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PUBG Global Championship 역대 대회)] ---- ||<-5> [[PUBG Global Championship|[[파일:PGIS_Teamcard.png|width=32]]]] '''[[PUBG Global Championship|{{{#b79e71 PUBG Global Championship}}}]]''' || ||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 || → || '''{{{#white PUBG Global Championship 2021}}}''' || → || [[PUBG Global Championship 2022]] || ||<-5> '''{{{#b79e71 PUBG Global Championship 2021 우승팀}}}''' || || [[Soniqs/배틀그라운드|Soniqs]] || → || [[파일:NewHappy_2021.png|height=20]] '''[[NewHappy]]''' || → || [[Natus Vincere/배틀그라운드|Natus Vincere]] || ||<-5> '''{{{#b79e71 PUBG Global Championship 2021 MVP}}}''' || || 공석[* MVP는 그동안은 뽑지 않았고, 2021 시즌부터 뽑기 시작했다.] || → || '''천위난''' [br] (NH MMing) || → || 아르툠 아다킨[br](NAVI xmpl) || ---- [[파일:2021 PGC 우승 NH.jpg]] ---- [[파일:2021 PGC.png]] ---- ||<-3> [[PUBG Global Championship|[[파일:PGC_New.png|height=80]]]] || ||<-3> {{{+1 {{{#b79e71 '''PUBG Global Championship 2021'''}}}}}} || || {{{#b79e71 '''대회 기간'''}}} ||<-2> [[2021년]] [[11월 19일]] ~ [[12월 19일]] || || {{{#b79e71 '''주최'''}}} ||<-2><|2> [[크래프톤|[[파일:Krafton Logo 2020.png|width=75]]]] || || {{{#b79e71 '''주관'''}}} || || {{{#b79e71 '''개최지'''}}} ||<-2>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대한민국]] [[인천]] || || {{{#b79e71 '''참가팀'''}}} ||<-2> 32팀 || || {{{#b79e71 '''맵'''}}} ||<-2> [[에란겔]], [[미라마]] || || {{{#b79e71 '''모드'''}}} ||<-2> 스쿼드 1인칭 || || {{{#b79e71 '''패치 버전'''}}} ||<-2> [[https://cafe.naver.com/ca-fe/web/cafes/28866679/articles/5437241?fromList=true&menuId=33| 14.1]] || ||<-3> {{{#b79e71 '''경 기 장'''}}} || ||<-3> [[인천]] [[파라다이스(기업)|파라다이스시티]][br]온라인[*중국 중국팀 한정] || ||<-3> {{{#b79e71 '''중 계'''}}}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b79e71 '''중계 플랫폼'''}}} ||<-2> {{{-3 {{{#fff '''온라인'''}}}}}}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https://www.twitch.tv/pubgkorea| [[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Al4HWznMn7KhKBRFO5eiF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play.afreecatv.com/pub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https://tv.naver.com/battlegroundnv|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iktok.com/@pubg.kr.official| [[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 || || [[북아메리카|[[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30]]]] || [[https://www.twitch.tv/pub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witch.tv/pubgesportsmap| [[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MAP 맵방송] [[https://www.youtube.com/pubgesport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8> {{{#b79e71 '''중계진'''}}} ||<-2> {{{-3 {{{#white '''캐스터'''}}} }}} || ||<-2> [[성승헌]], [[박상현(캐스터)|박상현]], [[채민준]] || ||<-2> {{{-3 {{{#white '''해설자'''}}} }}} || ||<-2> [[김지수(게임 해설가)|김지수]], [[신정민]], [[김동연(프로게이머)|김동연]], [[조한경]], [[김인재]][*객원 게스트], [[성장환]][*객원], [[임영수]][*객원] || ||<-2> {{{-3 {{{#white '''분석 데스크'''}}} }}} || ||<-2> [[김동연(프로게이머)|김동연]], [[오승주]], [[조한경]], [[방지민]][*객원], [[한시아]][*객원], [[유상호(프로게이머)|유상호]][*객원] || ||<-2> {{{-3 {{{#white '''인터뷰어'''}}} }}} || ||<-2> [[이현경(1989)|이현경]], [[박한얼]], [[곽민선]] || ||||}}} || ||<-3> {{{#b79e71 '''일 정'''}}}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b79e71 '''순위 결정전'''}}} || ||<-2> [[11월 19일]] ~ [[11월 21일]] || ||<-2> {{{#b79e71 '''위클리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3 {{{#b79e71 '''위클리 서바이벌'''}}}}}}}}} || {{{#!wiki style="margin: -5px -10px" {{{-3 {{{#b79e71 '''위클리 파이널 / 바텀 16'''}}}}}}}}} || ||<-2> {{{-3 {{{#white '''1주차'''}}} }}} || || [[11월 23일]] - [[11월 25일]] || [[11월 27일]] - [[11월 29일]] || ||<-2> {{{-3 {{{#white '''2주차'''}}} }}} || || [[11월 30일]] - [[12월 2일]] || [[12월 4일]] - [[12월 6일]] || ||<-2> {{{-3 {{{#white '''3주차'''}}} }}} || || [[12월 7일]] - [[12월 9일]] || [[12월 11일]] - [[12월 12일]] || ||<-2> {{{#b79e71 '''그랜드 서바이벌'''}}} || ||<-2> [[12월 16일]] || ||<-2> {{{#b79e71 '''그랜드 파이널'''}}} || ||<-2> [[12월 17일]] ~ [[12월 19일]] || ||||}}} || ||<-3> {{{#b79e71 '''결 과'''}}}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b79e71 '''우승'''}}} }}} ||<-2> [[NewHappy|'''[[파일:NewHappy_2021.png|width=30]] {{{+2 NewHappy}}}''']] || || {{{#b79e71 '''준우승'''}}} ||<-2> [[Heroic/배틀그라운드|'''[[파일:Heroic_2019.png|width=25]] HEROIC''']] || || {{{#b79e71 '''MVP'''}}} ||<-2> [[NewHappy|[[파일:NewHappy_2021.png|width=30]]]] '''밍밍 (NH MMing)''' ||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49F4mUcX80)]}}}|| || {{{+1 {{{#b79e71 '''2021 PGC Announcement'''}}}}}}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fQjL-SbElE)]}}}|| || {{{+1 {{{#b79e71 '''2021 PGC Titl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L_mZa4WYr8)]}}} || || {{{+1 {{{#b79e71 '''Goodbye, PGC 2021'''}}}}}} || 2021년 11월 19일부터 12월 19일까지 펼쳐지는 2021 시즌의 [[PUBG Global Championship]]을 다루는 문서. == [[/선발전|대표 선발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UBG Global Championship 2021/선발전)] == 참가팀 == ||<-4> [[PUBG Global Championship|[[파일:PGIS_Teamcard.png|width=29]]]] '''{{{#b79e71 PUBG Global Championship 2021}}} {{{#b79e71 참가팀}}}''' || ||<-4> {{{#b79e71 '''아시아'''}}} || || {{{#!wiki style="margin: 0px -5px" [[Petrichor Road|[[파일:PGC2021_PeRo.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Multi Circle Gaming|[[파일:PGC2021_MCG.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Danawa e-sports|[[파일:PGC2021_DNW.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17Gaming|[[파일:PGC2021_17.png|width=160]]]]}}}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Petrichor Road|{{{#fff '''Petrichor Road'''}}}]]}}} || {{{#!wiki style="margin: 0px -10px" [[Multi Circle Gaming|{{{#fff '''Multi Circle Gaming'''}}}]]}}} || {{{#!wiki style="margin: 0px -10px" [[Danawa e-sports|{{{#fff '''Danawa e-sports'''}}}]]}}} || {{{#!wiki style="margin: 0px -10px" [[17Gaming|{{{#ea6000 '''17Gaming'''}}}]]}}} || || {{{#!wiki style="margin: 0px -5px" [[GHIBLI Esports|[[파일:PGC2021_GBL.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MaD Clan|[[파일:PGC2021_MaD.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GNL ESPORTS|[[파일:PGC2021_GNL.