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키티호크와 동명의 항공모함, rd1=키티호크급 항공모함, other2=토마호크와 동명의 순항 미사일, rd2=BGM-109 토마호크)] [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항공기)] ||
[[파일:external/www.militaryfactory.com/curtiss-p40-warhawk.jpg|width=100%]]|| || '''Custiss-Light P-40 Warhawk / Kittyhawk / Tomahawk'''[* 위 사진은 P-40E다.] || [목차] == 개요 == ||
[youtube(xTdpgv_kFyc)]|| || '''P-40E-1 기동 영상'''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과 [[영국]], [[중화민국]] 등지에서 운용하였던 미국제 [[전투기]]. [[커티스|커티스-라이트]] 사에서 제작하였다. 특유의 멋진 디자인으로 현재까지도 여러가지 매체에서 사랑받는 기체로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높다. == 제원 == ||<-2>
'''{{{#FFFFFF P-40 "워호크" / "키티호크" / "토마호크" }}}''' || ||<-2> '''{{{#FFFFFF 제원}}}''' || || '''{{{#ffffff 개발 기관}}}''' ||미 육군 병기부, [[커티스|커티스-라이트]] || || '''{{{#ffffff 초도 비행}}}''' ||1938년 10월 14일 || || '''{{{#ffffff 생산기관}}}''' ||[[커티스|커티스-라이트]] || || '''{{{#ffffff 생산 연도}}}''' ||1939년 ~ 1944년 || || '''{{{#ffffff 생산 댓수}}}''' ||'''13,738기''' || || '''{{{#ffffff 운용 국가}}}''' ||미국 포함 도합 10개국 사용 || || '''{{{#ffffff 운용 연도}}}''' ||1942년 ~ 1958년[* 브라질 공군 한정.] || || '''{{{#ffffff 전장}}}''' ||9.66m || || '''{{{#ffffff 전폭}}}''' ||11.38m || || '''{{{#ffffff 전고}}}''' ||3.76m || || '''{{{#ffffff 전비 중량}}}''' ||3,760kg || || '''{{{#ffffff 익면적}}}''' ||21.92㎡ || || '''{{{#ffffff 익면 하중}}}''' ||171kg/m² || || '''{{{#ffffff 엔진}}}''' ||P-40A ~ E: 앨리슨 [[V-1710]]-39 V자형 12기통 액랭식 엔진 [br] P-40F: 패커드 V-1650-1 V자형 12기통 액랭식 엔진 || || '''{{{#ffffff 최고 출력}}}''' ||P-40A ~ E: 1,150hp [br]P-40F: 1,414hp || || '''{{{#ffffff 사용 연료}}}''' ||가솔린 || || '''{{{#ffffff 주무장}}}''' ||P-40A ~ C: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정, 주익 7.62mm [[M1919 브라우닝]] 4정 [br] P-40E ~ F: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6정 || || '''{{{#ffffff 폭장}}}''' ||주익 하면/동체 중앙 하드포인트 3개소 최대 2,000 파운드(907kg) 폭장 || || '''{{{#ffffff 항속 거리}}}''' ||1,100km || || '''{{{#ffffff 최고속력}}}''' ||580km/h || == 개발사 == P-40이 개발되던 당시인 1930년대에 미국은 유럽에서 멀리 떨어져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본토로의 위협이 없었기 때문에 적국함대로부터 미국 해안선을 방어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였던데다 당시 미국은 빠른 항공기 기술 개발에 힘입은 [[폭격기무적론]]에 열광하고 있었던 까닭에 그야말로 '''전투기가 왜 필요한가?'''