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피크민 시리즈]][[분류:지구/창작물]] [include(틀:상위 문서,top1=피크민 시리즈)] || {{{-1 '''어느 별'''}}} [br] {{{+2 '''PNF-404'''}}}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kmin 3 opening.jpg|width=100%]]}}} || [목차] == 개요 == [include(틀:스포일러)] [[피크민 시리즈]]의 무대가 되는 행성. [[피크민|피크민 1]]과 [[피크민 2]]에서는 뚜렷한 명칭 없이 '''어느 별'''이라 불렸지만 [[피크민 3]]부터 [[코파이]]에 의해 '''PNF-404'''라고 명명된다.[* 작품 내적으로는 현실에서 [[외계 행성]]을 찾아냈을 때 붙여지는 이름과 비슷하나, 작품 외적으로는 [[404 Not Found|'''P'''age '''N'''ot '''F'''ound '''404''']]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설명 == 하루가 굉장히 짧다. 아침에서 단 몇 분만 지나면 일몰이 다가올 정도. [[피크민 3]]에서는 오전 8시에서 순식간에 일몰이 되었다는 게 밝혀진다. [[피크민 3#피크민 3 디럭스|피크민 3 디럭스]]의 보통 난이도에서는 하루가 18분이고, 어려움 난이도와 불맛 난이도에선 고작 '''13분'''이다. 다만 이것은 게임의 난이도 조절을 위해 그렇게 설정한 것 같다. [[올리마]]의 언급에 따르면, 행성에는 자신과 같은 호코타테인들에게 '''맹독'''인 [[산소]]로 가득차 있는 듯하다. 또 [[알프(피크민 시리즈)|알프]] 일행의 언급에 따르면, 산소의 농도가 [[코파이]] 행성보다 3배 더 높아서 산소를 호흡할 수 있는 코파이인들 입장에서도 행성의 대기가 호코타테인들처럼 맹독에 가깝다. 이것 외에도 코파이 행성과 279,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중력은 코파이 행성의 10분의 1이라는 듯하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행성의 지형이 멋대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피크민 2]]의 보물 도감에서 [[올리마]]가 이에 언급한 적이 있다. 또한 [[피크민 3#피크민 3 디럭스|피크민 3 디럭스]]의 사이드 스토리에서 전기 울타리가 있던 자리에 모래 벽이 있고, 아무것도 없던 자리에 벽돌이 생기고, 물이 가득 고여있던 자리에 물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등 지형 변화가 심하다.[* 하지만 이는 위의 하루가 짧다는 내용과 마찬가지로 게임 플레이를 위하여 생긴 것일 수도 있다. 어느 구역으로 가지 못하게 벽돌로 막아놨고 다른 곳은 멀쩡하기 때문.] [[피크민 3]] 이후부터 올리마, 알프 일행이 불시착한 것에 어떠한 배후가 있을 것이라는 떡밥이 있다. [[피크민 4]]의 트레일러에서 와치가 조난자의 냄새를 맡고 찾아내는 것을 보아 실제로도 PNF-404로 불시착하는 경우가 다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 [[포스트 아포칼립스|멸망한 지구?]] === 게임을 플레이하다 보면 PNF-404에 흩어진 물건들이 거의 대부분 [[지구]]에서 볼 수 있는 인공물이라는 것을 눈치챌 수 있다. 자연환경 또한 지구와 유사한 점이 많아 [[사실은 지구였다|PNF-404는 멸망한 지구]]라는 가설이 있다. 다음은 PNF-404와 지구와 관련된 점이다. * 상술했다시피 게임 내에 곳곳에 흩어진 인공물을 볼 수 있으며 [[피크민 2]]의 [[피크민 2/보물|보물]]은 거의 모두 인공물이다. * [[피크민|피크민 1]]의 [[올리마]]의 조난 일지를 보면 [[달]]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피크민 3]]의 오프닝에서도 보인다. * 피크민 3의 일부 거대원주생물을 쓰러뜨리면 드랍하는 기계들은 우리가 사용하는 [[휴대 전화]]들이다. * 피크민 3의 [[피크민 3/과실|과실]]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과실들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NF-404 wlrn.png|width=100%]]}}} || * 위 사진은 [[피크민 2]]의 엔딩에서 나오는 행성 PNF-404이며, '''[[호주]], [[뉴질랜드]], [[동남아시아]], 그리고 [[한반도]] 및 [[일본]]과 유사한 지역이 선명하게 보인다.''' * 피크민 3에서 PNF-404는 [[판게아 울티마 대륙]]과 비슷한 모양을 보인다. 이 외에도 [[https://youtube.com/watch?v=8SlViQu33dI|쇼트 무비 3편]]에서 올리마와 피크민들이 '''[[포크레인]]'''의 나사와 볼트, 너트를 수거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주변에는 일본어로 쓰여진 주의문도 볼 수 있다. 