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CK 역대 대회)] ||<-5> [[파일:lck-old-logo-1.png|width=32]] '''{{{#fff 역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fff LoL Champions Korea}}}]] {{{#fff 일람}}}''' || || [[나진 블랙 소드|NaJin Sword]] ||<|2> → || '''[[MVP Ozone|[[파일:Team MVP.png|height=25]][br]MVP Ozone]]''' ||<|2> → || [[SK텔레콤 T1 K|SK Telecom T1]] || || [[OLYMPUS Champions Winter 2012-2013|Champions Winter 2012-2013]] || '''Champions Spring 2013''' || [[HOT6 Champions Summer 2013|Champions Summer 2013]] || ---- ||
[[파일:130614-risell-lol6.jpg|width=100%]] || ---- ||
[[파일:attachment/image_60.jpg|width=100%]] || ---- ||<-3>
<#fff>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oL Champions logo1.png|height=85]]]] || ||<-3> '''{{{#white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 || {{{#white '''대회 기간'''}}} ||<-2> [[2013년]] [[4월 3일]] ~ [[6월 15일]] || || {{{#white '''주최'''}}} ||<|2> [[라이엇 게임즈|[[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2006-2019).svg|width=80]]]] ||<|2> [[한국e스포츠협회|[[파일:한국e스포츠협회 로고.svg|width=100]]]] || || {{{#white '''주관'''}}} || || {{{#white '''제작'''}}} ||<-2> [[OGN|[[파일:온게임넷 로고.svg|width=60]]]] || || {{{#white '''경기장'''}}} ||<-2> [[용산 e-Sports 스타디움]] || || {{{#white '''스폰서'''}}} ||<-2> [[올림푸스(기업)|[[파일:올림푸스 로고.svg|width=80]]]] || ||<-3> {{{#white {{{+1 '''중계'''}}}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white '''중계 플랫폼'''}}} || {{{-3 {{{#white '''TV'''}}} }}} || || [[OGN|[[파일:온게임넷 로고.svg|width=50]]]] || ||<|10> {{{#white '''중계진'''}}} || {{{-3 {{{#white '''캐스터'''}}} }}} || || [[전용준]], [[성승헌]], [[정소림]] || || {{{-3 {{{#white '''해설자'''}}} }}} || || [[강민]],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 ||||}}} || ||<-3> {{{#white {{{+1 '''일정'''}}}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hite '''12강'''}}} ||<-2> [[4월 3일]] ~ [[5월 4일]] || || {{{#white '''8강'''}}} ||<-2> [[5월 8일]] ~ [[5월 17일]] || || {{{#white '''4강'''}}} ||<-2> [[5월 29일]] ~ [[5월 31일]] || || {{{#white '''3,4위전'''}}} ||<-2> [[6월 5일]] || ||<|4> {{{#white '''결승전'''}}} ||<-2> {{{-3 {{{#white '''대진'''}}} }}} || ||<-2> [[6월 15일]][br][[MVP Ozone]] vs [[CJ Entus Blaze]] || ||<-2> {{{-3 {{{#white '''경기장'''}}} }}} || ||<-2> [[일산]] [[KINTEX]] 제2전시장 || ||||}}} || ||<-3> {{{#white {{{+1 '''대회 결과'''}}}}}}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white '''우승'''}}} }}} ||<-2> [[MVP Ozone|[[파일:Team MVP.png|width=35]]]] '''{{{+1 [[MVP Ozone]]}}}''' || || {{{#white '''준우승'''}}} ||<-2> '''[[CJ Entus Blaze|[[파일:CJ Entus BLAZE.png|width=25]]]]''' [[CJ Entus Blaze]] || ||<|2> {{{#white '''MVP'''}}} ||<-2> {{{-3 {{{#white '''통합'''}}}}}} || ||<-2> [[배어진]] (MVP.O dade) || ||<|10> {{{#white '''KDA[br]챔피언'''}}} ||<-2> {{{-3 {{{#white '''TOP'''}}}}}} || ||<-2> [[이호종]] (CJB Flame) || ||<-2> {{{-3 {{{#white '''JGL'''}}}}}} || ||<-2> [[배성웅]] (SKT #2 Bengi) || ||<-2> {{{-3 {{{#white '''MID'''}}}}}} || ||<-2> [[배어진]] (MVP.O dade) || ||<-2> {{{-3 {{{#white '''ADC'''}}}}}} || ||<-2> [[구승빈]] (MVP.O imp) || ||<-2> {{{-3 {{{#white '''SPT'''}}}}}} || ||<-2> [[조세형]] (MVP.O Mata) ||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3년 4월 3일부터 6월 15일까지 펼쳐진 [[League of Legends Champions]]의 2013 스프링 시즌. == 참가팀 == [include(틀: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참가팀)] === 특이사항 === * LOL Champions의 네번째 시즌 * 롤챔스 사상 최초의 TV HD방송[* 인터넷으로는 예전부터 HD방송을 해오고 있었다.] * 국내 e스포츠 리그 결승전 최초로 '''전 좌석 유료, 지정 좌석제''' 도입 [* 각 좌석별 가격은 R석 25,000원, S석 15,000원, A석 7,000원. 출처는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744&l=1648&vtype=pc|여기]] ] 그리고 전 좌석 매진되었다. * [[강찬용|앰비션]]이 KT롤스터 A팀을 상대로 '''롤챔스 사상 첫 미드라이너 [[펜타킬]]을 달성함과 동시에 비원딜 챔피언 첫 펜타킬을 달성'''하였다. * Najin Sword의 8강 탈락으로 인해 '''전시즌 우승팀이 4강 진출에 실패한 첫 롤챔스'''가 되었다. * CJ Frost가 '''결승전에 진출하지 못한 첫 롤챔스'''가 되었다. * 시드결정전 폐지. * [[e스포츠 연맹]]과 [[KeSPA]] 소속 프로게임단의 '''롤챔스 첫 결승 대결.''' (각각 [[삼성 갤럭시 화이트|MVP Ozone]], [[CJ 엔투스 블레이즈|CJ Entus Blaze]]) * 스프링 시즌 '''2연속 KINTEX 결승전'''.[* 온게임넷에서는 전년도처럼 결승전 장소를 스프링 시즌은 킨텍스, 서머 시즌은 야외, 윈터 시즌은 실내로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 8강부터 결승까지 블라인드 픽이 '''단 한판도 나오지 않은 첫 롤챔스'''가 되었다. === 서킷 포인트 === ||<:><#1167b1> 우승 ||<:><#1167b1> 준우승 ||<:><#1167b1> 3위 ||<:><#1167b1> 4위 || ||<:>400 ||<:>200 ||<:>150 ||<:>100 || ||<-2><:><#1167b1> 8강 ||<-2><:><#1167b1> 12강 || ||<-4><:> [[이엠텍 NLB Spring 2013|NLB]] 성적에 따라서 100점~10점 차등 획득[* 다이아리그 1위 100점, 2위 70점, 3위 50점, 4위 40점, 8강 20점, 플래티넘리그 8강 10점.] || == 이모저모 == * 전 시즌 참가팀인 나진 실드의 경우, 모쿠자의 건강상의 문제로 인한 은퇴, 훈과 뱅의 이적, 비닐캣의 코치 전향까지 겹쳐서 시드권이 없을거라고 예상되었으나, 롤챔스 예선 명단에 나진 실드의 명단이 없었고, 이를 통해 시드권을 받았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인벤에서 온게임넷에게 직접 문의한 결과, 실드같은 경우 엑스페션, 울프, 비닐캣 이 3명의 시드권이 유지되었다고 한다. 