였다. 그 영향으로 P-40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저공에서의 비행성능과 튼튼한 방호력을 요구받았는데, 이는 지상공격 및 근접지원을 수행하는 항공기에 요구되는 사양이었으며, P-40은 대전내내 중고도 이상의 제공전투에는 치명적인 약점을 드러내게 된다. 어찌됐든간에 요구사항은 충족하였으므로 벨사의 [[P-39 에어라코브라]]와 함께 미국 [[육군 항공대]](현재의 [[미국 공군]])의 주력전투기로 채택되었지만 유럽에서 전쟁이 벌어지건 말건 미국은 별로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대부분 우방국에 수출 및 지원용으로 계획되어 대량생산이 이루어졌다. 당시 다급한 유럽 상황에 따라 전투기를 한 기라도 더 확보할 필요가 있었던 [[영국]]과 [[프랑스]]가 P-40을 구매할 예정이었으나, 프랑스가 [[나치 독일]]에게 박살나버리자 프랑스에 판매될 물량까지 많은 전투기를 필요로 하던 [[영국 공군]]으로 넘어가게 된다. 그 덕분에 P-40은 '''"[[토마호크]]"'''라는 이름으로 영국에서 실전데뷔를 하게 되었으며, 독일 공군과의 교전을 통해 확인된 문제점을 수정하고 조금 더 보완을 해나가게 된다. 커티스사는 이후로도 계속 이 비행기를 개선하려고 노력하였지만 [[P-47 썬더볼트]]나 [[P-51 머스탱]]과 같은 고성능 기체들이 양산되기 시작하였고, 성능에서 커다란 메리트가 없었던 까닭에 결국 더 이상의 개량작업을 포기했였다. 그래도 생산을 중단할 때까지 14,000기 이상 찍어냈다. 여담으로 항공기 설계 자체가 [[상어]] 아가리와 상당한 [[싱크로]]를 보여준 덕분에 현재까지도 상어아가리 도색이 가장 어울리는 기체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이 도색은 영국 사막공군 제112 전투비행대대의 것을 보고 따온 것이며, 또 영국군은 독일 공군의 [[Bf 110]]에서 따왔다. 그리고 엉뚱하게도 [[P-51 머스탱]]을 탄생시킨 전투기이기도 한데, 상세한 사정은 해당 문서 참고. 그래도 태생 자체가 저고도 비행에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고도 선점이 중요한 제공전투에서는 큰 재미를 보지 못했고 영국 공군에서도 [[호커 허리케인]]과 [[슈퍼마린 스핏파이어]]의 보조전력 정도로 활용하였다. 이 시기에 사전 약속에 따라 영국이 명목 상 인수 거부를 한 뒤, 잉여 물량을 [[중화민국]]에 판매한다는 형태로 약 100여기의 P-40B, P-40C가 [[플라잉 타이거즈]]의 전투기로도 공급된다. == 실전 == === 대전기 === ==== [[제2차 세계 대전]] ==== ===== [[독소전쟁]] ===== ||
[[파일:external/lend-lease.airforce.ru/kuznetsov1.jpg|width=100%]]|| || '''소련 공군 소속 니콜라이 쿠즈네트소프 조종기 P-40E-1 "23번기"''' || [[독소전쟁]] 개전과 동시에 [[소련]]에도 [[무기대여법]]으로 제공되었으며, [[P-39 에어라코브라]]와 함께 운용하였다. 엘리슨 엔진의 고질적인 고공에서의 성능 저하는 저공에서 지상군을 지원하는 형태의 [[독소전쟁]]의 항공전에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예비 엔진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엘리슨 엔진 대신 M-105 엔진을 장착하여 운용하기도 했다. ====== [[모스크바 전투]] ====== ||