결정적으로 피크민 2 시절 공식 사이트에서 '''올리마가 직접 이 행성은 자원 낭비로 멸망했을지 모른다는 추측까지 했다.''' PNF-404가 지구가 맞는지 아닌지는 공식적으로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위의 내용들을 보아선 맞을 확률이 높다. 하지만 피크민 4의 일등성의 아지트 맵으로 인해, 멸망한 지구까지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 맵은 '''가정집'''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완전 폐허도 아니고 가스레인지도 켜져있는 등 멀쩡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 == 지역 == 게임에서 활동하는 PNF-404의 지역에 대해 서술한다. === [[피크민| 피크민 1]] === || {{{#ffffff '''지역 선택 화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피크민 월드맵.png|width=100%]]}}} || 1편의 수집품인 부품에 대해서는 [[피크민/부품|해당 문서]] 참조. ==== 불시착 지점 ==== ||<-3> {{{#ffffff '''불시착 지점'''}}}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불시착 지점 맵.jpg|width=100%]]}}} ||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불시착 지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遭難地点}}}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The Impact Site}}} || ||<-2> {{{#ffffff '''부품 개수'''}}} || {{{#000000 2}}} || ||<-2> {{{#ffffff '''진입 조건'''}}} || {{{#000000 -}}} || 게임을 처음 시작하게 되는 지역. 이름 그대로 [[올리마]]의 [[돌핀호]]가 불시착한 지역이다. 이곳에서 빨강피크민을 만날 수 있다. 처음 1일차에서는 이 지역에서 기본적인 튜토리얼을 진행하게 되며 '''메인 엔진'''을 회수하면 1일차가 종료된다. 행성으로 불시착한 올리마는 정신을 차리자 돌핀호가 산산조각난 광경을 목도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행성의 대기가 자신에게 맹독인 [[산소]]로 가득 찼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이를 차단시키는 생명유지장치의 배터리가 30일 밖에 남지 않은 절망적인 상황과 마주한다. 그런 상황에서 올리마는 수수께끼의 물체 오니용을 발견하며 오니용이 만들어낸 싹을 뽑으니 [[피크민(피크민 시리즈)|피크민]]을 발견하게 된다. 자신을 따르는 피크민을 이용해 주변을 조사하던 중 돌핀호의 "메인 엔진"을 찾아내고, 피크민에게 운반하도록 해 회수에 성공한다. 숲속 같은 느낌의 지역이다. [[피크민/부품|부품]]의 수는 2개로 매우 적은 편이나, 그 대신 펠렛이 많이 보인다. 특이한 점이라면 중앙에 큰 나무 그루터기가 있는데 이곳에 8일차부터 현재 날짜가 짝수라면 마뮤타가, 9일차부터 현재 날짜가 홀수라면 땅해파리가 등장한다. 이 둘을 쓰러뜨리면 펠렛을 떨어뜨린다. 이렇게 부품은 적어도 펠렛은 많으니 피크민이 부족할 때 와주면 썩 나쁘지는 않다. ==== 희망의 숲 ==== ||<-3> {{{#ffffff '''희망의 숲'''}}}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희망의 숲 맵.jpg|width=100%]]}}} ||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희망의 숲}}}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希望の森}}}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The Forest of Hope}}} || ||<-2> {{{#ffffff '''부품 개수'''}}} || {{{#000000 8}}} || ||<-2> {{{#ffffff '''진입 조건'''}}} || {{{#000000 메인 엔진을 회수한다}}} || 2번째로 가게 되는 지역. 본격적으로 게임을 시작하게 되는 지역이다. 이곳에서 노랑피크민을 만날 수 있다. [[돌핀호]]의 메인 엔진을 회수하고 이륙할 수 있게 된 [[올리마]]는 해당 지역이 희망으로 가득해 보인다고 하여 '''희망의 숲'''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본격적인 탐색에 나서게 된다. 다른 지역들에 비해 단조로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위협적인 [[원주생물]]도 적어 공략하기 쉬운 지역이다. 지역에 처음 진입하면 벽부터 부숴야 앞으로 전진할 수 있다. 노랑피크민의 오니용은 처음 벽을 부수고 나서 얼마 안 가 발견하게 된다. 음악이 듣기 좋다는 평이 많다.