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이클 잭슨)] ||<-5><#FFFFFF,#888888> '''[[마이클 잭슨|{{{#000 마이클 잭슨}}}]][[마이클 잭슨/음반 목록|{{{#000 의 음반 순서}}}]] ''' || || 4집 || || '''5집''' || || 6집 || || ''[[마이클 잭슨/음반 목록#s-2.1.4|{{{#000000,#FFFFFF Forever, Michael}}}]]'' (1975) || {{{+1 →}}} || '''''Off the Wall''[br](1979)''' || {{{+1 →}}} || ''[[Thriller|{{{#000000,#FFFFFF Thriller}}}]]'' (1982) || ||<-5><#fff> '''{{{#000 수상 내역}}}'''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08)]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68, 연도2=2020,순위2=36)]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242)]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03)] ---- ||<#FFFFFF><:>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파일:피치포크 로고.svg|width=70]]]] ||<#FFFFFF,#1F2023>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000,#fff '''피치포크 선정 1970년대 최고의 앨범'''}}}]][br]{{{+5 '''43위'''}}} ||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158, 연도=1998, 순위2=235,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148)] ----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96)]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58)] ---- }}} || ||<-4>
<#fff>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76583C,#76583C 20%,#76583C 80%,#76583C)" {{{#fff '''{{{+1 Off the Wall}}}[br]{{{#fff The 5th Album}}}'''}}}}}}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chael Jackson Off the wall.jpg|width=100%]]}}} || ||<-4><#76583C> '''마이클 잭슨 정규 5집''' || ||<-2><#76583C> '''{{{#fff 발매일}}}''' ||<-2> [[1979년]] [[8월 10일]] || ||<-2><#76583C> '''{{{#fff 녹음 기간}}}''' ||<-2> [[1978년]] [[12월 4일]] ~ [[1979년]] [[6월 3일]] || ||<-2><#76583C> '''{{{#fff 스튜디오}}}''' ||<-2> 앨런 젠츠 레코딩 ([[캘리포니아 주]] [[로스 앤젤레스]])[* [[리듬 섹션]] 녹음, 보컬 녹음][br]웨스트레이크 오디오 ([[캘리포니아 주]] [[로스 앤젤레스]])[* 혼 섹션 녹음, 믹스][br]체로키 스튜디오 ([[캘리포니아 주]] [[로스 앤젤레스]])[* 스트링 섹션 녹음][br]A&M 레코딩 스튜디오 ([[캘리포니아 주]] [[로스 앤젤레스]])[* 마스터] || ||<-2><#76583C> '''{{{#fff 장르}}}''' ||<-2> [[디스코]], [[펑크(음악)|펑크(Funk)]], [[팝 음악|팝]], [[R&B]] || ||<-2><#76583C> '''{{{#fff 레이블}}}''' ||<-2> [[에픽 레코드|[[파일:에픽 레코드 로고.svg|width=40]]]] || ||<-2><#76583C> '''{{{#fff 곡 수}}}''' ||<-2> 10곡 || ||<-2><#76583C> '''{{{#fff 재생시간}}}''' ||<-2> 42:28 || ||<-2><#76583C> '''{{{#fff 프로듀서}}}''' ||<-2> [[퀸시 존스]], [[마이클 잭슨]]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Off The Wall Poster.jpg]] [[1979년]] [[8월 10일]]에 발매된 [[마이클 잭슨]]의 다섯 번째 정규 앨범이자 성인 이후에 발매된 첫 번째 앨범. == 평가 == >'''그의 가장 놀라운 작품 중 하나이며, [[디스코]]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매우 정교하고 전문적인 집합체이다.''' >---- >―[[AllMusic]] >'''지금까지 만들어진 가장 훌륭한 팝 음반 중 하나''' >---- >―[[BBC]] [[https://www.bbc.co.uk/music/reviews/mq3n/|#]] 본격적인 [[마이클 잭슨]] 신화의 시작을 알린 신호탄과 같은 앨범이며, [[1970년대]], [[디스코]] 열풍의 마지막을 알린 앨범이다. 