[[파일:moskow_P-40C.jpg|width=100%]]|| || '''모스크바 전투 당시의 소련 공군 소속 P-40C''' || 모스크바 전투 당시 랜드리스된 P-40C가 육군을 지원하기 위해 소련 공군 소속으로 투입되어 활약하였다. ====== [[레닌그라드 공방전]] ====== ||
[[파일:leningrad_P-40C.jpg|width=100%]]|| ||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의 출격 준비 중인 소련 공군 소속 P-40C''' ||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에도 다수의 기체가 투입되었으며, [[라도가 호수]]를 건너 레닌그라드에서 탈출하는 시민들을 공격하는 독일 공군에 맞서 그들을 저지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활약하였다. ===== [[계속전쟁]] ===== ||
[[파일:winterwar_P-40E.jpg|width=100%]]|| || '''계속전쟁 당시의 출격 준비 중인 소련 공군 소속 P-40E-1 "12번기"''' || 계속전쟁 당시에도 소련 공군 소속으로 신형 P-40E-1이 사용되었는데, 자세한 상세 전과는 알 수 없으나 1기가 핀란드 공군에게 노획되어 사용되었다. ===== [[북아프리카 전역]] ===== ||
[[파일:Curtiss_P-40L_of_99th_FS_(USAAF)_in_North_Africa_1943.jpg|width=100%]]|| || '''북아프리카 전역 당시의 미 육군항공대 산하 제99비행대 소속 P-40 "30번기"''' || [[북아프리카 전역]]에서는 미국이 P-40을 대량으로 제공하지 않았으면 [[영국 공군]]은 [[에르빈 롬멜]]의 독일 전차군단을 공격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을 것이고 미국 육군 항공대도 이탈리아 전선에서 [[P-47 썬더볼트]], [[P-51 머스탱]] 등이 본격적으로 배치되기 전까지 한동안 주력기로 운용했다. [[이탈리아 왕국군]] 상대로는 이탈리아 왕립 공군의 초반 주력기인 [[G.50 프레치아]]와 C. 200보다는 우수한 전투기로 평가되었다. [[C. 20x 시리즈]]의 후기 모델 C. 202 폴고레부터는 P-40 워호크가 화력에서는 우세하고 비행 성능에서는 동급이라는 평가를 얻었다. 한편 [[독일 공군]]과의 교전에서 일방적으로 격추되었다는 소식에 커티스 사는 공중전 능력 강화를 목적으로 대대적인 개량을 단행하였다. 하지만 기체 설계의 한계와 저고도용으로 설계된 미국제 엘리슨 엔진[* 미국이 개발한 항공기 엔진으로 초기 [[P-51 머스탱]]에 장착했다가 고고도에서의 성능저하로 온갖 악평을 들은 그 물건이다.]으로 인하여 여전히 제공전투에서는 애로사항을 꽃피우고 있었다. 결국 떨거지같은 앨리슨 엔진에 열받은 영국이 [[호커 허리케인]]과 [[슈퍼마린 스핏파이어]]에 채용되던 멀린 엔진을 장착해줄 것을 정식 요구하였고, 이에 따라 그동안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고공문제도 해결이 되었지만 그래도 Bf109F형에게는 밀렸다. 게다가 멀린 엔진의 수급문제가 있었던 까닭에 여전히 앨리슨 엔진을 장착한 모델도 생산되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로 이 전투기를 기존의 토마호크의 개량형이 아니라 신형기로 인지한 영국 공군은 '''"키티호크"'''라는 새로운 제식명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이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되었는데, 당시 독일의 북아프리카 공군은 키티호크의 성능을 듣고 화들짝 놀라서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빨리 [[Bf109]] F형 보급해주세요"'''라고 징징거렸으며, 그 덕분에 Bf109F는 예상보다 빨리 북아프리카에 배치된다. ~~그리고 P-40은 묵사발이 됐다~~[* 독일 조종사들의 평가는 '''붙어보니 허리케인보다 약간 아래인 것 같다.''' 