[[https://www.youtube.com/watch?v=HoMx0BTPVgE|#]] ==== 삼림의 배꼽 ==== ||<-3> {{{#ffffff '''삼림의 배꼽'''}}}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삼림의 배꼽 맵.jpg|width=100%]]}}} ||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삼림의 배꼽}}}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樹海のヘソ}}}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The Forest Navel}}} || ||<-2> {{{#ffffff '''부품 개수'''}}} || {{{#000000 9}}} || ||<-2> {{{#ffffff '''진입 조건'''}}} || {{{#000000 부품을 5개 회수한다}}} || 3번째로 가게 되는 지역. 이곳에서 파랑피크민을 만날 수 있다. 부품 5개를 회수하면 해금된다. '''삼림의 배꼽'''이란 이름은 거대한 삼림의 움푹 파인 부분에 위치해 있어 [[올리마]]가 마치 삼림의 배꼽과도 같다고 해 지어졌다. 어두운 동굴이 배경인 지역. 주변이 어두워서 시야 확보가 어렵고 구조가 위 두 지역보다 많이 복잡하다. 위 사진 기준으로 착륙 지점의 위쪽으로 가면 작은 샘들이 여럿 있으며, 이곳에서 파랑피크민의 오니용을 발견할 수 있다. 폭탄바위는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한 군데씩 위치해 있으니 참고. [[피크민 3]]에서는 미션 모드에서 DLC 맵으로 '''추억의 바닷가'''라는 이름으로 리메이크되었다. 기존보다 크기가 살짝 작아졌으며 1편에서는 피크민이 단 3종류 밖에 없었다는 점을 반영한 것인지 빨강, 노랑, 파랑피크민만 등장한다.[* '보물을 모아라!' 한정. '원주생물을 쓰러뜨려라!'에서는 빨강, 바위, 파랑피크민이 등장한다.] '보물을 모아라!'에서는 제한 시간이 11분인 반면, '원주생물을 쓰러뜨려라!'에서는 제한 시간이 9분이기 때문에 난이도는 꽤 높은 편. ==== 거대한 샘 ==== ||<-3> {{{#ffffff '''거대한 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거대한 샘 맵.jpg|width=100%]]}}} ||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거대한 샘}}}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大水源}}}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The Distant Spring}}} || ||<-2> {{{#ffffff '''부품 개수'''}}} || {{{#000000 10}}} || ||<-2> {{{#ffffff '''진입 조건'''}}} || {{{#000000 부품을 12개 회수한다}}} || 4번째로 가게 되는 지역. 부품을 12개 회수하면 갈 수 있으며, 회수할 수 있는 부품의 수가 가장 많다. 거대한 샘이라는 이름에 알맞게 물가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지역. 그 뿐만 아니라 [[피크민|피크민 1]]의 지역 중 가장 넓으며, 복잡한 지형과 구조를 가져 공략하기 어려운 지역이다. 작업을 방해하고 위험한 원주생물도 많이 있으니 부품을 모으는 게 쉽지는 않을 것이다. [[코스모스]] 모양의 지형에는 머드로그의 알이 있으며 15일 뒤로는 사라진다. 머드로그를 쓰러뜨리면 피크민을 100마리나 생성하는 구슬을 떨어뜨리긴 하지만,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피크민이 많다면 굳이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다. ==== 마지막 시련 ==== ||<-3> {{{#ffffff '''마지막 시련'''}}}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지막 시련 맵.jpg|width=100%]]}}} ||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마지막 시련}}}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最後の試練}}}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The Final Trial}}} || ||<-2> {{{#ffffff '''부품 개수'''}}} || {{{#000000 1}}} || ||<-2> {{{#ffffff '''진입 조건'''}}} || {{{#000000 부품을 29개 회수한다}}} || [[피크민|피크민 1]]의 마지막 지역. 부품을 29개 회수한다면 갈 수 있다. 부품을 29개 회수하고 마지막 1개의 부품만 남겨둔 [[올리마]]는 해당 지역에 '''마지막 시련'''이란 이름을 붙이고 마지막 부품을 회수하러 가게 된다. 지역에 착륙하게 된다면 우선 모든 피크민을 활용해서 앞으로 나아가는 길을 만들어야 한다. 지역의 끝 부분에는 대왕툭눈점박이가 있다. 쓰러뜨리면 마지막 부품인 '''비상금 금고'''를 회수할 수 있다. === [[피크민 2]] === || {{{#ffffff '''지역 선택 화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피크민 2 월드맵.jpg|width=100%]]}}} || 동굴과 보물에 대해서는 [[피크민 2/동굴|해당]] [[피크민 2/보물|문서]] 참조. 