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분류:No.]] [[유희왕]]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마인(유희왕))] [include(틀:No.)] [include(틀:벡터 덱 관련 문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static3.wikia.nocookie.net/329px-Number65DjinnBuster-JP-Anime-ZX.png|width=100%]]||<:>[[파일:attachment/652.jpg|width=100%]]|| || 한글판 명칭 ||<-4>'''No.65 재단[ruby(마인, ruby=魔人)][* 한국에서의 어감을 생각하면 '재단마인'보다는 '처단마인' 쪽이 더 어울리는 번역이었다.] 저지 버스터''' || || 일어판 명칭 ||<-4>'''[ruby(No., ruby=ナンバーズ)]65 [ruby(裁断, ruby=さいだん)][ruby(魔人, ruby=まじん)]ジャッジ・バスター'''|| || 영어판 명칭 ||<-4>'''Number 65: Djinn Buster'''|| ||<-5> [[엑시즈 소환|엑시즈]] / 효과 몬스터 || || 랭크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어둠 || 악마족 || 1300 || 0 || ||<-5>레벨 2 몬스터 × 2[br]이 카드는 "No."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이외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효과의 발동을 무효로 해, 상대 라이프에 500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5>'''"나타나라 No.65! 저주받은 심판의 집행자, 재단마인 저지 버스터!"'''||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Number65DjinnBuster-JP-Anime-ZX-Sealed.png|width=100%]]|| ||<:>뉴트럴체|| [[유희왕 ZEXAL|유희왕 ZEXAL II]] 101화에서 [[블랙 미스트(정령)|No.96 블랙 미스트]]가 손에 넣은 유적의 넘버즈. ~~[[아스트랄(유희왕)|오른쪽]]이 아니라 왼쪽이다~~ [[벡터(유희왕)|벡터]]의 과거와 관련이 있는 듯하다. 블랙 미스트는 한 발 늦게 등장한 [[아스트랄(유희왕)|아스트랄]]을 상대로 이 넘버즈를 걸고 듀얼을 개시한다. 102화에서 블랙 미스트의 2번째 턴에 [[마리스보라스]] 나이프 2장으로 엑시즈 소환되었다. 이 때 벡터는 이 카드에게서 심상치 않은 기운이 느껴진다며 두려워하기도 했다. 듀얼에서는 효과로 아스트랄의 [[No.39 유토피아]]와 맥 폭탄의 효과를 무효화하고 1000 효과 데미지, 직접 공격으로 1300 데미지를 주는 등 제법 활약한 편. 듀얼 막바지에는 블랙 미스트가 쓴 [[RUM-바리언즈 포스]]로 [[CNo.65 재단마왕 저지 데블]]로 진화한다. 결국 듀얼이 무승부로 끝나는 바람에 그대로 블랙 미스트가 소유하고 도주. 110~111화에서 블랙 미스트가 다시 듀얼할 때는 등장하지 않았다. 이후의 소유권은 아스트랄에게 넘어간 것으로 보였지만, 6기 오프닝에서는 벡터와 저지 데블이 함께 나왔다. 아무래도 블랙 미스트 회수를 실패하고 돈 사우전드의 옥좌 앞에 봉인된 상태로 되어있을 때도 같이 있었던 듯. 그걸 벡터가 블랙 미스트와 함께 회수한 것으로 보인다. 벡터와 [[낫슈]]의 듀얼에서는 카오스 라이징의 효과로 카오스체인 저지 데블이 바로 나와서 등장하지 못했고, 정작 [[CNo.104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엄브럴]]을 파괴해 [[돈 사우전드]]의 저주를 푼 것은 이 카드의 카오스 엑시즈 형태인 저지 데블이었다. 그 다음에는 [[낫슈]]에게 넘어갔다가, 낫슈가 패배하고 아스트랄에게 회수되었다. 사형 집행인이었다는 전설과는 달리 디자인은 단순히 칼을 든 악마 정도로 보인다. 랭크도 그렇고 (소재가 있을 때 한정이지만) 효과에 무적인 것도 그렇고, 어디로 보나 전투에 무적인 블랙 미스트와 함께 쓰라고 디자인된 듯한 카드. 제대로 쓰인 101~102화에서도 실제로 그랬다. === [[유희왕/OCG|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02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No.65 재단마인(魔人) 저지 버스터, 일어판명칭=No.