틀린 말은 아니긴 한데...] 비록 Bf109에게는 한 수 밑의 전투기였지만[* 전설의 에이스 중 한 사람인 황색 14번, [[한스 요아힘 마르세이유]]의 희생양 태반이 P-40이었으며, 실제로 마르세이유는 자신이 상대해야 하는 적기가 P-40라 밝혀지면 케이크를 앞에 둔 어린아이처럼(...) 좋아했다고 전해진다.] [[호주]] 출신의 클리브 칼드웰[* 토마호크와 키티호크를 위주로 출격했으며 키티호크에 샤크 마우스를 디자인 한 것이 유명하다. 북아프리카 독일 공군 에이스 2위이자 마르세이유의 직속 상관인 [[베르너 슈뢰어]](Werner Schröer)와의 도그 파이팅에서 격추당하여 치명상을 입고 몇달간 출격할 수 없게 되었다. 결국 본국으로 돌아와 태평양 전선에서 [[슈퍼마린 스핏파이어]]로 기종을 바꾸어 일본기들을 격추시켰다.]이나 [[네빌 듀크]] 같은 이들은 이 전투기로 20기 이상의 독일 전투기들을 잡아냈다. 특히 영국 사막공군의 키티호크 Mk.II의 경우에는 숫적 우세를 바탕으로 독일 아프리카 군단을 끈질기게 괴롭혔고, [[에르빈 롬멜]] 원수도 '''"왜 하늘에는 항상 영국 전투기들만 보이나?!"'''하고 분통을 터뜨렸다고 한다. 그리고 북아프리카 전선의 전황이 결판난 뒤의 키티호크들은 독일군을 끝까지 쫓아서 괴롭혔다고... 전반적으로 [[야라레메카]] 느낌이 나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예 약하거나 쓸모 없는 전투기는 아니었으며 P-40 역시 몇몇 에이스 파일럿을 배출해내기도 했다. ===== [[태평양 전쟁]] ===== ====== [[진주만 공습]] ====== ||
[[파일:P40-300.jpg|width=100%]]|| || '''진주만 공습 당시의 미 육군항공대 소속 P-40B "300번기"''' || 진주만 공습 당시에 일본 해군 항공대에 맞서 사용되었으며, 미 육군항공대 소속의 P-40들은 기습당한 상황에서도 일본군에 대항하여 악전고투하였지만, 그럼에도 함선들이 대파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하지만, 미국은 이 일로 더 이상 [[폭격기무적론]]과 일본이 공격할 수 없다는 낙관론에서 완전히 벗어났으며, 그 덕분에 신형 전투기들이 양산에 돌입하기 전까지 필요하던 전투기 소요를 P-40을 대량으로 생산, 무장하며 불식시켰다. ====== [[동남아시아 전역]] ====== ||
[[파일:610x250_wings-of-glory_P40.jpg|width=100%]]|| || '''동남아시아 전역 당시의 미 육군항공대 산하 플라잉 타이거즈 소속 P-40C 비행대''' || [[동남아시아 전역]]에서도 미 육군항공대, 영국 왕립 공군, 네덜란드 왕립 공군 소속으로 사용되었으나, [[일본 제국 해군]]의 신예 전투기인 [[A6M]]에게 1차 [[다윈 공습]]을 비롯한 자바 주변 공중전에서 일방적으로 밀리며 악전고투를 하고 있었다. 특히 이 시기 P-40으로 무장하여 명성을 널리 알린 세력으로는 '''[[플라잉 타이거즈]]'''가 있다. [* 플라잉 타이거즈의 경우 제로센과 맞서서 대등하게 싸웠다는 이야기가 널리 퍼져있으나, 사실 플라잉 타이거즈가 주로 상대한 전투기는 [[Ki-27]]과 [[Ki-43 하야부사]] 정도. 이 시기 하야부사의 실체가 공개되지 않은 시점이라 일본의 고성능기를 만나면 제로센으로 기록한 경향이 있어서 발생한 오해다. 그런데 당시 일본에서 제로센과 하야부사의 공중전 테스트를 했는데 성능이 도토리 키재기, 다만 비행성능만 비슷할 뿐이지 무장부터 제로가 하야부사보다 훨씬 강하다.] 