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include(틀:No.)] [[파일:No.74 マジカル・クラウン-ミッシング・ソード.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엑시즈=, 한글판명칭=No.74 매지컬 크라운-미싱 스워드, 일어판명칭=No.(ナンバーズ)74 マジカル・クラウン-ミッシング・ソード, 영어판명칭=Number 74: Master of Blades, 속성=땅, 레벨=7, 공격력=2700, 수비력=2300, 종족=사이킥족, 소재=레벨 7 몬스터 × 2, 효과1=①: 이 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그 후\,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TCG 한정 부스터 팩 [[Number Hunters]]에서 데뷔한 넘버즈. 이전까지 원작에서 전혀 모습을 보이지 않은 카드였기에 많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는데, 컬렉터즈 팩 -제알편-을 통해 OCG 발매가 발표되면서 '''OCG 오리지널 No.'''라는 사실이 발표되었다. 등장하면서 소환 조건이 따로 없는 범용 랭크 7 엑시즈 몬스터 최대 공격력을 갱신한 카드다. 이 카드 이전까지 잘 쓰이던 범용 랭크 7 몬스터인 [[No.11 빅 아이]], [[신뢰의 기사 가이아 드라군]], [[환상수기 드래고사크]]는 전부 공격력이 2600이었기 때문. 이후 공격력 2800의 [[붉은 눈의 강염룡]]에게 그 자리는 내주었다. 공격력도 범용 랭크 7로서 꽤 우수하지만 효과도 상당히 우수하여 종류를 막론하고 대상 지정 효과에 대한 유사 내성을 가지고 있다. 또 이렇게 대상 지정 효과를 무효화했을 때 보너스로 들어오는 쏠쏠한 파괴 효과도 있는데, 이 파괴 효과 때문에라도 상대가 이 카드를 효과의 대상으로 지정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이 효과를 쓸 일이 없는가 하면 그건 아니어서, 자신과 상대의 효과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자기가 능동적으로 발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무효화하고 파괴까지 해 버리기 때문에 자기 효과 몬스터의 효과로 지정하려고 하면 뼈아픈 희생을 감수해야 하지만 마법 / 함정이라면 비교적 피해가 덜한 편. 소재를 제끼는 걸 논외로 치면 최소한 1:1 교환은 되기 때문에 가끔 정말로 파괴해야 할 카드가 있다면 이용해 보자. [[크림즌 블레이더]] 등이 공격력이 살짝 부족한 이 카드를 노리고 달려들 때 기습적으로 발동해서 이 카드를 보호하는 것도 좋다. 어떤 카드로 이 카드를 대상 지정할 수 있을지는 자신의 덱에 달렸다. 이 카드는 등장할 당시 기존의 랭크 7 범용 몬스터들로는 처치할 방법이 전혀 없었다. 우선 전투로는 이길 수 없으며 빅 아이의 컨트롤 탈취도, 드래고사크의 파괴효과도 대상 지정 효과이기 때문에 이 카드를 손댈 수 없다. 이 카드를 손댈 수 있는 같은 랭크의 엑시즈 몬스터는 이 카드의 출시 이후에나 등장한 강염룡 등이 있고, 넘버즈는 이후 OCG 오리지널로 발매된 [[No.76 해조광사 그라디엘]][* 그라디엘은 미싱 스워드와 원래 공격력이 같으며 그라디엘을 소환할 시 땅 속성 몬스터를 소재로 사용했다면 전투 실행 시에 그라디엘의 지속효과형 자체 파괴 내성으로 미싱 스워드 혼자서만 전투 파괴된다.], [[No.89 전뇌수 디아블로시스]][* 공격력부터가 디아블로시스 쪽이 100 더 높기에 일방적으로 압살 가능하다.]밖에 없다. 그러나 발동 타이밍을 체인으로 놓치게 할 수 있다. 해황머메일의 경우, 최상급 머메일의 특수 소환 효과로 [[해황(유희왕)|해황의 중장병]]을 버리고 특수 소환한 후, 체인 1에 중장병을, 체인 2에 상급 머메일을 놓으면 발동 타이밍을 놓쳐 파괴된다. 암흑계 역시 한번에 그라파를 포함해 암흑계를 2장 이상 버려 체인 블록을 쌓는 것으로 이 몬스터를 없앨 수 있다. --애초에 둘 다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자폭하거나]] [[머메일|때려잡을 수 있는 수단이]] 있다.-- 재미있게도, 일본판 이름과 해외판 이름이 같은 카드라고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이 다르다. 일본판의 이름을 보면 마치 "매지컬 크라운"이라는 카드군의 에이스 카드라도 되는 듯한 이름을 갖고 있으며, 한글판 이름은 이 쪽을 따른다. 하지만 TCG판의 이름 "Master of Blades"에 카드군의 이름이 될만한 요소가 전혀 들어가있지 않기에 매지컬 크라운 같은 카드군이 나오는 일은 없을 듯 하다. 설령 그런 게 나오더라도 카드의 이름으로 지정되지 않거나 이 카드가 서포트를 받지 못하게 될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컬렉터즈 팩]] 제알 편 || CPZ1-KR025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컬렉터즈 팩]] ZEXAL편 || CPZ1-JP025 || [[슈퍼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No. COMPLETE FILE -PIECE OF MEMORIES- || NCF1-JP074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Number Hunters]] || NUMH-EN032 || [[시크릿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 Maximum Gold || MAGO-EN058 || [[레어(유희왕)|레어]][* 기존의 레어 카드하고 달리 카드명은 울레와 동일한 금색이다.]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사이킥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분류: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