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KaiXin Esports|[[파일:PGC2021_KX.png|width=160]]]]}}}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GHIBLI Esports|{{{#fff '''GHIBLI Esports'''}}}]]}}}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D Clan|{{{#ff1d25 '''MaD Clan'''}}}]]}}} || {{{#!wiki style="margin: 0px -10px" [[GNL ESPORTS|{{{#fff '''GNL ESPORTS'''}}}]]}}} || {{{#!wiki style="margin: 0px -10px" [[KaiXin Esports|{{{#aa2a24 '''KAIXIN E-Sports'''}}}]]}}} || || {{{#!wiki style="margin: 0px -5px" [[Gen.G Esports/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GEN.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NewHappy|[[파일:PGC2021_NH.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ENTER FORCE.36/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E36.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Global Esports Xsset|[[파일:PGC2021_GEX.png|width=160]]]]}}} || ||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2|[[파일:PWS EAST ASIA newlogo.png|height=20]]]]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PUBG Champions League|[[파일:PCL logo.png|height=20]]]]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중화 타이베이|{{{#!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7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10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Gen.G Esports/배틀그라운드|{{{#aa8a00 '''Gen.G'''}}}]]}}} || {{{#!wiki style="margin: 0px -10px" [[NewHappy|{{{#000 '''NewHappy'''}}}]]}}} || {{{#!wiki style="margin: 0px -10px" [[ENTER FORCE.36/배틀그라운드|{{{#dbdddc '''ENTER FORCE.36'''}}}]]}}} || {{{#!wiki style="margin: 0px -10px" [[Global Esports Xsset|{{{#fff '''Global Esports Xsset'''}}}]]}}} || ||<-4> {{{#b79e71 '''유럽'''}}} || || {{{#!wiki style="margin: 0px -5px" [[Virtus.pro/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VP.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FaZe Clan/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FaZe.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Natus Vincere/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NAVI.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Team Liquid/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TL.png|width=160]]]]}}} || || [[PUBG Continental Series 5 Europe|[[파일:PUBG_CS_Teamcard.png|height=20]]]]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출력=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Virtus.pro/배틀그라운드|{{{#0c2340 '''Virtus.pro'''}}}]]}}} || {{{#!wiki style="margin: 0px -10px" [[FaZe Clan/배틀그라운드|{{{#000 '''FaZe Clan'''}}}]]}}} || {{{#!wiki style="margin: 0px -10px" [[Natus Vincere/배틀그라운드|{{{#ffef00 '''Natus Vincere'''}}}]]}}} || {{{#!wiki style="margin: 0px -10px" [[Team Liquid/배틀그라운드|{{{#fff '''Team Liquid'''}}}]]}}} || || {{{#!wiki style="margin: 0px -5px" [[Team Unique/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Uniq.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Heroic/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HERO.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ENCE/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ENCE.