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Amtrak의 여객용 차량)] [[파일:external/members.localnet.com/PRR_GG1.gif]] [[파일:external/www.trainweb.org/prr4877.jpg]] |[[파일:external/www.rrmuseumpa.org/gg1-cab_fs.jpg]]| 운전실 전경. 좁아보이지만 시야각은 꽤 준수하다. || [목차] == 개요 == [youtube(tC6W0XEqOLw)][* 여담으로 해당 영상에 나오는 음악은 [[https://youtu.be/lByo4XGY-IA|Old Big Red]]] PRR GG1 (Pennsylvania Railroad class GG1)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과 [[펜실베이니아 철도]]에서 제작, 운행한 [[전기 기관차]]. 최고속도 160km/h, 정격출력 3450kW, 최고출력 6000kW 등의 스펙으로만 따진다면 현대 기준으로 지극히 평범한 차량이지만 이 물건은 '''[[1935년]]'''에 데뷔했다. 60여년 이후에 생긴 [[8100, 8200호대 전기기관차]] 사양과 비교해봐도 전혀 꿀리지 않는데, 오히려 최고 출력은 이쪽을 압도하기까지 한다. 게다가 이 새끈하게 잘 빠진 차량의 디자이너는 당대 최고의 산업 디자이너였던 레이먼드 로위였다. 운전석이 가운데에 볼록하게 솟은 모양으로, 두개의 반쪽짜리 유닛을 하나로 붙여서 제작했다. 그래서 펜실베이니아 철도의 차량 명명 규칙에 따른 이름도 G형(4-6-0)을 두개 붙였다고 해서 GG1이고, UIC 차륜배치도 (2'Co)(Co2')가 된다. 사용 전압도 많이 특이한데, [[교류]] 11~13.5kV 25Hz로 현재 이런 급전방식에 대응되는 곳은 교류 12kV 25Hz를 사용하는 미국 [[Northeast Corridor]]와 Keystone Corridor의 전철화 구간밖에 없다. 그래서 주로 위의 두 구간에서 여객철도와 화물철도로 다양하게 활약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 전용차와 [[로버트 F. 케네디]]의 장례열차도 끌면서 미국의 역사 한 페이지를 장식했으며, 펜실베이니아 철도 폐업 이후에도 [[콘레일]]과 [[암트랙]] 등의 후신 공립철도에서 실컷 굴려지다가 도입 후 약 48년이 지난 '''[[1983년]]''' [[NJ Transit]] 소속의 마지막 GG1이 퇴역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쯤되면 [[장수만세]] 기관차라고 봐야 할지도. == 사건 사고 == 48년의 시간 동안 굵직한 사고는 거의 없었지만, 이 두 사건이 너무나 임팩트가 큰 사건이라 서술한다. [[파일:attachment/overrun-railroad.jpg]] * 워싱턴 유니언 역 오버런 사고 : [[보스턴 남역]]발 페더럴 익스프레스 173열차를 견인하던 PRR 4876호가 브레이크 고장으로 [[유니언 역(워싱턴)|워싱턴 유니언 역]]에서 [[오버런]]한 사고. 그냥 평범한 오버런 사고 같지만 사실 그것보다 훨씬 심각했는데, 3일 후에 같은 장소에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의 대통령 취임식이 열릴 예정이었기 때문이었다! 사흘 뒤의 대통령 취임식 장소는 결국 무너진 대합실에 있는 기관차 위에 단상을 만들어서 해결했다. 사고 기관차는 '''재생후 닳아 없어질 때까지 운행하고 [[박물관]]에 기증'''되었다(...) * [[1958년]] 2월의 폭설: 미 동북부 지역에 심한 눈폭풍이 사나흘 몰아닥쳤는데, 이 때 엄청나게 입자가 미세한 [[눈송이]]들이 평소에는 안 들어가는 트랙션 모터의 환기구를 뚫고 전기 설비에 들어갔고 눈이 녹는 순간 [[합선]]을 일으켰다. 이 때 '''절반'''에 가까운 GG1들이 퇴역했고, 나머지 절반의 환기구는 팬터그래프 밑으로 위치가 바뀌었다. == 관련 문서 == * [[철도차량 관련 정보]] * [[암트랙]] * [[전기 기관차]] * --[[장수만세]]-- [각주] [[분류:미국의 철도차량]] [[분류:전기 기관차]][[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