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HMD)] ---- [include(틀:메타 퀘스트 HMD)] [[파일:38974684_378684776070796_2601013970911363072_n.jpg|align=center]] ||||[[파일:메타(기업) 로고.svg|width=300&theme=light]][[파일:메타(기업) 로고 컬러 화이트.svg|width=300&theme=dark]]|| || '''기기종류''' ||[[VR]] [[HMD]]|| || '''개발사''' ||[[메타(기업)|[[파일:메타(기업)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메타(기업) 로고 컬러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홈페이지''' ||[[https://www.oculus.com/rift-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3vPz9KFXWTk)] Oculus에서 개발한 PC 기반 가상현실 [[HMD]]로, [[오큘러스 리프트|Oculus Rift]]의 후속 기종이다. [[2019년]] [[3월 20일]]에 GDC에서 공개되었다. 2019 봄에 출시를 한다고 알려왔고 2019년 페이스북 F8 컨퍼런스에서 공식출시일이 나왔다. 5월 21일에 $399 가격으로 출시되었다.[* 공홈에서도 주문 가능했던 고와 다르게 한국가격은 물론 예약조차 막혀있는걸로보아 기존의 리프트처럼 한국 출시는 미지수이다.] == 특징 == ||<-2> 최소 사양 || || CPU ||i3-6100 / Ryzen 1200, FX4350 이상|| || GPU ||GTX 1050 Ti / RX470 이상|| || 메모리 ||8GB 이상|| || 비디오 출력 ||[[DP포트]] 1.2소스, 미니 DP포트-DP포트 어댑터|| || USB 포트 ||3.0 포트 1개|| ||<-2> 권장 사양 || || CPU ||i5-4590 / Ryzen 1500X 이상|| || GPU ||GTX 1060 / RX480 이상|| || 메모리 ||8GB 이상|| || 비디오 출력 ||[[HDMI]] 1.3 비디오 출력 호환 || || USB 포트 || 3.0 포트 3개 + 2.0 포트 1개 || || [[디스플레이]] || 2*1280*1440 80Hz Fast-switching [[LCD]] [[RGB]] || || 외부 [[카메라]] || 5개 || [[Oculus Quest|오큘러스 퀘스트]]와 동일하게 외부 센서 없이 내장 카메라로 트래킹하는 방식이고, 퀘스트보다 하나 많은 5개의 카메라로 추적을 한다. HMD 머리 고정 방식이 [[HTC VIVE Pro 시리즈]]와 동일한 방식으로 되어있다.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전작인 [[오큘러스 리프트|리프트]]보다는 향상됐지만 미들엔드 기종인 [[Oculus Quest|퀘스트]]보다는 약간 뒤 떨어진다. 다만 퀘스트는 [[펜타일]] 방식인 반면에 리프트 S는 [[RGB]] 방식이라 실체감 해상도는 리프트 S가 더 높다. 디스플레이 주사율은 리프트의 90Hz에서 80Hz로 오히려 낮아졌다. 퀘스트가 OLED를 사용하는 반면, 리프트 S는 LCD를 채택했다. 전작인 [[오큘러스 리프트|기존 리프트]], 같은 3세대 HMD인 [[Oculus Quest|퀘스트]]와는 다르게 [[IPD|동공간 거리]]를 물리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vr_games_xuq&no=31936|IPD 관련글]] GDC에서 공개된 데모 기기들은 모두 PC와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이었으며, [[HTC VIVE Pro 시리즈]]처럼 무선 어댑터를 지원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공식적인 언급이 없다. 가격은 399달러로 [[Oculus Quest|퀘스트]]와 같다. [[오큘러스 리프트|리프트]]가 599달러에 출시됐던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파격적인 가격. 반면 하드웨어 스펙은 VR 마니아들이 기대했던 하이엔드 VR 기기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문제점 == === 아무도 해결 방법을 모르는 기기 결함 === 3년 전, 출시 후 부터 제기 되었던 문제가 아직도 일어나고 있다. DP 케이블을 연결 했지만 OCULUS 소프트웨어 상에선 '''연결 되지 않았다'''는 경고가 뜨는가 하면, 불규칙적으로 PC에 연결된 '''모든 USB 장치들이 재인식''' 되거나, 가끔 RIFT S 자체 디스플레이에 '''RGB 노이즈'''가 생긴다. 