(ナンバーズ)65 裁断(さいだん)魔人(まじん)ジャッジ・バスター, 영어판명칭=Number 65: Djinn Buster,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1300, 수비력=0, 종족=악마족, 소재=어둠 속성 레벨 2 몬스터 × 2,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No.22 프랑켄|소재에 어둠 속성이라는 제약]]이 붙은데다가 [[No.42 스타쉽 갤럭시 토마호크|효과를 발동할 때 소재를 2개 요구하도록 변경]]되어 원작보다 심하게 너프되었다. 특히 소환 소재에 어둠 속성이라는 제약이 붙은 것이 매우 치명적인 하향. 원작에서 어둠 속성 소재 제약이 붙은 블랙 미스트는 오히려 현실에선 제약이 없어져 대폭 상향되었는데... 주로 랭크 2 엑시즈 소환을 주축으로 하는 덱은 [[개구리(유희왕)|개구리]] 덱, [[방해꾼]]덱, [[창조의 대행자 비너스]]와 [[신성한 구체]]를 이용하는 [[대행자(유희왕)|대행자]] 덱인데 이들은 모두 어둠 속성이 아니라 소환조차 하지 못한다. 일단 효과 범위는 필드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까지 막을 수 있도록 확장되었지만, 문제는 소재를 한꺼번에 2개나 쓰는지라 문자 그대로 1회용인 셈. 능력치도 매우 처참해서 효과를 쓰기도 전에 전투로 날아가 버릴 수도 있다. 이 카드를 쓴다면 주로 상대의 리버스 효과를 견제하거나, 상대 패에 [[저승사자 고즈]]나 [[배틀 페이더]]같은 카드가 있을까 의심이 들 때에나 쓰게 될 것이다. 안 그래도 강화 효과가 달린 [[까칠까칠 간테츠]]나 공격력 / 수비력 선택 증가 + 1회용 방어 효과를 지닌 [[아머 갑파]] 쪽이 우선 쓰일 텐데 이런 데에서까지 뒤쳐져 버리면 이 카드는 [[마리스보라스]] 말고는 별로 쓸 덱이 없다. 그나마 어둠 속성인 인페르니티 비틀을 2장 전개하기 쉬운 [[인페르니티]] 정도. 그것 때문인진 몰라도 [[섀도우 스펙터즈]] 일본판 슈퍼 레어 중에서 가장 '''비싸다.''' [[No.44 백천마 스카이 페가수스]]도 그렇고 유적의 넘버즈씩이나 되는 것들 취급이 영 안 좋다. 마인(魔人) 엑시즈 몬스터인지라 [[마인(유희왕)|마인]]의 서포트를 받을 수는 있지만, 마인(魔人) 덱은 레벨 3~4를 위주로 운영되는 지라 같이 쓰일 일은 사실상 별로 없다. 그렇게 한동안 잊혔다가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에서 발매된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의 등장으로 퍼미션 파츠로서의 수요가 늘었다. 레벨 / 랭크 / 링크 2 몬스터를 주축으로 전개하는 덱이고, 어둠 속성이 많아서 쉽게 엑시즈 소환할 수 있으며, 비록 일회성이긴 해도 '''패 트랩'''을 무효화할 수 있으며, 스프라이트의 캐롯과 레드의 효과를 이용하면 이 카드를 코스트로 상대가 마법 / 함정의 발동 또는 몬스터 효과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할 수 있기 때문에[* 랭크 2 또는 링크 2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발동했을 경우, 추가로 그 몬스터 또는 그 카드를 파괴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섀도우 스펙터즈]] || SHSP-KR047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섀도우 스펙터즈|SHADOW SPECTERS]] || SHSP-JP047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No. COMPLETE FILE -PIECE OF MEMORIES- || NCF1-JP065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섀도우 스펙터즈|Shadow Specters]] || SHSP-EN047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Battles of Legend: Monstrous Revenge || BLMR-EN079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관련 카드 == === [[CNo.65 재단마왕 저지 데블]] === 저지 버스터의 [[카오스 엑시즈]]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