오늘날에는 마이클 잭슨 최고의 명반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모타운]]을 벗어나 최초로 에픽 레코드에서 발매한 앨범으로 The Wiz 스튜디오 작업 때 만난 [[퀸시 존스]]와 처음으로 작업했다. 변성기를 거쳤음에도 음색이 맑고 카랑카랑하며, 전체적으로 [[디스코]]와 [[펑크(음악)|펑크(Funk)]]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있다. [[Dangerous]]나 [[HIStory]]에 익숙하다면 상당히 낯설 수 있는 앨범이다.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조용한 분위기이고, 이는 마이클 잭슨 자신도 인정했던 것처럼 off the wall이 가장 뜬 이유가 바로 발라드 곡들 때문이었다는 증거와도 이어진다. "Don't Stop Til' You Get Enough"와 "Workin Day And Night" 두 곡은 전부 팔세토 창법을 써서 부른 노래들인데 마이클 잭슨이 자신의 경력 초기에 작곡한 곡 중 하나이고 [[R&B]] 느낌이 강한 곡들은 로드 템퍼튼의 곡들이다.([[Rock with You]], [[Off the Wall(노래)|Off the Wall]], Burn This Disco Out) 이 중 "I Can't Help It"은 [[스티비 원더]]가 써준 곡이다. [[Don't Stop 'Til You Get Enough]], Workin' Day and Night, Get on the Floor 총 3곡을 작사 작곡했고[* Get On the Floor는 The Brothers Johnson의 베이시스트 루이스 존슨(Louis Johnson)과 공동 작사 작곡.] 퀸시 존스와 함께 프로듀싱했다. "Girlfriend"는 [[폴 매카트니]]가 써 주었다. 총 5곡의 곡이 싱글로 나왔고, Don't Stop Til You Get Enough, Rock with You은 [[빌보드 핫 100]] 1위, 나머지 2곡은 핫 100 Top 10에 진입했다. 이렇게 총 4곡이 Top 10을 기록하여 솔로 아티스트로써 신기록을 세웠다. 2003년 롤링스톤지 선정 가장 위대한 앨범 500위 중 68위에 랭크. 2008년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Don't Stop 'til You Get Enough는 그래미 어워드 R&B 부문 남자 베스트 보컬 퍼포먼스상을 수상. 판매량은 [[미국]]에서는 8,000,000장, [[영국]]에서는 1,800,000장으로 플래티넘 인증, 전 세계적으로는 20,000,000장[*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 70위권에 달하는 수치이다.] 정도 판매되었다. 성인 솔로 데뷔로는 성공적인 데뷔였으나 [[롤링 스톤]]지 같은 매거진 커버에 얼굴 하나 못 올리는 것을[* 당시 업계에서 흑인이 표지 모델이 되면 잡지가 안 팔린다는 불문율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마이클 잭슨은 이미 잭슨 파이브 시절에 롤링 스톤 커버를 장식한 적이 있었다.] 분하게 여긴 마이클 잭슨은 심혈을 기울여 차기작을 준비하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대중음악]] 역사상 최대의 판매고를 기록한 전설적인 앨범 [[Thriller]]다. 여담으로 음악적으로는 당연히 최고수준이지만 뮤직비디오가 아쉽다는 평가가 많다. 단순히 크로마키 배경, 혹은 암흑 속에서 춤추는 매우 단순한 연출의 뮤직비디오를 선보였는데 동시기의 뮤직비디오들[* 당시에는 주로 라이브 콘서트 편집본이나 스튜디오에서 노래를 부르는 식의 뮤직비디오가 주류였다 드라마형 뮤직비디오는 80년대 MTV의 개국이후 뮤직비디오가 중요하게 여겨지면서 뮤직비디오에 공을 들인 아티스트들이 널리 퍼뜨린 것이다.]보다도 더욱 뒤떨어져 보이기도 한다. 물론 이때는 1979년인지라 뮤직비디오 제작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탓도 있지만, 마이클 잭슨이 특히 뮤직비디오로 유명한 가수이기 때문에 더 두드러진다.[* 마이클 잭슨의 최고의 뮤직비디오로 여겨지는 것은 Thriller와 Smooth Criminal등의 작품들이 대표적이다 마이클 잭슨은 이 뮤직비디오들을 Short Film 즉 단편영화로 생각했다고한다. Thriller부터는 본격적으로 뮤직비디오에도 굉장한 공을 들여서 제작했지만 당시 Off The Wall 시절에는 '''MTV'''가 개국하기 전이였다는 것을 상정하고 보면은 그렇게 나쁘지도 않다. 