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PFC CSKA 소피아]] [include(틀:파르바 리가)] ---- ||<-2> [[파일:PFC CSKA 소피아 로고.svg|height=270]] || ||<-2><#b40000> '''{{{#000 {{{+1 PFC CSKA 소피아}}}}}}''' || ||<-2><#fff> '''{{{#b40000 {{{+1 PFC CSKA Sofia}}}}}}''' || || '''정식 명칭''' ||Профессиональный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ЦСКА София)[* 러시아어에서는 체스카라고 읽지만, 불가리아어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여기선 체세카라고 읽는다.][br](소피아 체세카 프로축구단) || || '''[[축구단 별명|{{{#fff __별칭__}}}]]''' ||Червените[* 러시아어로는 붉은색은 크라스니예라고 읽힌다. ](붉은색), Армейците(군인) || || '''창단''' ||[[1948년|{{{#000,#ddd 1948년}}}]] [[5월 5일|{{{#000,#ddd 5월 5일}}}]] '''^^([age(1948-05-05)]주년)^^'''[* [[https://cska.bg/index.php?main_page=document_general_info&cPath=240_241_73&products_id=196&zenid=btn2ttbtqo55mobm12g4i3ak63|#]]] || || '''소속 리그''' ||[[불가리아 파르바리가]][br](Първа професионална футболна лига) || || '''연고지''' ||[[소피아(도시)|소피아]](Sofia) || || '''홈구장''' ||[[스타디온 불가르스카 아르미야]] (22,015명 수용)[* Balgarska Armiya, 불가리아군 경기장 이라는 뜻이다.][* 좌석 수는 18000개 정도이다. ] || || '''회장''' ||디미타르 페네프 (Dimitar Penev) || || '''감독''' ||네스토르 엘마에스트로 (Nestor El Maestro) || || '''공식 웹사이트''' ||[[https://cska.bg|[[파일:PFC CSKA 소피아 로고.svg|height=25]]]] [[https://www.facebook.com/cskasofia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cskasofiaf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SKASofiaFC194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fff> '''{{{#b40000 우승 기록}}}''' || || '''[[불가리아 파르바리가|{{{#fff __불가리아 파르바리가__ }}}]]'''[br](31회 / 최다우승) ||1948, 1951, 1952, 1954, 1955, 1956, 1957, 1958, 1958-59, 1959-60,[br] 1960-61, 1961-62, 1965-66, 1968-69, 1970-71, 1971-72, 1972-73, 1974-75, 1975-76, 1979-80,[br] 1980-81, 1981-82, 1982-83, 1986-87, 1988-89, 1989-90, 1991-92, 1996-97, 2002-03, 2004-05,[br] 2007-08 || || '''불가리아 아마쵸르스카리가'''[br](1회) ||2015-16 || || '''불가리아 컵'''[br](21회) ||1951, 1954, 1955, 1961, 1965, 1969, 1972, 1973, 1974, 1981[* 이때 우승은 비공식적이라 공식적으로는 20회 우승이 맞다고 보면 된다. ], 1983, 1985, 1987, 1988, 1989,[br] 1993, 1997, 1999, 2006, 2011, 2016 || || '''불가리아 슈퍼컵'''[br](4회) ||1989, 2006, 2008, 2011 || || '''소비에트 군대컵[* 2차세계대전의 소련군을 기리기 위한 축구 토너먼트이다. 그만큼 불가리아인들의 러시아에 대한 애정은 현재진행형이다.]'''[br](4회) ||1985, 1986, 1989, 1990 || [목차] [clearfix] == 개요 == [[불가리아]]의 수도인 [[소피아(도시)|소피아]]에 연고지를 둔 구단이다. [[PFC CSKA 모스크바]]와 똑같이 육군 중앙 스포츠 클럽 산하의 축구 구단이며 따라서 여러 종목의 스포츠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나 [[PFC CSKA 모스크바]] 서포터와는 형제 사이로 유명한 팀이다. 이름만큼 서로 정보공유도 빠른셈이다. 레브스키 소피아와는 대립관계에 있다. 팀 자체가 유명해진 것은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와 [[디미타르 베르바토프]] 이 두 선수 덕분에 알려졌으며 현재까지 불가리아에서 리그와 컵 최다 우승 팀으로 남아있다. 물론 현재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가 우승과 컵을 휘어잡고 있는 실정이다. == 역사 == [[파일:Athletic slava.png|width=300]] 1948년이 아닌 역사가 192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구단 창단은 1948년이 맞지만 그 토대가 된 것은 1923년에 창단된 아틀레틱 슬라바 소피아가 활동을 시작한 시기이다. AS-23 슬라바 소피아라고 불리기도 했다지만 아틀레틱이라는 이름보다는 AS-23이라는 이름을 더욱 많이 쓰였다. 창단 후 1931년에는 차르컵 등 여러 리그에서 활약하고 1938년에는 현재 군대경기장이라고 불리는 AS-23 경기장을 세워 축구 경기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역사는 오래가지 못했는데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구단이 파산당했지만 곧 바로 새로 구단을 창단하게 되었는데 4년뒤인 1948년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축구 클럽처럼 종합적인 스포츠 운영단을 꾸리고자 계획을 세웠다. [[파일:CSKA SOFIA 1948.png|width=300]] 육군 종합 스포츠 클럽 산하의 축구단으로 재창단하였으며 이때부터 정식적으로 역사가 시작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이전의 역사는 축구단 창단의 토대가 되었으며 1948년 5월 5일에 등록이 완료되었다. 물론 첫 경기과 두 번째 경기는 라이벌 팀인 레브스키 소피아와 슬라비아 소피아등과 가졌으며 무승부 또는 패배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창단 시절부터 우승컵을 들었고 2년동안 라이벌팀에게 우승 트로피를 내줬지만 50년대에는 리그 독주를 이어가게 되었다. 1956-57시즌에는 [[디나모 부쿠레슈티]]를 꺾고 [[유러피언 컵]] 8강까지 진출했지만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에게 패배하였고 역시나 60년대에도 거의 독주를 이어가는 시기에도 1966-67시즌에 4강에서 뼈아프게 [[인터밀란]]에 승부차기에서 패배해 우승 목표는 좌절되었다. 그 후에도 몇 차례 4강이나 8강에 진출한 적도 있었으며 찬란한 시기를 보냈던 적이 여러 번 있었다. 물론 [[소련]]이 붕괴 후에는 이상하게 타국가팀인 CSKA 소피아의 경기력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실제로 2007-08시즌 후에는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리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3부 리그까지 떨어졌던 적이 있으며 고전한적이 있었으나 현재는 다시 1부리그에 올라와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루도고레츠]]에 이어 2인자로 재도약하였다. 과거에 비하면 새로 창단된 유럽 내 강호팀들이 많아진 덕분에 입지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2021-22 시즌 리그 준우승을 하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상대는 북마케도니아의 [[FK 마케도니야 조르체 페트로프]]. 1차전에서는 0-0으로 비겼다. 2022-23 시즌 리그 준우승을 하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상대는 루마니아의 [[세프시 OSK 스픈투게오르게]]. 1차전에서는 2-0으로 패배했다. 2차전에서도 4-0으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 유명 선수 == * 불가리아 *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1984–1990, 1998 * [[디미타르 베르바토프]]: 1998–2001 * 루마니아 * [[이아니스 지쿠]]: 2011~2012 * 브라질 *[[마우리데스]]: 2018~2019 == 기타 == [[PFC CSKA 모스크바]],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PAOK FC]]등 동맹 구단들과 형제 관계를 형성하였다. SNS에서도 서로에 대한 애착이 매우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