추가로, [[P-47 썬더볼트]]까지는 아니었지만 맷집 하나만은 좋았기에 어찌어찌해서 악전고투를 펼치면서도 시간을 버는 데는 성공한, 훌륭한 핀치히터의 역할을 다해낸 전투기였다. 동남아시아 전역 당시 P-40의 특이한 활약상 중 하나로, 한 조종사가 자신이 몰던 P-40의 주익을 이용해 앞서가던 '''[[A6M]]에게 들이받아''' A6M의 꼬리날개를 박살내버리고 자신은 무사귀환한 사례가 존재한다. == 사용 국가 == === [[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미국]] ===== ||
[[파일:P-40E_USA_no_55.jpg|width=100%]]|| || '''미 육군항공대 산하 플라잉 타이거즈 소속 P-40E-1 네임드 기체 "아메리칸 드림" 55번기''' || 원조 사용국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및 동남아시아 전역 당시 사용하였다. 특히 P-40을 운용한 것으로 유명한 부대로는 [[플라잉 타이거즈]]가 유명한데,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유럽]] === ==== [[동유럽]] ==== ===== [[소련]] ===== ||
[[파일:126iap.jpg|width=100%]]|| || '''소련 공군 소속 P-40C''' || ==== [[서유럽]] ==== ===== [[영국]] ===== ||
[[파일:Egypt_kittyhawk.jpg|width=100%]]|| || '''엘 알라메인 박물관 소장 영국 왕립 공군 소속 P-40E-1'''[* [[북아프리카 전역]] 당시 격추된 로버트 코핑 중사의 조종 기체이며, 2012년 사하라 사막에서 발견된 개체를 복원하였다.] || === [[아시아]] === ==== [[동아시아]] ==== ===== [[일본 제국]] ===== 일본군은 일부 P-40을 노획하고 나중에 버마에서 운용했다. 일본군은 비행가능한 P-40E를 10대나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1943년 짧은 기간 동안, 그들 중 몇몇은 실제로 랑군 방위에 있는 제2항공대, 제50항공대에 의해 운용되었다. 이에 대한 증언은 64 비행대의 일원인 [[쿠로에 야스히코]]의 회고록에서 일본군이 운영하는 P-40 1대가 랑군 상공에서 Ki-21에 의해 실수로 격추되었다고 말했다. == 그 외 == === 유령 P-40 ===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남긴 에피소드중 하나론 '''유령 P-40''' 이야기가 있다. 1942년 중국에 후젠성 근처에 한대의 정체 불명의 항공기가 접근하자 [[플라잉 타이거즈]]의 P-40 2대가 이를 요격하려 출동했다. 곧 플라잉 타이거즈의 P-40은 또 다른 P-40 한대가 날아가는걸 목격할수 있었다. 무전을 해 봐도 아무런 반응이 없었는데, 당시 일본군이 P-40을 노획했다는 소리가 있었으니 일종의 교란이 아닐까 생각하던 파일럿들은 경고사격을 했지만 P-40은 반응하지 않았다. 의아해 했던 파일럿들은 이 P-40을 가까이서 확인해 봤는데, 옛 미군 식별표였던 흰색별에 빨간 점이 있는 초기형 도장에다가 P-40 자체 또한 이미 대체가 끝나 운용하지 않았던 초기형 P-40형이 였었고 또한 엄청난 탄흔과 여러 부품들이 뜯겨나가 있었으며 특히 랜딩기어 한쪽은 아에 없어져 있던 상태였다. 그리고 조종석을 보니 조종석의 윈드쉴드는 아에 부셔져 있었으며 파일럿은 이미 죽어 있었던 상태였다. 말 그대로 과거로 부터 온 유령이나 다를바 없는 이 P-40을 지켜본 파일럿들은 경악하였고 머지않아 이 유령 P-40은 연료가 다 떨어져 근처 쌀밭에 불시착 하였다. 다음날 이 불시착한 P-40을 찾은 파일럿들은 조종석을 살펴본 결과 무전기나 기총같은 장비 또한 전부 뜯겨져 나가있던걸 볼수가 있었다. 