근데 마이클 잭슨의 뮤직비디오라고 생각하면서 보면 단순하다고 느껴질 수도 있다. ] 현재 와서는 오히려 이러한 감성이 [[레트로]]의 필수요소처럼 자리잡아 [[브루노 마스]]가 '[[Treasure(브루노 마스)|Treasure]]'의 뮤직비디오를 촬영할 때 대놓고 '[[https://youtu.be/5X-Mrc2l1d0|Rock With You]]'의 뮤직비디오를 [[오마주]]하기도 했다. == 수록곡 == Side A * 01. [[Don't Stop 'Til You Get Enough]] * 빌보드 핫 100 1위 곡. 마이클 잭슨의 성인 이후 최초 빌보드 1위곡이며, 마이클 잭슨의 자작곡이다. 초창기 최고의 명곡으로 꼽히며, 자신이 좋아한 [[비 지스]]의 영향을 받아 잭슨의 팔세토 보컬을 오버더빙한 것이 두드러지는 명곡이다. * 02. [[Rock With You]] * [[빌보드 핫 100]] 4주 1위. 1980년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1980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 4위.] 잭슨의 히트곡들중 흔치 않은 타 작곡가, 즉 로드 템퍼튼이 작곡한 곡이며, 로드 템퍼튼은 이후에도 '[[Thriller]]'를 작곡한다. 이 곡이 제일 Off the Wall의 중요한 트랙이라고 마이클 잭슨이 밝힌 적이 있을 정도로 마이클 잭슨이 좋아한 곡 중 한 곡이며, 원래는 'Bad Tour' 당시 느낌처럼 몰아붙이는 센 편곡으로 하려 했으나 퀸시 존스가 강렬한 느낌을 줄이자고 하여, 지금 들려지는 곡으로 되었다고 한다. * 03. Workin' Day And Night *잭슨스의 'Destiny' 앨범에 수록 되어 있던 'the things i do for you' 의 후속곡 정도 된다고 한다. * 04. Get on the Floor *원래는 더 브라더스 존슨이라는 그룹의 앨범에 들어가려 하다가 실패한 곡이며, 그 그룹의 멤버 중 한 명인 루이스 존슨의 차에서 이 곡을 들은 마이클 잭슨이 자신이 불러도 되냐고 해서 마무리 된 곡이다. 가사는 마이클 잭슨이 자신이 출연한 영화였던 'The Wiz' 촬영 때 자주 가던 클럽의 분위기를 느끼고 지었다고 한다. 그래서 마이클 잭슨이 녹음하면서 만족한 곡 중 하나라고 한다. Side B * 05. [[Off the Wall(노래)|Off the Wall]] * 06. Girlfriend * [[London Town]]에 실린 [[폴 매카트니]]([[윙스]])의 곡을 커버. 1974년 폴 매카트니가 마이클 잭슨의 노래를 듣고 그에게 주려고 작곡했고, 그래서 원래 이 곡이 'Off the Wall'의 타이틀 곡이 될 뻔 했으나, 퀸시 존스가 밋밋하다고 느껴 타이틀 곡이 바뀌었다고 한다. * 07. [[She's Out of My Life]] * off the wall 당시 프로듀서 중 한 명이었던 토마스 발러의 곡이며, 마이클 잭슨은 이 곡을 듣자 마자 아주 좋아해 녹음 당시에는 'The single' 이라는 타이틀로 녹음을 하기도 했다. 토마스 발러가 한 때 자신의 연인이었던 [[카펜터스]]의 '카렌 카펜터' 를 생각하여 1977년에 작곡하였고, 원래는 [[프랭크 시나트라]]에게 줄 예정이었다만, 퀸시 존스가 "프랭크(프랭크 시나트라)가 그 곡을 불러주실까? '[[My Way]]'도 그리 좋아하지 않는 양반이.." 라고 해서 마이클 잭슨에게 간 곡이다. * 08. I Can't Help It *[[스티비 원더]]가 자신의 역작 앨범인 '[[Songs in the Key of Life]]' 작업 당시 지었다고 한다. 마이클 잭슨이 이 앨범 작업 당시에 찾아왔는데 이 곡을 듣고 마이클 잭슨이 너무 좋다고 해서 스티비 원더가 마음에 담아 둔 후, 후에 마이클 잭슨이 자신의 스튜디오를 방문할 때 마이클 잭슨에게 "이 곡 너 곡이니까 잘 노래해줘." 라고 말해 마이클 잭슨이 기뻐서 울었다고 한다. 다만 마이클 잭슨은 그 후 나른하고 매력적이여서 노래를 하는 건 재밌었지만 가벼운 분위기라 앨범에서 많이 좋아하는 곡은 아니었다고 한다. 포트레이트의 [[Here We Go Again!]]에 샘플링되었다. * 09. It's the Falling in Love[*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인 캐롤 베이어 세이거(Carole Bayer Sager)가 작사하고 데이비드 포스터(David Foster)가 작곡한 곡으로, 1978년에 세이거가 발표한 앨범 <…Too>의 [[https://www.youtube.com/watch?v=Gwuy647G0fk|동명의 수록곡]]이 원곡이다. 