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No.(유희왕), top2=유적의 넘버즈)] [include(틀:No.)] [목차] == 원작 == [[파일:external/static2.wikia.nocookie.net/329px-Number54LionHeart-JP-Anime-ZX.png]] || 한글판 명칭 ||||||||'''No.54 반골의 투사 라이언하트'''|| || 일어판 명칭 ||||||||'''[ruby(No., ruby=ナンバーズ)]54 [ruby(反骨, ruby=はんこつ)]の[ruby(闘士, ruby=とうし)]ライオンハート'''|| || 영어판 명칭 ||||||||'''Number 54: Lion Heart'''|| |||||||||| [[엑시즈 소환|엑시즈]] / 효과 몬스터 || || 랭크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땅]] || [[전사족]] || 100 || 100 || ||||||||||레벨 1 몬스터 × 3 이 카드는 "No."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이외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또한,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이 카드의 전투에 의해서 자신이 전투 데미지를 받았을 때, 그 전투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도 준다. 이 카드의 전투에 의해서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0이 될 경우,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는 100이 된다.'''|| ||||||||||'''나오너라, No.54! 뜨거운 투지의 우렁 외침이 잠든 영혼조차 떨게 한다! 반골의 투사 라이언하트!!'''||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Number54LionHeart-JP-Anime-ZX-Sealed.png]]|| || 뉴트럴체 || [[유희왕 ZEXAL]] 103화에서 등장. [[아리트]]가 유적의 정령과 [[리얼 파이트]](?)를 벌이던 중, 라이언하트의 정령이 아리트의 투지에 반응하여 "설마!? 당신은..." 라는 말을 남기고 아리트가 손에 들어가게 된다. 아리트는 이 카드가 강력하긴 하지만 자신에게까지 엄청난 리스크를 부여하는 양날의 검이기에 자신이 쓰기엔 부담스럽다고 생각하여 이에 유적을 찾아온 [[고슈]]에게 이 카드를 넘겨준 후 [[RUM-바리언즈 포스]]로 세뇌시켜 태그를 맺는다. 태그 듀얼이라 첫 턴은 공격이 불가능한 걸 이용해 한 턴을 버틴 [[히로익|H·C 앰브시 솔저]]의 효과로 [[히로익|H·C 야습의 칸델라르와 H·C 더블 랜스]]를 레벨 1로 하여 소환해 레벨 1인 [[히로익|H·C 클래스프 나이프]]와 오버레이하여 소환한다. 곧바로 [[No.39 유토피아]]를 공격하여 고슈 자신과 [[츠쿠모 유마]]에게 데미지를 입혔다. 말 그대로 '''[[크로스 카운터]]'''. 즉 아리트는 처음부터 고슈를 몸빵으로 쓰려고 세뇌했던 것. 도중에 고슈가 [[RUM-바리언즈 포스]]를 뽑아서 진화시킬 수도 있었지만 상황이 그렇게 돌아가지 않아 진화체가 나오지는 않았다. 130화에서 츠쿠모 유마와 아리트가 한번 더 듀얼을 하면서 재등장해 [[No.39 유토피아]] 대신 대활약.[* 활약이 가능했던 이유는 [[유적의 넘버즈]]가 [[오버 헌드레드 넘버즈]]를 파괴할 경우 '''[[돈 사우전드]]의 저주를 풀 수 있기 때문'''.] [[크리볼트]], [[무지개 크리보]], 다크론을 오버레이해서 엑시즈 소환되어 [[CNo.105 BK 혜성의 카에스토스]]와 파동으로 기싸움을 한 후 공격해 데미지를 주지만 카에스토스의 장착 카드가 된 [[No.80 광장패왕 랩소디 인 버서크]]의 효과로 아리트를 끝장내지는 못했고, 유마의 라이프는 0이 된다. 이때 자신의 효과로 유마의 0이 된 라이프를 100으로 만든다. 이후 아리트가 카에스토스에 랩소디 인 버서크를 소생하여 [[RUM-바리언즈 포스]]로 랭크 업한 [[CNo.80 장장패왕 레퀴엠 인 버서크]]를 장착해서 다시 공격해오자 함정 카드 디멘션 U턴으로 회피하고 이쪽도 장착 마법 왕자의 성외투를 장착해 카에스토스를 공격, 공격력이 동일한 상황에서 레퀴엠 인 버서크의 효과로 라이언하트의 효과가 무효화 되어 파괴될 위기에 처하나 묘지로 보내진 왕자의 성외투의 효과로 버티고 카에스토스와 공격력을 뒤바꿔 다시 전투, 카에스토스를 쓰러트려 아리트에게 과거의 검투사였을 때의 기억을 되돌려 준다.[* 해당 장면은 이후 [[듀얼리스트 팩/폭염의 듀얼리스트 편|폭염의 듀얼리스트 팩]]에서 BK 지원으로 등장한 [[BK(유희왕)|버닝나클 크로스카운터]]로 재연됐다.] 공격명은 '''버닝 크로스 카운터(Burning Cross Counter)'''. 효과명은 '''레스큐 쇼크(Rescue Shock)'''. 효과를 발동했을 시 심장이 멈춰버린 사람의 심장에 전기충격을 해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듯이 라이프가 0이 된 플레이어에게 전기충격을 날려서 다시 깨운다. 참고로 이 효과는 라이프가 0이 된 사람이 하지 않고 고슈가 할때는 아리트가 유우마는 아스트랄이 효과명을 외쳤다. 