많은 유저가 이를 해결하고자 여러가지 방법 * DDU 프로그램을 이용한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제거 후 재설치 * OCULUS 소프트웨어 제거 및 재설치 * 전원 옵션 고성능 * RIFT S의 케이블,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케이블을 제외한 모든 USB 및 디스플레이 케이블 제거 * USB 선택적 절전 모드 비활성화 * 절전모드 해제 * 윈도우 포맷 * 추가 전원이 공급되는 USB 허브 구매 --모든걸 해봐도 해결이 안된다.-- --OCULUS를 인수한 메타에 문의를 해봐도 OCULUS RIFT S 본체만 본사로 보내주면 무상 리퍼 해준다는 말 밖에 안한다.--[* 배송비만 해도 RIFT S를 중고로 하나 더 살 수 있다.] 무상 리퍼도 20번의 메일을 통해 겨우 받아낸 답변이었다. --아마 미국에 살았다면 결말이 달랐을 수 있다.-- 이 문제는 RIFT S의 링크 케이블 단선, 혹은 그래픽 카드의 호환 [* 예를 들면 RX 580은 간헐적 끊김 현상이 있었지만, RTX 3050 Ti 으로 교체 후 정상작동 하는 일도 있다.] [* 그렇다고 그래픽 카드의 호환이 모든 원인이 아닌 것이 RTX 2080을 사용하다 RTX 3060Ti로 기변 후, 문제가 발생해 또 다시 RTX 3070Ti로 기변 했지만 문제는 여전히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 문제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 기타 == 리프트 S 출시를 기해, 모든 GO, 퀘스트, 리프트 S의 앱을 같이 쓸 수 있다. [[오큘러스 리프트|기존 리프트]]와 달리 리프트 S는 레노버에서 제작되었다. 한국에서는 [[Oculus Quest|퀘스트]]와 마찬가지로 정발되지 않았다. 전작인 [[오큘러스 리프트|리프트]]가 끝내 정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리프트 S의 국내 정식 출시 가능성 역시 불투명하다. 센서 사각지대가 등 뒤밖에 없는거처럼 보이지만 하단에 센서가 없다보니 오큘러스 리프트 S 본체의 밑부분에 컨트롤러를 갖다 대면 트래킹을 못한다고 한다. 독립형 VR인 [[Oculus Quest|퀘스트]]가 [[Oculus Quest#s-3.2|PC와 유선연결이 가능해지면서]] 리프트 S의 포지션이 애매해졌다. 다만 편의성과 트래킹, 특히 PC VR 성능과 화질에 있어서는 리프트 S가 퀘스트보다 확실하게 우위에 있으므로, PC VR을 중요시 여긴다면 현재로서는 리프트 S가 합당한 선택이다. 오큘러스에서 더 이상 PC 기반 VR 기기를 만들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오큘러스의 마지막 PC 기반 VR 기기로 남게 되었다. 2021년 7월 14일 기준 오큘러스 리프트 S 구매 탭 자체가 없어져있다. 사실상 [[Oculus Quest 2|퀘스트2]]가 저렴한 가격에 괜찮은 성능으로 출시된지라 현재는 인기 자체가 떨어진 상태다. [[Oculus Quest|퀘스트]]의 핸드 트래킹 기능을 리프트 S에 추가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현재는 완전히 버려진 자식으로 봐야 한다. 케이블에 매우 신경 써야한다. 의자로 밟거나, 리듬게임을 하다가 케이블을 치면 HMD가 날아 갈 수 있고 단자의 손상이나 케이블의 단선이 일어나면 케이블은 해외구매로만[* 이 또한 10만원이 넘으며 이베이나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구매 해야한다] 살 수 있고 HMD의 경우 대부분 보증기간이 끝나 유상이나 폐기 밖에 답이 없다. [[Oculus Quest|퀘스트]]와 컨트롤러를 공유한다. 이 덕분에 Quest에서 리프트 S로 기기를 바꿔도 컨트롤러는 문제없이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Oculus Quest|퀘스트]]와 컨트롤러를 공유하는 만큼 해당 컨트롤러의 고질적인 조이스틱 쏠림 현상은 어쩔 수 없다. 스팀VR을 사용하는 경우 데드존을 이용하거나 컨트롤러의 조이스틱에 BW-100과 같은 접점 부활제를 도포해야 된다. [[분류:HMD]][[분류:Ocul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