이 중에서 문제의 여지가 있는게 울프와 비닐캣인데, 울프같은 경우 당시 롤챔스 본선 무대같은 경우 한경기도 안뛴데다가[* 나진이 롤챔스를 탈락한 이후, NLB와 시드챌린지 경기에서만 출전] 영입 자체도 NLB 참가할 즈음에 한 영입이었는데 처음부터 등록한 선수가 아닌 추후 등록한 예비선수도 시드권이 인정되냐는 문제가 있으며, 비닐캣의 경우 이미 은퇴가 확정된 선수를, 실상은 시드권 확보할려고 플레잉 코치겸 식스맨으로 등록했기 때문에 말이 나오고 있다. --감성꼼수--, 즉 이런 식이면 팀 코치를 예비 명단에 1~2명 정도 넣어두고, 다음 시즌마다 코치+기존에 있던 선수 이렇게 채워놓으면 시드권을 채우는데 문제가 없는게 된다. 나진 실드도 이런 부정적인 여론을 의식했는지, 해당 시즌에 플레잉 코치로 등록한 비닐캣이 울프를 대신해 KT B팀과의 경기에서 나와 2경기 모두 잔나를 플레이했는데 그 날 비닐캣의 플레이는 안좋은 의미로 전설이 되었고, 그게 비닐캣의 프로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 12강 B조 14경기에서 온게임넷의 분당 KDA[* 엄밀히 말하면 100초당이다.]로 순위를 가르는 규정이 논란이 되었다. 사건의 시작은 이렇다. 조별 예선의 마지막 주를 앞두고 인벤의 어떤 기자가 8강 진출 팀의 경우의 수에 관한 기사를 올린다. 기자는 분당 KDA로 순위가 결정될 수도 있는 상황을 고려, 자신이 계산한 분당 KDA를 기사 내에 언급하였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계산법에 의한 값이었다. 대회 규정에 의하면 분당 KDA는 해당 팀의 총 KDA를 산출한 후 총 게임 시간(초)으로 나누고, 여기에 100을 곱해 계산한다. 하지만 인벤에선 개별 게임별로 분당 KDA를 따로 계산한 후 평균을 내는 방식을 사용하였다[[http://goo.gl/fr1fx| ]] 원래 방식대로라면 나진 실드가 ahq 코리아에 근소하게 앞서고 있던 상황이지만, 인벤 방식으론 정반대로 ahq korea가 따라 잡기 힘든 수준의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사건은 이 잘못된 기사를 성승헌 캐스터, 김동준 해설이 방송에서 인용하면서 커지게 된다. 중계진까지 ahq 코리아가 분당 KDA에서 앞선다는 언급을 하자 시청자들은 인벤의 계산 방식이 맞다고 확신하였고, 4무 1패로 조별 예선을 마친 나진 실드는 ahq 코리아 vs LG IM 경기의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지 간에 탈락한다는 분석글을 내놓았다. 시청자들의 반응에 다시 영향을 받은 해설진은 ahq 코리아 vs LG IM와의 경기에서 ahq 코리아가 비기기만 해도 사실상 8강 진출이라는 코멘트를 하기에 이른다. 1경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 ahq 코리아는 2경기에선 패색이 짙어지자 빠른 항복, 4무 1패로 조별 예선을 마쳤다. 이때까지만 해도 대부분이 ahq 코리아의 8강 진출을 기정사실화 하여 분당 KDA를 계산 중이라는 온게임넷의 멘트를 요식행위쯤으로 취급하였다. 하지만 MVP 인터뷰 때 발표된 결과는 이를 뒤집는 것이었다. ahq 코리아의 분당 KDA는 0.0163, 나진실드의 분당 KDA는 0.0168, 0.0005의 근소한 차이로 나진 실드가 8강에 진출하게 된 것. 결과가 발표되자 시청자들은 큰 혼란에 빠졌고, 롤 커뮤니티에선 사건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공방이 벌어졌다. 공통적인 결론은 인벤, 온게임넷, ahq 코리아 모두에게 잘못이 있다는 것이다. 먼저 인벤은 대회 룰을 정확히 알아보지 않고 잘못된 정보를 담은 기사를 작성하여 사건의 원인을 제공하였다. 온게임넷 해설진은 기사의 사실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성급하게 방송에서 인용하였고, 제작진은 해설진의 실수를 인식하지 못한 잘못이 있다. ahq 코리아는 8강 진출이 확정된게 아니라는 사실를 온게임넷에게 전달받아 끝까지 최선을 다해야 했음에도 불구, 2경기에서 kda관리를 위한 빠른 항복을 선택해 탈락을 자초하는 실수를 한 셈이 되었다. 