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BBL Esports/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BBL.png|width=160]]]]}}} ||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출력=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Team Unique/배틀그라운드|{{{#fff '''Unique'''}}}]]}}} || {{{#!wiki style="margin: 0px -10px" [[Heroic/배틀그라운드|{{{#000 '''HEROIC'''}}}]]}}} || {{{#!wiki style="margin: 0px -10px" [[ENCE/배틀그라운드|{{{#000 '''ENCE'''}}}]]}}} || {{{#!wiki style="margin: 0px -10px" [[BBL Esports/배틀그라운드|{{{#fff '''BBL Esports'''}}}]]}}} || ||<-2> {{{#b79e71 '''아메리카'''}}} ||<-2> {{{#b79e71 '''아시아퍼시픽'''}}} || || {{{#!wiki style="margin: 0px -5px" [[Oath Gaming|[[파일:PGC2021_OATH.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KPI Gaming/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KPI.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Buriram United Esports|[[파일:PGC2021_BRU.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Bao Nam United|[[파일:PGC2021_BN.png|width=160]]]]}}} || || [[PUBG Continental Series 5 Americas|[[파일:PUBG_CS_Teamcard.png|height=20]]]]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출력= )][* 팀 소재지가 스페인이고 선수들은 모두 아르헨티나 선수들이다.] || [[PUBG Continental Series 4 Asia Pacific|[[파일:PUBG_CS_Teamcard.png|height=20]]]] [include(틀:국기, 국명=태국, 출력= )] || [[PUBG Continental Series 5 Asia Pacific|[[파일:PUBG_CS_Teamcard.png|height=20]]]]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출력=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Oath Gaming|{{{#fff '''Oath'''}}}]]}}} || {{{#!wiki style="margin: 0px -10px" [[KPI Gaming/배틀그라운드|{{{#ffbf00 '''KPI Gaming'''}}}]]}}} || {{{#!wiki style="margin: 0px -10px" [[Buriram United Esports|{{{#fff '''Buriram United Esports'''}}}]]}}} || {{{#!wiki style="margin: 0px -10px" [[Bao Nam United|{{{#1366c2 '''Bao Nam United'''}}}]]}}} || || {{{#!wiki style="margin: 0px -5px" [[Soniqs/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SQ.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TSM FTX/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TSM.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Attack All Around|[[파일:PGC2021_AAA.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GameHome Ha Dong|[[파일:PGC2021_GHD.png|width=160]]]]}}}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태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출력=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Soniqs/배틀그라운드|{{{#000 '''Soniqs'''}}}]]}}} || {{{#!wiki style="margin: 0px -10px" [[TSM FTX/배틀그라운드|{{{#fff '''TSM'''}}} {{{#00b3c8 '''FTX'''}}}]]}}} || {{{#!wiki style="margin: 0px -10px" [[Attack All Around|{{{#002f4d '''Attack All Around'''}}}]]}}} || {{{#!wiki style="margin: 0px -10px" [[GameHome Ha Dong|{{{#fff '''GAMEHOME'''}}} {{{#febb03 '''Ha Dong'''}}}]]}}} || || {{{#!wiki style="margin: 0px -5px" [[Dignitas/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DIG.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Spacestation Gaming/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SSG.