그리곤 이미 싸늘한 주검이 된 조종사를 살펴보기 시작했는데, 기지에 조회해본 결과 알 수 없는 신원의 남성이였고, 뭔가를 지니고 있었는데 한 수첩과 이는 수백장의 우편물들이였다. 우편물은 일단 우편물들이였기 때문에 군 우편물로 발송이 되었으며, 이 유령 P-40은 여러 이야기로 각색되어서 전해져 내려왔고 사건은 그렇게 잊혀갔다. 사건의 전말은 이러하였다. [[맥아더]]가 필리핀에서 철수하고 필리핀에서 미군과 필리핀군들이 일본군에 항복을 할때 몇몇 미군과 필리핀군들은 섬에 남아 일본군에 [[게릴라]]형식으로 계속 항전하는걸 선택하였다. 그렇게 정글에서 활동하던 도중 오래전에 추락한 P-40 잔해를 찾아냈고, 지역 원주민들에게 또 다른 P-40 한대가 불시착 했다는 소문을 들어 그 P-40 또한 찾아낼수가 있었다. 미군과 필리핀군은 이 불시착한 2대의 P-40을 합쳐서 한대의 비행 가능한 P-40을 만들어 냈다. 이렇게 비행기를 한대 만들었던 이유는 중요했던 필리핀군 장군을 중국으로 대피시키기 위함이였다. 여러 중요한 정보를 가진 사람이기도 했지만, 이 필리핀 장군을 통해 많은 용감한 필리핀군과 미군들이 이곳에서 항전하고 있다는 소식을 알리기 위함이였다. 사실 P-40의 항속거리로는 중국까지 닫는데는 부족했지만, 기총을 기수 2정만 남기고 다 철거하고 무전기나 방탄판을 제거, 그리고 고철을 모아 만든 수제로 만든 연료탱크 하나를 부착함으로서 해결하였다. 또 다른 문제는 랜딩기어 한짝을 아무리 찾아봐도 찾을수가 없었는데, 이는 대나무로 만든 스키를 달아 해결하였다. 또 활주로가 사실상 모든 일본군에게 점령당해 없었지만, 이는 지역 원주민들이 나무를 잘라 만들어 주었다. 그렇게 P-40 한대가 완성이 되고, 연료까지 다 구해 모든 준비가 된 P-40은 많은 필리핀군과 미군들이 가족에게 쓴 편지를 실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필리핀군 장군은 떠나는걸 망설여 했는데, 그 동안 같이 싸워준 부하들과 형제같은 사람들을 두고 자신만 떠나는걸 망설였기 때문이였다. 그렇게 며칠이 지나고 어느날, 신원 불명의 누군가가 P-40을 시동을 걸어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날아올라 가버렸다. 이렇게 날아오른 P-40은 중국으로 향해야 했지만, 항로를 잘못잡아 일본 점령이 된 대만으로 향해 버렸고 그곳을 점령했던 일본군을 만나 [[제로]]기에 쫒기고 만다.[* 나중에 일본군이 항복하고 난뒤에 1기의 P-40이 대만 기지를 침공하여 제로기가 요격에 들어갔으나 놓쳤다는 문서가 발견되었다.] 구름속으로 도망쳐 빠져나오는데 성공한 P-40은 다시 중국으로 항로를 잡았지만, 파일럿은 이 과정에서 중상을 입었으며 결국 조종간을 잡고 사망하게 된다. 이렇게 중국을 향하던 P-40은 마침내 중국을 도착하게 되고 앞서 언급했듯이 플라잉 타이거즈 파일럿들을 만나게 된 것이였다. 한편 P-40을 만든 필리핀군과 미군은 이 P-40의 행방도 모른채 몇주뒤에 일본군에게 포로로 잡혔고 [[바탄 죽음의 행진|모진 고문과 폭행을]] 당해 결국 그들중에 701 비행대에 근무했었던 '''밀튼 맥멀린(Milton McMullen)''' 상사만이 유일하게 살아남아 본국에 귀환하여 그 이야기를 전해주었다.[* 밀튼은 그 P-40의 행방을 모르고 있었다가 나중에 참전용사 모임에서 유령 P-40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이 이야기에 대해 증언 할 수가 있었다.] 밀튼은 이후 2014년에 93세의 나이로 미시시피주 한 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 [[P-40/대중매체|미디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40/대중매체)] == 모형화 == 2차대전 초반 미 육군 항공대의 주력 기종이라 1940년대부터 많이 모형화되었다. * 1/32 * [[레벨(모형 메이커)|레벨]] * [[하세가와(모형 메이커)|하세가와]] - 구금형과 신금형이 있는데, 그 중 신금형은 우수한 조립성과 가성비를 자랑하며 간편히 만들기 좋은 구성과 좋은 패널라인 디테일을 가지고 있다 * 에듀어드 하세가와 제품을 기반으로 한 제품이다. * [[트럼페터(모형 메이커)|트럼페터]] 금형이 2개다. 