 엄청난 우연] === 기타 === 게임에 실린 버전은 モリモリあつし의 앨범인 Un Duex Trois...에 수록된 원곡 버전이며, タイムカプセル에 Noël -Nordic Nation Edit-으로, uma와 モリモリあつし 두 사람의 콜라보레이션 앨범인 [[Re:End of a Dream]][* 즉, 곡 이름의 명의로 앨범을 낸 것 해당 곡의 BGA에 나오는 캐릭터는 그 전에도 モリモリあつし의 개인 앨범 커버나 앨범 홍보 영상에 자주 나왔다.]에는 Noël (long ver.) 로 따로 수록되었다. 전자는 Rayark계열 게임의 비공식 떡밥(...)을 올리는 유튜브에 올라온 적 있으나, 저작권 크리로 계정이 아예 사라졌다. == [[Muse Dash]] == [youtube(JgLUjAWO8Kc)] 마스터 ★10 퍼펙트 영상. == [[Cytus II]] == [include(틀:Cytus II/Graff. J)] === 채보 === ||<-4> '''{{{#fff Noël}}}''' || ||<-4> [[파일:Noël.png|width=300]] || || 작곡 ||<-3> [[モリモリあつし]] vs. [[uma(작곡가)|uma]] || || BPM ||<-3> 220[* 스크롤속도 165] || || 연주 시간 ||<-3> 0:00 || ||<|2> {{{#373A3C,#DDDDDD 레벨}}} || '''EASY''' || '''HARD''' || '''CHAOS''' || || 5 || 9 || 15 || || 노트 수 || ? || ? || 1101 || || 특이사항 ||<-3> Rayark 12th Collection 보스곡 || ||<-2> '''해금 조건''' || || '''EASY''' ||<|3> Rayark 12th Collection 구매 || || '''HARD''' || || '''CHAOS''' || ==== EASY ==== ==== HARD ==== ==== CHAOS ==== [youtube(dHIdqmeYv8k)] TP100 영상. 플레이어는 Meitner. [[Caliburne ~Story of the Legendary sword~]], [[Nídhögg]], [[honeykill]]처럼 8분의 6박자 저속 스크롤의 성향을 띠는 채보이다. 최후반부에 난이도가 집중되어 있는데, 플릭+2단타 패턴과 고밀도 6플릭 패턴은 플릭 특성상 미스가 날 가능성이 높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Noel, version=21)][[분류:VOEZ의 수록곡]][[분류:Cytus II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