처음 지역을 진입할 때는 컷신이 있다. ==== 잠의 계곡 ==== ||<-3> {{{#000000 '''잠의 계곡'''}}}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식의 계곡 맵.jpg|width=100%]]}}} || ||<|3> {{{#000000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잠의 계곡}}}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ねむりの谷}}}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Valley of Repose}}} || ||<-2> {{{#000000 '''보물 개수'''}}} || {{{#000000 41}}}{{{-2 (지상: 7 ・ 동굴: 34)}}} || ||<-2> {{{#000000 '''동굴'''''''}}} || {{{#000000 3}}} || ||<-2> {{{#000000 '''진입 조건'''}}} || {{{#000000 -}}} || 게임을 처음 시작하게 되는 지역. 눈이 가득 쌓인 설원이 배경인 지역으로, 이곳에서 빨강피크민을 만날 수 있다. [[피크민 2/보물|보물 도감]]에서 [[올리마]]가 직접 밝힌 바로는 '''잠의 계곡'''이란 이름은 해당 지역이 고요하고 여유가 있다고 하여 올리마 본인이 직접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처음 1일차에서는 해당 지역에서 튜토리얼을 진행하게 되며, "용기의 원자로"[* 일본판에서는 "사랑과 용기의 원자로".] [[피크민 2/보물|보물]]을 회수하면 1일차가 종료된다. [[올리마]]는 행성 지표면에 [[돌핀호#돌핀 초호기|돌핀 초호기]]를 착륙시키기 직전, 눈보라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워 그만 나뭇가지와 충돌해버리고 말고, 그 충격으로 인해 [[루이(피크민 시리즈)|루이]]가 낙오되어 버린다. 일단 돌핀 초호기를 착륙시킨 올리마는 루이를 찾아 나서는데 곧 꼬마차피와 싸우고 있는 [[피크민(피크민 시리즈)|피크민]]들을 발견한다. 그리고 올리마는 피크민을 이용하여 루이와 다시 합류하는데 성공하며, 더불어 보물 하나를 회수한다. 본작에서 처음으로 오게 되는 지역인 만큼 공략하기 쉬운 지역이다. 해당 지역의 동굴으로 "시작의 동굴", "지하 비밀 기지", "국경의 동굴"이 있다. 여담으로, 잘 보면 도로와 맨홀 같은 것이 보인다. ==== 각성의 숲 ==== ||<-3> {{{#000000 '''각성의 숲'''}}}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일깨우는 나무 맵.jpg|width=100%]]}}} || ||<|3> {{{#000000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각성의 숲}}}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めざめの森}}}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Awakening Wood}}} || ||<-2> {{{#000000 '''보물 개수'''}}} || {{{#000000 45}}}{{{-2 (지상: 7 ・ 동굴: 38)}}} || ||<-2> {{{#000000 '''동굴'''}}} || {{{#000000 4}}} || ||<-2> {{{#000000 '''진입 조건'''}}} || {{{#000000 구형 아틀라스를 회수한다}}} || 2번째로 가게 되는 지역. 이곳에서 파랑피크민을 만날 수 있으며[* 허나 파랑피크민은 전기벽 너머에 있기에 당황의 수원에서 노랑피크민을 데리고 와야 제대로 만날 수 있다.] 잠의 계곡에서 [[피크민 2/보물#구형 아틀라스|구형 아틀라스]] 보물을 회수하면 진입 가능하다. [[피크민|피크민 1]]의 희망의 숲을 약간 변형시켜 만든 지역으로, 지역 내의 퍼즐과 착륙 지점만 다를 뿐 같은 지역이다. [[올리마]]가 언급한 바로는 본인이 해당 지역을 전에 왔을 때와 비교해보면 몇 가지 변화를 겪었기에 본인이 '''각성의 숲'''이란 이름을 붙였다고. 벚꽃이 흩날리는 숲속이 배경인 지역이다. 위 사진 기준으로 동쪽의 거대한 샘에 파랑피크민과 오니용이 있다. 동굴으로는 "맹수의 구덩이", "하얀 꽃 정원", "툭눈점박이의 왕국", "뱀까마귀의 구덩이"가 있다. 참고로, 후속작인 [[피크민 3]]의 타이틀 화면은 해당 지역의 북서쪽 부분(위 사진 기준)을 비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당황의 수원 ==== ||<-3> {{{#000000 '''당황의 수원'''}}}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복잡한 웅덩이 맵.jpg|width=100%]]}}} || ||<|3> {{{#000000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당황의 수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まどいの水源}}}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Perplexing Pool}}} || ||<-2> {{{#000000 '''보물 개수'''}}} || {{{#000000 59}}}{{{-2 (지상: 7 ・ 동굴: 52)}}} || ||<-2> {{{#000000 '''동굴'''}}} || {{{#000000 4}}} || ||<-2> {{{#000000 '''진입 조건'''}}} || {{{#000000 지리적 계획을 회수한다}}} || 3번째로 가게 되는 지역. 