결국 김동준 해설[[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653&l=3849120| ]]과 문제가 된 기사를 올린 인벤 기자[[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744&l=1625| ]]는 사과문을 올렸고[* 기자가 한국 lol 초창기 최대 커뮤니티였던 롤 카페의 전 매니저로 밝혀져 옛 일들과 더불어서 더 까였다.], 다음날 방송에서 온게임넷 해설진의 공식적인 사과와 당시 상황 설명[* 정확한 분당 KDA가 나진 실드에겐 전날 경기 후, ahq 코리아에겐 LG IM과 1경기가 끝나고 전달되었다.]이 나가면서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결국 이것이 문제가 되었다고 판단되었는지, Summer 시즌부터는 승점 동률일 시 재경기를 치르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12강 최종전인 CJ 프로스트와 KT 롤스터 B팀과의 경기에서 프로스트는 4강 내전을 피하기 위해, KTB는 8강에서 나진 소드와의 경기를 피하기 위해 일부러 게임에서 지려는 듯한 모습을 보여 문제시되었다. 정말로 지려고 작정하고서 플레이를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다시 이러한 의혹이 생기지않게 12강 이후의 대진표 작성 시스템을 바꿔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실제로 다음 시즌부턴 2조가 아닌 4조로 그룹을 나눈뒤, 각 조 1위가 2위를 랜덤으로 추첨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 오프닝 == [youtube(LbU1ZEalT7o)] 스프링 오프닝 [youtube(IldNOZwZBw8)] 결승 오프닝 == 경기의 진행 == [include(틀:2013 LoL Champions Korea Spring 정규시즌 경기 일람)] == MVP 포인트 랭킹 == ||<-5><:> MVP 포인트 랭킹 || || 순위 || 이름 || 소속팀 || ID || 점수 || || 1 || 배어진 || MVP Ozone || dade || 900[* 오존의 봇듀오는 대회 내내 하드캐리하며 팀을 결승까지 끌고 왔지만, MVP는 결승에서 각성한 다데가 받아갔다.] || || 2 || 구승빈 || MVP Ozone || imp || 800 || || 3 || 이호종 || CJ Entus Blaze || Flame || 700 || ||<|3><:> 4 || 조세형 || MVP Ozone || Mata || 650 || || 배성웅 || SKT T1 2팀 || bengi || 650 || || 이상혁 || SKT T1 2팀 || Faker || 650 || || 7 || 신동진 || CJ Entus Blaze || Helios || 550 || || 8 || 박상면 || CJ Entus Frost || Shy || 450 || || 9 || 복한규 || SKT T1 1팀 || Reapered || 400 || ||<|2><:> 10 || 정민성 || CJ Entus Frost || RapidStar || 350 || || 김찬호 || KT Rolster B || ssumday || 350 || ||<|2><:> 12 || 함장식 || CJ Entus Blaze || LustBoy || 300 || || 이정현 || SKT T1 2팀 || PoohManDu || 300 || ||<|2><:> 14 || 윤하운 || Najin Sword || MaKNooN || 250 || || 채광진 || SKT T1 2팀 || Piglet || 250 || ||<|6><:> 16 || 천민기 || ahq Korea || Promise || 200 || || 선호산 || CJ Entus Frost || Space || 200 || || 류상욱 || KT Rolster B || Ryu || 200 || || 백영진 || Najin Shield || Save || 200 || || 정노철 || Najin Shield || NoFe || 200 || || 김상수 || Najin Sword || SSONG || 200 || || 22 || 홍민기 || CJ Entus Frost || MadLife || 