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OSV-96}}}'''[br]''ОСВ-96''}}}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ОСВ-96_совр.jpg|width=100%]]}}}|| || '''종류''' ||[[대물 저격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00년]]~현재 || || '''개발''' ||A.G. Shipunov || || '''개발년도''' ||[[1996년]] || || '''생산''' ||[[KBP]] || || '''생산년도''' ||[[2000년]]~현재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br][include(틀:국기, 국명=벨라루스)][br][include(틀:국기, 국명=이집트)][br][include(틀:국기, 국명=시리아)][br][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br][include(틀:국기, 국명=이라크)] || || '''사용된 전쟁''' ||[[시리아 내전]][br][[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 ||<-2> {{{#White '''기종'''}}} || || '''원형''' ||V-94 || || '''파생형''' ||MTs-567 || ||<-2> {{{#White '''제원'''}}} || || '''탄약''' ||[[12.7×108mm]] || || '''급탄''' ||5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br]회전 노리쇠 || || '''총열길이''' ||1,000mm || || '''전장''' ||1,746mm || || '''중량''' ||12.9kg || || '''탄속''' ||870~910m/s || || '''유효사거리''' ||2,0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y18wlOZmOIQ)] ОСВ-96(OSV-96)은 [[KBP]] 조병창에서 제작한 러시아군의 반자동 [[12.7×108mm]] [[대물 저격소총]]이다. == 상세 == [[파일:OSV-96.jpg]] 독소전쟁에서 러시아군의 전신인 소련군은 시모노프의 [[14.5mm]] 대전차 소총이었던 [[PTRS-41]] 대전차 소총을 전차, 경장갑 차량등을 잡는데 사용했다. 그러나 독소전쟁 중반을 넘어갈수록 독일 전차들의 장갑 두께는 늘어났고, PTRS-41의 대전차 능력은 바주카등에게 넘어가고 이후 주로 엄폐하고 있는 적을 상대로 사용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PTRS-41은 퇴역하였고 장갑차와 기동부대 위주로 움직일 소련군에겐 대물 저격소총은 [[DShK]]같은 중기관총에 비해서 천시받던 무기 체계였다. 그러나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는 수많은 분쟁을 겪게 되고, 대물저격소총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KSVK 12.7]]라는 대물저격소총이 있었으나 볼트액션식이기 때문에 높은 연사력을 요구하는 작전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반자동 대물저격소총이 요구되었다. PTRS-41 자체는 훌륭한 대전차소총 겸 저격소총이었기 때문에 시모노프의 설계를 기반으로 12.7×108mm를 사용하는 대물 저격 소총을 만들게 되었다. OSV-96은 이때 완성된 프로토타입인 V-94을 더 개량하여 만들었다. 또한 개념적인 부분을 제외하면 PTRS-41과의 기술적인 연관성은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후기 양산형부터는 상단에 소련식 레일이 삭제되고 [[피카티니 레일]]로 변경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55253453453.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003654.jpg|width=100%]]}}} || 다른 대물 저격소총과 차별되는 특이한 점은 접이식이란 점이다.총열부분이 접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길이가 긴 대물 저격소총답지 않게 휴대 공간 확보가 유리하다. 장거리 이동 또는 장시간 보관시 총열을 접어 놓아 공간을 확보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벨라루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인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베트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자유 리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대물 저격소총]][[분류:반자동 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KBP]][[분류:2000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