각성의 숲에서 [[피크민 2/보물#지리적 계획|지리적 계획]] 보물을 회수하면 진입할 수 있는 지역이며, 이곳에서 노랑피크민을 만날 수 있다. [[피크민|전작]]의 거대한 샘을 변형해 만든 지역으로, 일부 [[피크민 2/보물|보물]]은 전작의 수집품이였던 [[피크민/부품|부품]]이 있던 자리에 있다. 중앙의 그루터기 부분에 노랑피크민과 오니용이 있다. 전작의 거대한 샘처럼 지역 여기저기에 물이 가득 고여 있어 파랑피크민이 거의 필수적으로 함께 있어야 하지만 파랑피크민은 각성의 숲에 있기에 먼저 데리고 와야 한다. 동굴으로는 "거미들의 요새", "요리의 신의 주방", "샤워실", "물 속의 성"이 있다. 당황의 수원은 31일차부터 박거미가 나타난다. ==== 소원의 대지 ==== ||<-3> {{{#000000 '''소원의 대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안타까운 야생 맵.jpg|width=100%]]}}} || ||<|3> {{{#000000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소원의 대지}}}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のぞみの大地}}}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Wistful Wild}}} || ||<-2> {{{#000000 '''보물 개수'''}}} || {{{#000000 56}}}{{{-2 (지상: 5 ・ 동굴: 51)}}} || ||<-2> {{{#000000 '''동굴'''}}} || {{{#000000 3}}} || ||<-2> {{{#000000 '''진입 조건'''}}} || {{{#000000 1차 엔딩을 본다}}} || 1차 엔딩 이후 갈 수 있는 [[피크민 2]]의 마지막 지역. [[피크민|피크민 1]]의 불시착 지점과 마지막 시련을 혼합해 만든 지역이다. [[피크민 2/보물|보물 도감]]에서 [[올리마]]가 말한 바에 따르면 해당 지역은 공격적인 기질을 지닌 원주생물 특히나 많은 지역이라고 하며 지역에서 느껴지는 쓸쓸한 느낌 때문에 '''소원의 대지'''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배경은 가을풍의 숲이다. 전작에서 대왕툭눈점박이와 보스전을 치뤘던 곳이 착륙 지점이며, 지역의 남쪽 부분(위 사진 기준)에 불시착 지점의 모양으로 이루어진 장소가 있다. 마지막 지역이라 그런지 강한 원주생물들이 많이 보인다. 동굴으로는 "혼돈의 마굴", "베테랑의 구덩이", "꿈의 구덩이"가 있다. === [[피크민 3]] === || {{{#ffffff '''지역 선택 화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피크민 3 월드맵.jpg|width=100%]]}}} || [[피크민 2]]와 마찬가지로 처음 지역을 진입할 때는 컷신이 있다.[* 시작의 숲만 예외로 컷신이 없다.] 과실에 대해서는 [[피크민 3/과실|해당 문서]] 참조. ==== 시작의 숲 ==== ||<-3> {{{#ffffff '''시작의 숲'''}}}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작의 숲 맵.png|width=100%]]}}} ||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시작의 숲}}}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始まりの森}}}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Tropical Wilds}}} || ||<-2> {{{#ffffff '''과실 개수'''}}} || {{{#000000 17}}} || ||<-2> {{{#ffffff '''진입 조건'''}}} || {{{#000000 -}}} || {{{#!folding 【사진 더 보기】 || [[파일:시작의 숲_1.jpg|width=250]] |||| [[파일:시작의 숲_2.jpg|width=250]] |||| [[파일:시작의 숲_3.jpg|width=250]] ||}}} [[알프(피크민 시리즈)|알프]]로 처음 시작하게 되는 지역. 이곳에서 빨강피크민을 만날 수 있으며, 스토리 상 2번 오게 되는 지역이다. 기후는 열대 지방에 가깝다. 큰모래뿌리기가 존재하는 곳이 해변가에다가 그곳에 야자수까지 존재한다. 또한 물이 군데군데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작중에서 시작의 숲이 유독 덥다는 언급이 존재한다. 위의 사진 기준으로 착륙 지점 위의 공간은 올클리어를 목표로 삼지않은 사람에게는 갈 필요가 없는 곳이다. 착륙 지점 아래의 공간이 정루트. * '''스토리''' * PNF-404에 불시착한 알프는 작은 물가에 빠지고 [[드레이크호|S.S. 