150 || ||<|21><:> 23 || 여창동 || ahq Korea || TrAce || 100 || || 연형모 || ahq Korea || ActScene || 100 || || 강형우 || CJ Entus Blaze || Cpt Jack || 100 || || 강찬용 || CJ Entus Blaze || Ambition || 100 || || 이현우 || CJ Entus Frost || CloudTemplar || 100 || || 윤경섭 || KT Rolster A || Zero || 100 || || 이병권 || KT Rolster A || KaKAO || 100 || || 이형준 || KT Rolster A || Vitamin || 100 || || 고동빈 || KT Rolster B || Score || 100 || || 최인석 || KT Rolster B || Insec || 100 || || 박용우 || LG-IM 1팀 || MidKing || 100 || || 전호진 || LG-IM 1팀 || Lilac || 100 || || 최현일 || LG-IM 1팀 || Paragon || 100 || || 김주호 || MVP Blue || F.Lahm || 100 || || 김혁규 || MVP Blue || Deft || 100 || || 이지훈 || MVP Blue || Easyhoon || 100 || || 윤성영 || MVP Ozone || Homme || 100 || || 최인규 || MVP Ozone || Dandy || 100 || || 장누리 || Najin Sword || Cain || 100 || || 안순호 || SKT T1 1팀 || SuNo || 100 || || 정언영 || SKT T1 2팀 || Impact || 100 || 매 세트별로 MVP를 선정하고, 선정된 MVP에게는 일정량의 MVP 포인트를 부여한다. 시즌 종료 후 MVP 포인트 랭킹 1위에게는 10,000,000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각 경기별 가중치는 아래와 같다. 12강 - 100점 / 8강 - 150점 / 4강, 3•4위전 - 200점 / 결승 - 300점 == 대회 정리 == * '''4팀4색''' MVP의 우승으로 4개의 롤챔스 우승 트로피는 4개의 팀이 나눠가져가는 평등한 분배(?)가 다시금 이뤄졌다. 또한 전 대회 우승팀이 결승에서 준우승을 하는 상황이 연속으로 발생, 다음 시즌에도 MVP오존이 결승에 진출할 수 있을지가 관심거리. 한편, MVP 오존은 이른바 E스포츠의 트로이카 SKT, KT, CJ를 모두 다전제에서 꺾는 진기록을 달성했다. * '''(구)CJ 엔투스 멤버들의 비상''' KT-B로 이적한 [[최인석(프로게이머)|최인석]]은 경기마다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MVP 오존으로 이적한 [[배어진]]은 '''MVP 포인트 랭킹 1위'''와 함께 승리의 주역이 되었다. CJ 프로스트에 식스맨으로 잔류한 [[선호산]]과 [[김범석(프로게이머)|김범석]]은 [[김강환]], [[홍민기(프로게이머)|홍민기]] 봇듀오에 밀려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지만, 출전한 두 경기(12강, 3/4위전)에서 인상깊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 '''다크호스 3위, 그리고 징크스''' 매 시즌마다 신생팀, 그 중에서도 전력이 강하다고 평가된 팀(제닉스 스톰, 나진 소드, KT-B)은 그 시즌에 3위를 기록하는 위업을 떨쳤다. 이번 시즌에도 가장 크게 주목받은 신생팀인 SKT T1 #2팀이 CJ 프로스트를 3:0으로 제압하며 3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제닉스 스톰, KT 롤스터 B 두 팀은 후속 시즌에서 NLB로 광탈하는 모습을 보였다. SKT T1 #2 팀은 서머 시즌에서 우승했다. * '''결승전 스윕 징크스''' MiG 블레이즈의 3-0 스윕, AZUBU 프로스트의 3-2 역스윕, 나진 소드의 3-0 스윕, 그리고 MVP 오존의 3-0 스윕으로 2012 스프링 시즌부터 이번 2013 스프링 결승전까지 모든 결승이 스윕,혹은 역스윕으로 끝이 났다. [[분류:OLYMPUS Champions Spring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