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원자력 공학)] ||<-2>
{{{+4 '''OPR1000'''}}}[br]Optimized Power Reactor (OPR) 10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ansnuclearcafe.org/KEPCOOPR1000unitdiagram.png|width=100%]]}}} || || '''노형''' ||가압경수로 || || '''용량''' ||1 000 MWe || || '''설계수명''' ||40 년 || || '''내진설계기준''' ||SSE 0.2g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이 개발한 2세대 [[원자로]]이다. [[한국전력기술]]이 설계하고 [[한국수력원자력]]이 운영하고 있다. 핵증기공급계통 공급사는 [[두산중공업]]이며, 핵연료는 [[한전원자력연료]]가 공급하고 있다. 한울 3·4호기, 한울 5·6호기, 한빛 5·6호기, 신고리 1·2호기, 신월성 1·2호기로 대한민국에 10기가 건설됐다. 한빛 3,4호기는 OPR1000의 원형인 System 80이고, OPR1000은 System 80을 개량했기 때문에 매우 유사한 발전소이다. 기존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 RCB[* Reactor Core Building, 원자로 격납 건물. [[원자력 발전소]]에서 다른 건물들과 이질적으로 생긴 [[돔(건축)|돔]] 같은 반구형 이나 [[원기둥]], 혹은 [[각기둥]]의 형태로 솟아있는 건물. ]만 왕따 당하고 다른 건물들이 덕지덕지 붙어있는 모습인데 OPR 시리즈부터는 RCB가 더 이상 혼자 있지 않고 통합된 하나의 건물로 완성된다. == 주요 제원 == ||
<-3> '''제원''' || || 노형 ||가압경수로|| || 용량 ||1,000MWe|| || 설계수명 ||40년|| || 내진설계기준 ||OBE 0.1G[br]SSE 0.2G|| || 핵연료재장전 주기 ||12~18개월|| || 부하추종능력 ||일일부하추종운전 가능|| 한 개의 원자로를 2개의 증기발생기로 열제거하는 형태의 2 Loop 구성이며, 원자로의 냉각과 중성자의 감속을 위해 경수를 사용하며, 가압기를 이용해 경수의 비등을 방지하는 가압경수로이다. 건설시의 공기 및 비용 단축과 운영시의 효율화를 위해 2개 호기를 동시에 건설하고, 양호기가 폐기물 계통 등 일부 계통을 공유하는 설계가 도입되었다. == 개발 역사 == OPR-1000 개발 이전 대한민국의 원전은 웨스팅하우스형 원전인 고리 1~4호기 및 한빛 1·2호기, 캐나다가 개발한 중수로인 CANDU형 원전인 월성 1~4호기, 프랑스가 개발한 Framatome 형 원전인 한울 1·2호기 등으로 매우 다양한 노형이 운영되고 있었다. 이로 인한 운영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동일설계를 공유하는 원전을 반복 건설하여 원전 기술개발의 자립도를 높이고자 OPR-1000의 개발이 착수되었다. 초기의 명칭은 한국표준형원전 (Korean Standard Nuclear Plant, KSNP)였다. 초기 개발과정에서 한빛 3·4호기 도입 당시 경영상 어려움을 겪던 미국 Combustion Engineering 회사가 개발한 SYSTEM 80 모델을 인수하였으며, 일부 설비를 개선했다. 한빛 3·4호기를 참조 발전소로 하여 한울 3·4호기가 최초의 한국 표준형 원전으로 건설되었다. 이후 국내 원전들은 표준형 원전으로 반복 건설 및 운영되었고 이에 따라 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었다. 2005년에는 해외사업용 브랜드화를 위해 명칭을 OPR-1000으로 변경하였고, 반복 운영에 따른 경험과 최신기술기준을 반영하여 안전설비 및 내진설계를 강화한 개선형 OPR-1000이 개발되었다. 신고리1·2호기 및 신월성1·2호기가 개선형 OPR-1000으로 건설되었다. [[분류:원자력공학]][[분류:원자력 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