드레이크호]]가 근처에 떨어지는 모습을 목격한다. 이후 정신을 차린 알프는 앞으로 나아가자, [[피크민(피크민 시리즈)|피크민]]을 발견하다. 이 둘은 서로를 지켜보다 깜짝 놀라고 피크민은 달아나버린다. 다시한번 앞으로 나아가자, 피크민을 3마리씩 발견함과 동시에 빨강오니용을 발견한다. 피크민 3마리를 오니용에 던져 떨어뜨린 후, 알프는 자신의 뒤를 따라오는 피크민들에게 다리를 만들도록 지시한다. 피크민의 수를 늘리고 우여곡절 끝에 드레이크호의 앞에 도착한 알프는 [[브리트니(피크민 시리즈)|브리트니]]에게서 연락이 오나 금방 끊기고 말고, [[원주생물|이상한 소리]]가 들리기 시작해 찰리와 브리트니를 찾는 일은 다음 날에 하기로 하고 드레이크호를 타고 오니용과 함께 하늘로 날아오른다. * 브리트니와 [[찰리(피크민 시리즈)|찰리]]를 구한 후 워프 드라이브 키를 회수했을 것이라 추정되는 호코타테 행성인 [[올리마]]를 찾기 위해서 다시 시작의 숲에 오게 된 알프 일행은 거대원주생물인 ''큰모래뿌리기''를 쓰러뜨리고 '접히는 통신기'를 회수한다. ==== 재회의 화원 ==== ||<-3> {{{#ffffff '''재회의 화원'''}}}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재회의 화원 맵.png|width=100%]]}}} ||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재회의 화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再会の花園}}}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Ganden of Hope}}} || ||<-2> {{{#ffffff '''과실 개수'''}}} || {{{#000000 18}}} || ||<-2> {{{#ffffff '''진입 조건'''}}} || {{{#000000 1일차를 클리어한다}}} || {{{#!folding 【사진 더 보기】 || [[파일:재회의 화원_1.jpg|width=250]] |||| [[파일:재회의 화원_2.jpg|width=250]] |||| [[파일:재회의 화원_3.jpg|width=250]] ||}}} 본격적으로 게임을 시작하게 되는 지역. 이 곳에서 [[브리트니(피크민 시리즈)|브리트니]]를 구출할 수 있다. 시작의 숲과 마찬가지로 이 지역도 스토리 상 2번 오게 된다. 봄 느낌의 숲이 배경인 지역. 물이 많은 곳을 차지하는 곳은 커다란 벽돌로 막혀있어 후반부에 루이가 모든 식량을 가진 채로 벽돌을 폭발시키고 도망갈 때 갈 수 있다. * '''스토리''' * [[알프(피크민 시리즈)|알프]]는 브리트니의 신호를 찾아 재회의 화원에 착륙한다. 빨강피크민을 오니용에서 꺼낸 뒤, 다리를 만들어 반대쪽으로 건너가니 '''브리트니가 쓰러져있는 모습을 발견한다.''' 알프는 급하게 브리트니에게 연락을 취해본다. 근데 사실은 다른 건 아니고 그냥 잠든 것이였다고 한다. 이어서 바위피크민과 바위피크민의 오니용을 발견한 알프. 바위피크민으로 단단한 벽을 부숴 브리트니와 합류한다. 이렇게 합류한 뒤에 알프와 브리트니는 거대한 나무 그루터기에서 어떠한 신호가 오고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렇게 속이 빈 나무 그루터기 안에 들어가보니 거대원주생물인 ''거대갑옷지네''를 발견. 거대갑옷지네를 쓰러뜨리고 '오래된 통신기'를 회수한다. * [[루이(피크민 시리즈)|루이]]를 구출한 알프 일행은 잠시 잠에 든 사이, 루이가 [[드레이크호|S.S. 드레이크호]]를 멋대로 조종하여 착륙시키고 '''모든 식량을 가지고 도망간다.''' 뭔가가 폭발하는 소음에 잠에서 깬 알프 일행은 루이가 모든 식량과 [[찰리(피크민 시리즈)|찰리]]의 오리 인형을 가지고 도망가버렸다는 사실을 깨닫고, 루이의 뒤를 쫓는다. 이후, 물속에서도 움직일 수 있는 파랑피크민을 발견한다. 그렇게 5종류의 피크민들을 활용하여 루이의 신호가 오고있는 곳에 도착한다. 그러나 거대원주생물인 ''늪황폐마''를 발견하고, 겨우 쓰러뜨리자 늪황폐마가 과실과 루이를 뱉어낸다. 그리고 알프 일행은 요주의 인물인 루이를 드레이크호로 옮기고 모든 식량과 찰리의 오리 인형을 회수한다.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에서는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스테이지|스테이지]]로 나오게되었다. 또한 [[피크민]]의 희망의 숲과 마찬가지로 음악이 상당히 평이 좋다. [[https://www.youtube.com/watch?v=ZeeCZADts1E|#]]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로 넘어가면서 [[https://www.youtube.com/watch?v=K9We_nGSSSg|리믹스]]까지 되었을 정도. ==== 헤매는 설원 ==== ||<-3> {{{#ffffff '''헤매는 설원'''}}}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헤매는 설원 맵.png|width=100%]]}}} ||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헤매는 