이 카드가 [[No.44 백천마 스카이 페가수스]]와 함께 [[아스트랄(유희왕)|아스트랄]]에게 보여준 기억은 '''[[바리안 칠황]]이 전생에는 [[사람]]이었다는 것이다.''' 7장의 유적의 넘버즈는 각각 바리안의 칠황과 관련되어 있으며 그와 관련된 전설 속 인물은 모두 해당 칠황의 전생이다. 이 카드가 있던 유적의 전설 속 인물은 [[아리트]]. == OCG == [include(틀:유희왕/OCG/컬렉터즈 팩 커버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22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No.54 반골의 투사 라이언하트, 일어판명칭=No.(ナンバーズ)54 反骨(はんこつ)闘士(とうし)ライオンハート, 영어판명칭=Number 54: Lion Heart, 속성=땅, 레벨=1, 공격력=100, 수비력=100, 종족=전사족, 소재=레벨 1 몬스터 × 3, 효과1=①: 공격 표시의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대신에 상대가 받는다., 효과3=③: 이 카드의 전투로 자신이 전투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에 발동한다. 받은 데미지의 수치만큼 상대에게 데미지를 준다.)] 엑시즈 소재가 없을 때도 일단 자신이 받은 전투 데미지만큼 상대에게 효과 데미지를 줄 수는 있기에 자신의 라이프가 상대보다 높다면 손실을 감수하며 피니셔로 활약할 수 있다. 전투 내성을 지니고 있어 벽으로 남아주기 때문에 효과로 제거당하지 않는 한 소재가 없어도 잉여가 되지 않는다는 것도 이점. 다만 수비 표시로 변경되면 파괴 내성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사용에 컨트롤이 요구된다. [[최종 돌격명령]] 같은 카드들을 이용해 공격 표시를 유지시킬 수는 있으나 [[로우 레벨]] 덱 특성상 사용에 난점이 많다. 원작에 있었던 전투에 의해서 라이프가 0가 됐을 때 오버레이 유닛을 하나 쓰는 것으로 라이프를 100으로 만드는 독특한 효과가 사라진 대신 데미지 계산시에 발동해서 [[No.92 위해신룡 Heart-eartH Dragon|자신이 받을 전투 데미지를 대신 상대에게 떠넘긴다]]는 효과로 바뀌어서 사실상 대폭 상향되었다. 물론 유니크한 효과가 조금 평범한 효과로 바뀐 건 아쉽지만 원작의 효과는 룰 파괴스러운 효과다. 애초에 [[사신 게|라이프가 0이]] [[디포머#s-2.1.16|되어도 패배하지]] [[인페르니티#s-8.1|않는 효과]]가 그대로 OCG화 된 전례는 없다. [[아마조네스의 검사]]나 [[매직 슬라임]]과 유사한 반사 효과로서, 저들과는 달리 공격 표시로 서 있다면 전투 파괴 내성을 활성화시켜서 버틸 수 있는 데다가 공격력이 100으로 매우 낮아 공격력이나 수비력이 높은 상대 필드의 몬스터에게 들이받으면 상당량의 데미지를 기대할 수 있어 이런 류의 카드들 중에서는 소환 난이도를 감안하더라도 성능이 월등히 좋다. 게다가 이 효과의 사용에 1턴에 1번 제약이 없기에 [[가디언(유희왕)|섬광의 쌍검-트라이스]]를 달아 공격력을 아예 0으로 만들고 2번 들이받아서 엄청난 데미지를 입히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런 류의 카드가 항상 그렇듯 라이프 이외의 피해를 전혀 줄 수 없다는 점 때문에 듀얼 초반의 효용성은 떨어진다. 게다가 상대 몬스터를 그대로 남기기 때문에 [[유벨]]시리즈 등에 비해 안정성이 떨어지며 상대가 그냥 이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하거나 효과로 제거해버리고 공격해 들어오는 방법도 존재한다. [[유벨|파괴되어도 진화되는 녀석]]들이나 [[No.92 위해신룡 Heart-eartH Dragon|파괴되면 돌아와서 파워업하는 녀석]]에 비해 효과에 대한 내성이 아예 없다는 것은 치명적. 또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소환 난이도다. [[샤이니트 매지션]] 외의 랭크 1 몬스터가 잘 쓰이지 않는 건 그 자체의 성능이 좋지 않았던 것도 있지만 소재를 3장이나 요구한다는 점도 있었는데, 이 카드 역시 마찬가지. 일단 묘지에 레벨 1의 [[저주받은 하인]]을 많이 묻는 저주받은 하인 덱이라면 [[트라이 저주받은 하인 존]] 1장만으로 간단하게 낼 수 있지만 쓸 수 있는 덱은 많지 않고, 안 그래도 범용성이 낮은 랭크 1 몬스터에게 더욱 더 범용성을 기대하기 힘들어져버렸다는 점이 뼈아프다. 그나마 피니셔가 되어줄 수 있는 효과이기에 다른 랭크 1 몬스터에 비해 고생해서라도 뽑을 가치는 있다는 게 위안거리. ~~물론 뭘 뽑아도 [[No.56 골드래트|이 쥐]]보단 낫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컬렉터즈 팩]] 제알 편 || CPZ1-KR018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컬렉터즈 팩]] ZEXAL편 || CPZ1-JP018 || [[울트라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Number Hunters]] || NUMH-EN026 || [[시크릿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No.54 반골의 투사 라이온 하트, version=51)][[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분류: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