그 중 요즘 금형은 바리에이션이 다양하지만 트럼페터 에어로 킷치고는 가격대가 좀 나가는 편이다. * [[그레이트 월 하비]] 출시 예정이다. * 1/33 * [[모노그람]] * 1/48 * [[레벨(모형 메이커)|레벨]] 자체 금형과 모노그람 재포장판이 있다. * [[모노그람]] * [[아리이|ARII]]- 1986년부터 발매했지만 원본은 OTAKI라는 회사가 1974년에 처음 내놓은 금형을 해당회사가 없어지면서 인수한 것이다. * [[에어픽스]] 아리이, 모브 제품의 재포장판이나 팔다가, 2016년에 자체 신금형 버전을 내놓았다. * [[아이디어회관]] 아리이 카피판[* 정확히는 아리이판인지 그 이전 오타키 판인지 불분명하다]이다. 박스아트부터 똑같다.이후 호비크래프트제도 발매. * 모브 * [[아카데미과학]] 호비크래프트 금형과 모브 재포장판이 있다. 전자의 경우 가성비가 좋은 편이지만....원본이 모브제보다 늦게 나온 주제에 더 단순하다. * [[트럼페터(모형 메이커)|트럼페터]] * [[하세가와(모형 메이커)|하세가와]] * [[이탈레리]] * 브롱코-엔진, 기수 기관총등 내부 재현도가 높으며, 이를 잘 보여주기위해 동체 기수 부분이 투명부품으로 되어 있다. * 1/54 * [[모노그람]] * 1/64 * [[모노그람]] * 1/72 * [[모노그람]] * [[레벨(모형 메이커)|레벨]] 자체 금형과 재포장판이 있다. * [[에어픽스]] 레벨과 마찬가지로 자체 금형과 재포장판이 있다. * [[엘레르]] * [[하세가와(모형 메이커)|하세가와]] * [[아카데미과학]] * [[즈베즈다(모형 메이커)|즈베즈다]] * [[트럼페터(모형 메이커)|트럼페터/하비보스]] * 어큐레이트 미니어쳐 * 스페셜하비 * 도유샤 하비보스 제품 재포장판이다. * 에듀어드 하비보스 제품 재포장판이다. * 1/144 * [[레벨(모형 메이커)|레벨]] * 크라운 * [[아리이|ARII]] 크라운 재품 재포장판이다. * F-Toys * AFV클럽 * 1/190 * 마루산 * 1/700 * 피트로드 * 논 스케일 * [[하세가와(모형 메이커)|하세가와]] 하세가와의 계란 비행기 시리즈이다. * [[타이거 모델]] 하세가와 제품보다 디테일이 좋다. == 참고 문헌 == * [[https://en.wikipedia.org/wiki/Curtiss_P-40_Warhawk|위키피디아 영문판 커티스 P-40 워호크 문서]] * [[https://lend-lease.net/articles-en/the-p-40-in-soviet-aviation/|소련 P-40 랜드리스 기록]] * [[http://p40hawksnest.com/Service/USSR/USSR.html|소련 P-40 운용 기록]]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영국군 항공기)] [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군 항공기)] [include(틀:2차 세계대전/핀란드군 항공기)]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일본 항공병기)] [include(틀:2차 세계대전/중화민국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각주] [[분류:전투기]][[분류:항공 병기/세계 대전]][[분류:미군/항공기]][[분류:영국군/항공기]][[분류:핀란드군/항공기]][[분류:대만군/항공기]][[분류:1938년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