설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迷いの雪原}}}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Distant Tundra}}} || ||<-2> {{{#ffffff '''과실 개수'''}}} || {{{#000000 16}}} || ||<-2> {{{#ffffff '''진입 조건'''}}} || {{{#000000 오래된 통신기를 [br]회수한다}}} || {{{#!folding 【사진 더 보기】 || [[파일:헤매는 설원_1.jpg|width=250]] |||| [[파일:헤매는 설원_2.jpg|width=250]] |||| [[파일:헤매는 설원_3.jpg|width=250]] ||}}} 위치는 [[중국]] 남부~동남아 북부로 추정. [[캡틴 찰리]]로 게임을 처음 시작하게 되는 지역이지만 처음 1일차만 그렇고 재회의 화원 다음으로 가게 되는 지역이다. 처음 지역을 진입할 때는 드레이크호가 바위와 충돌해서 브리트니가 구멍으로 떨어진다. * '''스토리''' * 재회의 화원에서 '오래된 통신기'를 회수한 브리트니와 알프는 [[드레이크호|S.S. 드레이크호]]를 개조하고 신호 수신 범위를 넓혀 헤매는 설원에 퍼지는 신호를 발견하고 헤매는 설원에 진입한다. [[알프(피크민 시리즈)|알프]]의 조종 미스로 드레이크호가 바위에 박아 시스템이 오작동하여 동굴 안으로 떨어진 [[브리트니(피크민 시리즈)|브리트니]]는 동굴 안을 둘러보다가 노랑피크민을 발견한다. 땅에 박혀있는 노랑피크민을 뽑아 전구를 밝히고, 노랑피크민의 수를 더 늘려서 철구를 굴려 동굴의 입구를 만든다. 이렇게 밖으로 나온 브리트니는 알프와 마주치고 다시 합류하기로 한다. 둘은 서로의 피크민을 교환하여 다리를 만드는 작업을 진행한다. 다리를 전부 만들어 다시 합류한 브리트니와 알프는 이제 찰리의 신호를 찾아가기로 한다. 찰리가 떨어진 곳에서 찰리의 흔적을 발견한 브리트니와 알프는 동굴 안으로 들어가 거대원주생물인 ''큰유령거울''과 마주하게 된다. 동굴 안의 거대한 전구를 밝혀 큰유령거울을 쓰러뜨린 브리트니와 알프는 큰유령거울의 입 안에서 나온 캡틴 찰리과 합류하고 큰유령거울이 떨어뜨린 과실을 회수한다. 참고로 헤매는 설원의 음악은 [[피크민 2|전작]]의 잠의 계곡의 음악을 재활용하였다. ==== 교차하는 시냇물 ==== ||<-3> {{{#ffffff '''교차하는 시냇물'''}}}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교차하는 시냇물 맵.png|width=100%]]}}} ||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교차하는 시냇물}}}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交わりの渓流}}}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Twilight River}}} || ||<-2> {{{#ffffff '''과실 개수'''}}} || {{{#000000 15}}} || ||<-2> {{{#ffffff '''진입 조건'''}}} || {{{#000000 접히는 통신기를 [br]회수한다}}} || {{{#!folding 【사진 더 보기】 || [[파일:교차하는 시냇물_1.jpg|width=250]] |||| [[파일:교차하는 시냇물_2.jpg|width=250]] |||| [[파일:교차하는 시냇물_3.jpg|width=250]] ||}}} 시작의 숲에서 '접히는 통신기'를 회수하면 갈 수 있는 지역. 이곳에서 날개피크민을 만날 수 있다. 가을풍의 지역. 졸졸 흐르는 시냇물과 그 시냇물 위에 흐르는 연꽃잎이 특징인 지역이다. 참고로 연꽃잎은 탈 수 있다. * '''스토리''' * 시작의 숲에서 '접히는 통신기'를 회수한 알프 일행은 [[드레이크호|S.S. 드레이크호]]을 한층 더 개조하여 신호 수신 범위를 더 넓혀 교차하는 시냇물에 울려퍼지는 신호를 워프 드라이브 키를 소지하고 있을 것이라 추정되는 [[올리마]]의 것이라고 판단. 교차하는 시냇물로 진입한다. 지역에 진입한 알프 일행은 얼마 안 가 착륙 지점의 시냇물 너머에 있는 구슬거미의 거미줄에 걸린 날개피크민의 오니용을 발견하고 이번에도 다리를 만들어 건너가기로 한다. 날개피크민을 구출하고 시냇물에 연꽃잎이 흐르는 걸 막던 나뭇가지를 들어올려 연꽃잎이 흐르게 만든 순간, [[루이(피크민 시리즈)|루이]]에게서 연락이 오고 루이는 구조를 요청하지만 원주생물의 소리가 들려오고 연락이 끊긴다. 알프 일행은 루이를 올리마로 착각하고, 루이의 신호가 퍼지는 나무 그루터기 위로 올라가 거대원주생물 ''하프벌참새''를 발견. 치열한 대결 끝에 루이를 드레이크호로 옮긴다. 