여담이지만 Off the wall이 나온 지 3개월 후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마츠바라 미키]]가 [[https://youtu.be/GqfVQPyawwU?list=PLnwNz0r5hveUrC4KABr0wNJP1pSnvSN4P|stay with me ~真夜中のドア(한밤중의 문)~]]로 데뷔싱글을 낸 적이 있는데 두 곡의 구성과 어레인지가 비슷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노래 자체는 그녀가 직접 만든 것도 아니고 데이비드 포스터가 준 것도 아닌 작곡가인 하야시 테츠지(林哲司)가 만든 노래. ] * 10. Burn This Disco Out === [[Don't Stop 'Til You Get Enough]] === === [[Rock With You]] === === Workin' Day And Night === === Get on the Floor === === [[Off the Wall(노래)|Off the Wall]] === === Girlfriend === === [[She's Out of My Life]] === === I Can't Help It === === It's the Falling In Love === === Burn This Disco Out === == 싱글 == * 〈Don't Stop 'Til You Get Enough〉는 이 앨범의 첫번째 싱글로 1979년 8월 10일에 발매되었다. 마이클 잭슨의 성인솔로앨범 곡 중 첫번째 빌보드 1위곡이며 첫 싱글이기도 하다. 빌보드에서 1위를 기록했고 영국에서 3위, 네덜란드에서 2위를 기록했고 독일에서 13위, 아일랜드에서 10위를 기록했다. * 〈[[Rock with You]]〉는 이 앨범의 두번째 싱글곡으로 1979년 11월 3일에 발매되었다. 빌보드에서 1위를 기록했고 영국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호주와 캐나다에서 4위를 기록하며 선전했고 이탈리아에서 9위, 아일랜드에서 11위를 기록했지만 프랑스에서 59위, 독일에서는 58위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2006년 에스파냐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 〈[[Off the Wall(노래)|Off the Wall]]〉은 이 앨범의 타이틀 곡이자 3번째 싱글곡으로 1980년 2월 2일에 발매되었다. 빌보드에서 10위를 기록했고 아일랜드에서도 10위를 기록했다. 영국에서는 7위를 했다. * 〈[[She's Out of My Life]]〉는 1980년 4월 18일에 발매되었다. 빌보드와 캐나다에서 10위를 기록하고 호주에서 17위, 네덜란드에서 19위를 기록했지만 영국에서는 3위, 아일랜드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 〈Girlfriend〉는 이 앨범의 마지막 싱글곡으로 1980년 7월 16일에 발매되었다. 이 곡은 폴 매카트니가 마이클에게 선물한 곡으로 유명하다. === Remastered Edition Bonus Track (2001) === * 11. Don't Stop 'Til You Get Enough (Michael Jackson's Original Demo Recording) * 12. Workin' Day And Night (Michael Jackson's Original Demo Recording) 위와 트랙리스트는 같으나 몇몇 곡의 데모 버전이 추가되었다. 소니에서 발매된 스페셜 에디션 앨범이다. Workin' Day And Night의 데모 버전은 경우는 마이클 잭슨의 동생인 랜디 잭슨과 [[자넷 잭슨]]의 목소리도 들을 수 있다. == 동명의 수록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Off the Wall(노래))] [youtube(g0ViBH7m4XA)] [youtube(ov5vwy3V310)] 1987년 [[Bad]] 월드 투어 당시 [[일본]] [[요코하마시]] 공연 영상 === 가사 === || '''{{{+5 Off the Wall}}}''' When the world is on your shoulder 세상을 어깨에 짊어진 듯 느껴질 때는 Gotta straigthen up your act and boogie down 좀더 열심히 살아요 그리고 즐기는 거죠 If you can't hang with the feelin' 이 기분에 함께 취할 수 없다면 Then there ain't no room for you this part of town 여기엔 당신이 낄 자리가 없어요 'cause we're the party people night and day 우리는 밤낮으로 파티를 즐기는 사람들이거든요 Livin' crazy 멋지게 사는 것 That's the only way 그게 전부일 뿐이죠 So tonight 자 오늘 밤은 Gotta leave that nine to five upon the shelf 그 틀에 박힌 삶을 잠깐 벗어 두고 And just enjoy yourself 마음껏 즐겨 봐요 Groove 리듬을 타요 Let the madness in the music get to you 음악의 열기가 그대 안으로 들어오게 해요 Life ain't so bad at all 인생은 절대로 그렇게 괴로운 것이 아니랍니다 If you live it off the wall 좀더 즉흥적인 기분으로 산다면 말이죠 (Life ain't so bad at all) (삶은 결코 고달프지 않아요) Live life off the wall 자유롭게 사세요 Live your life off the wall 