다른 지역들과는 달리 맵의 크기가 작아 모든 종류의 피크민을 얻기 전에 맵의 모든 곳을 전부 돌아다녀 볼 수 있다. ==== 슬픈 짐승의 탑 ==== ||<-3> {{{#ffffff '''슬픈 짐승의 탑'''}}}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슬픈 짐승의 탑 맵.png|width=100%]]}}} ||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슬픈 짐승의 탑}}}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哀しき獣の塔}}}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Formidable Oak}}} || ||<-2> {{{#ffffff '''과실 개수'''}}} || {{{#000000 0}}} || ||<-2> {{{#ffffff '''진입 조건'''}}} || {{{#000000 재회의 화원에서 [br]루이를 구출한다}}} || {{{#!folding 【사진 더 보기】 || [[파일:슬픈 짐승의 탑_1.jpg|width=250]] |||| [[파일:슬픈 짐승의 탑_2.jpg|width=250]] |||| [[파일:슬픈 짐승의 탑_3.jpg|width=250]] ||}}} 루이를 또 다시 회수하면 갈 수 있는 지역. 피크민 3의 마지막 지역이다. [[흰개미]] 집이 배경인 지역. 다른 지역들과는 달리 원주생물을 오니용까지 운반할 수 없는데, 원주생물을 쓰러뜨리는 즉시 황금색의 액체로 변하여 사라지기 때문이다. 거기다가 과실도 존재하지 않으니, 사실상 이곳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 '''스토리''' * 밧줄로 꽁꽁 묶어 둔 [[루이(피크민 시리즈)|루이]]의 말을 듣고 슬픈 짐승의 탑으로 진입한 알프 일행. 탑의 위로 올라간 알프 일행은 [[올리마]]를 비황금동굴괴물이 보면서 만지는 모습을 목격, 가까이 다가가니 비황금동굴괴물이 올리마를 '''흡수해버렸다.''' 피크민으로 공격하니 올리마가 도로 나왔다. 피크민들에게 시켜서 올리마를 운반하게 했는데 평소와 다르게 우왕좌왕하자, 이에 브리트니는 피크민들의 길잡이가 되기로 하고 알프와 찰리는 워프 드라이브 키를 먼저 찾은 다음에 브리트니를 뒤따라가기로 한다. 브리트니가 올리마를 운반하는 피크민들을 데리고 동굴 속으로 들어가고, 알프와 찰리도 이어서 안으로 들어간다. 안으로 들어가자 갑자기 천장에서 '''괴생명체가 나타나 쫓아오기 시작한다.''' 알프와 찰리는 일단 도망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이 지역은 괴생명체가 쫓아오기 때문에 한시라도 가만히 있을 수 없다. 일단 괴생명체는 무적이기 때문에 도망쳐야하며, 피크민이 괴생명체의 몸속에 갇히게 된다면 호루라기를 불어 구출하면 된다. 올리마가 괴생명체에게 흡수되어버리면 괴생명체의 몸속에 갇혀있는 피크민은 전부 죽으며, 괴생명체가 동굴 입구 주변에 있는 구멍으로 도망치면 하루는 자동으로 종료된다. 다음 날에 위로 올라가보면 괴생명체 없이 올리마가 쓰러져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올리마를 데리고 출구로 탑을 빠져나오면 비황금동굴괴물이 올리마를 도로 흡수해버린 다음 알프 일행과 최종 결전을 벌이게 된다. 패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원주생물#비황금동굴괴물|문서 참조]]. 비황금동굴괴물을 쓰러뜨리면 바로 게임이 끝난다. === [[피크민 4]] === ==== 구조대 캠프 ==== ||<-3> {{{#ffffff '''구조대 캠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th=100%]]}}} ||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구조대 캠프}}}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the starting area}}} || ||<-2> {{{#ffffff '''보물 개수'''}}} || {{{#000000 3}}}{{{-2 (지상: 3 ・ 동굴: -)}}} || ||<-2> {{{#ffffff '''동굴'''}}} || {{{#000000 1}}} || ||<-2> {{{#ffffff '''조난자'''}}} || {{{#000000 1}}} || ||<-2> {{{#ffffff '''진입 조건'''}}} || {{{#000000 -}}} || ==== 햇살 가득한 정원 ==== ||<-3> {{{#ffffff '''햇살 가득한 정원'''}}}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th=100%]]}}} || ||<|3> {{{#ffffff '''이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000000 햇살 가득한 정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000000 }}}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000000 Sun speckled Terrace}}} || ||<-2> {{{#ffffff '''보물 개수'''}}} || {{{#000000 34}}}{{{-2 (지상: ・ 동굴: )}}} || ||<-2> {{{#ffffff '''동굴'''}}} || {{{#000000 5}}} || ||<-2> {{{#ffffff '''조난자'''}}} || {{{#000000 7}}} || ||<-2> {{{#ffffff '''진입 조건'''}}} || {{{#000000 -}}} || ==== 꽃바람 낙원 ==== ==== 일등성의 아지트 ==== ==== 거인의 화덕 ==== ==== 추억의 원시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