삶을 순리에 맡겨 보세요 (Live it off the wall) (자유롭게 살아요) You can shout out all you want to 크게 소리질러도 돼요 원한다면 뭐든지 'cause there ain't no sin in folks all getting loud 파티로 소란스러운 사람들에겐 잘못이 없거든요 If you take the chance and do it 이 기회를 빌리고 싶다면 한번 해보세요 Then there ain't no one who's gonna put you down 그렇게 해도 나무랄 사람은 없죠 'cause we're the party people night and day 우리는 밤낮으로 파티를 벌이는 사람들이니까요 Livin' crazy 멋지게 사는 것 That's the only way 그게 전부일 뿐이죠 So tonight 자 오늘 밤은 Gotta leave that nine to five upon the shelf 그 틀에 박힌 삶을 잠깐 벗어 두고 And just enjoy yourself 마음껏 즐겨 봐요 Groove 리듬을 타요 Let the madness in the music get to you 음악의 열기가 그대 안으로 들어오게 해요 Life ain't so bad at all 인생은 절대로 그렇게 괴로운 것이 아니랍니다 If you live it off the wall 좀더 즉흥적인 기분으로 산다면 말이죠 (Life ain't so bad at all) (삶은 결코 고달프지 않아요) Live life off the wall 자유롭게 사세요 Live your life off the wall 삶을 순리에 맡겨 보세요 (Live it off the wall) (자유롭게 살아요) Do what you want to do 원하는 것을 하세요 There ain't no rules, it's up to you 규칙 같은 건 없어요, 당신 하기 나름이죠 (Ain't no rules, it's all up to you) (규칙은 없답니다, 모두 당신에게 달린 거예요) It's time to come alive 생기를 되찾을 때예요 And party on right through the night 밤새도록 파티를 계속하자구요 (All right) (온 밤이 새도록) Gotta hide your inhibitions 억누르지 말고요 Gotta let that fool loose deep inside your soul 영혼 깊은 곳의 어릿광대를 자유롭게 풀어 주세요 Wanna see an exhibition 그의 실력을 보고 싶죠 Better do it now before you get too old 너무 늦기 전에 지금 하세요 'cause we're the party people night and day 우리는 밤낮으로 파티를 벌이는 사람들이니까요 Livin' crazy 멋지게 사는 것 That's the only way 그게 전부일 뿐이죠 So tonight 자 오늘 밤은 Gotta leave that nine to five upon the shelf 그 틀에 박힌 삶을 잠깐 벗어 두고 And just enjoy yourself 마음껏 즐겨 봐요 Groove 리듬을 타요 Let the madness in the music get to you 음악의 열기가 그대 안으로 들어오게 해요 Life ain't so bad at all 인생은 절대로 그렇게 괴로운 것이 아니랍니다 If you live it off the wall 좀더 즉흥적인 기분으로 산다면 말이죠 (Life ain't so bad at all) (삶은 결코 고달프지 않아요) Live life off the wall 자유롭게 사세요 Live your life off the wall 삶을 순리에 맡겨 보세요 (Live it off the wall) (자유롭게 살아요) So tonight 자 오늘 밤은 Gotta leave that nine to five upon the shelf 그 틀에 박힌 삶을 잠깐 벗어 두고 And just enjoy yourself 마음껏 즐겨 봐요 Groove 리듬을 타요 Let the madness in the music get to you 음악의 열기가 그대 안으로 들어오게 해요 Life ain't so bad at all 인생은 절대로 그렇게 괴로운 것이 아니랍니다 If you live it off the wall 좀더 즉흥적인 기분으로 산다면 말이죠 (Life ain't so bad at all) (삶은 결코 고달프지 않아요) Live life off the wall 자유롭게 사세요 Live your life off the wall 삶을 순리에 맡겨 보세요 (Live it off the wall) (자유롭게 살아요) [[파일:마이클 잭슨 로고.jpg|width=100]] || [[분류:1979년 음반]][[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마이클 잭슨/디스코그래피]][[분류:디스코]][[분류:Funk]][[분류:팝]][[분류:R&B]][[분류:퀸시 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