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ArkAngel Predator|[[파일:PGC2021_AAP.png|width=160]]]]}}} || {{{#!wiki style="margin: 0px -5px" [[FURY/배틀그라운드|[[파일:PGC2021_FURY.png|width=160]]]]}}}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 출력= )]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출력=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Dignitas/배틀그라운드|{{{#ffcd00 '''Dignitas'''}}}]]}}} || {{{#!wiki style="margin: 0px -10px" [[Spacestation Gaming/배틀그라운드|{{{#f3b120 '''Spacestation Gaming'''}}}]]}}} || {{{#!wiki style="margin: 0px -10px" [[ArkAngel Predator|{{{#fff '''ArkAngel Predator'''}}}]]}}} || {{{#!wiki style="margin: 0px -10px" [[FURY/배틀그라운드|{{{#000 '''Fury'''}}}]]}}} || * 메이저 지역의 글로벌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출전팀 * [[북미]] - [[TSM FTX/배틀그라운드|TSM FTX]](3회 출전)[* 다만, TSM은 2019~2021년 초까지는 유럽 권역 대회에 출전했다. PGI.S 이후 북미 지역으로 다시 넘어온 것. 그래서 북미 지역 팀으로서는 첫 출전이 된다.] * [[유럽]] - [[Team Liquid/배틀그라운드|Team Liquid]], [[Natus Vincere/배틀그라운드|Natus Vincere]]('''4회''' 출전) * [[한국]] - [[Gen.G Esports/배틀그라운드|Gen.G]]('''4회''' 출전) * [[중국]] - [[Petrichor Road]], [[Multi Circle Gaming]](2회 출전) * 메이저 지역의 글로벌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연속 출전팀 * [[북미]] - [[TSM FTX/배틀그라운드|TSM FTX]](3회 연속 출전) * [[유럽]] - [[Team Liquid/배틀그라운드|Team Liquid]], [[Natus Vincere/배틀그라운드|Natus Vincere]]('''4회''' 연속 출전) * [[한국]] - [[Gen.G Esports/배틀그라운드|Gen.G]]('''4회''' 연속 출전) * [[중국]] - [[Petrichor Road]], [[Multi Circle Gaming]](2회 연속 출전) * 메이저 지역의 글로벌 챔피언십 첫 출전팀 * [[북미]] - [[Dignitas/배틀그라운드|Dignitas]], [[Spacestation Gaming/배틀그라운드|Spacestation Gaming]] * [[유럽]] - [[BBL Esports]], [[Team Unique/배틀그라운드|Unique]], [[Heroic/배틀그라운드|HEROIC]] * [[한국]] - [[Danawa e-sports]], [[GHIBLI Esports]], [[MaD Clan]], [[GNL ESPORTS]] * [[중국]] - [[17Gaming]], [[KaiXin Esports|KAIXIN E-Sports]], [[NewHappy]] === [[PUBG Global Championship 2021/로스터|로스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UBG Global Championship 2021/로스터)] == 일정 == [[파일:2021 PGC 일정.png]] [include(틀:PUBG Global Championship 2021 경기 일정)] == 대회 진행 == === 대회 방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GQWG7Iq0Iw)]}}} || || {{{#b79e71 '''진행 방식 안내'''}}} || * 전 세계 모든 권역을 합해 32개의 팀이 PGC 2021에 진출한다. * 모든 매치는 랭크 디시전, 위클리 서바이벌, 위클리 파이널, 바텀 16, 그랜드 서바이벌, 그랜드 파이널 순으로 진행된다. * 우선, 랭크 디시전으로 32개 팀의 초반 스타팅 순위를 결정한다. * 위클리 서바이벌과 위클리 파이널을 각각 3주간 화수목과 토일에 실시한다. 위클리 서바이벌은 3일간 16매치 WWCD 룰로 진행되며, 치킨을 먹은 팀은 바로 서바이벌을 졸업하고 위클리 파이널에 진출한다. 빈 자리에는 하위 팀들이 17~32위 순서대로 한 팀씩 투입된다. 위클리 파이널은 2일간 10매치 포인트 룰로 진행되며, 매주 위클리 파이널 1등에게 그랜드 파이널 직행 티켓이 주어진다. * 이전 주 위클리 파이널에 진출한 모든 팀은 다음 주 위클리 서바이벌 매치1부터 모두 참가한다. 그 전에, 하위 16개 팀의 순서를 다시 가리기 위해 1주차와 2주차 사이, 2주차와 3주차 사이에 바텀 16 매치를 진행한다. 바텀 16 결과 순위대로 다음 주 위클리 서바이벌에 투입된다. * 3주 간의 위클리 파이널 성적에 따라 그랜드 파이널 진출이 결정된다. 3주 간 직행 티켓을 획득한 3팀과, 3주 간 누적 포인트 상위 9개 팀, 총 12개 팀이 이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한다. * 남은 4개 자리는 그랜드 서바이벌에서 치킨을 먹은 4개 팀만이 진출할 수 있다. * 그랜드 파이널에서는 3일 간 15매치로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우승하면 PGC 2021 챔피언이 된다. === 경기 룰 === {{{#!wiki style="margin:0px auto;display:table" >'''팬 여러분과 프로팀의 의견을 적극 수용하여,''' >'''PGC 2021부터 기존 S.U.P.E.R 포인트 시스템을 다시 도입합니다.'''}}} 위클리 서바이벌과 그랜드 서바이벌을 제외한 모든 경기에서 SUPER 룰이 적용된다. ||<-9> {{{#b79e71 '''라운드 포인트'''}}}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8위 || 9-16위 || 1 Kill || || 10 || 6 || 5 || 4 || 3 || 2 || 1 || 0 || 1 || || {{{#b79e71 '''타이브레이커'''}}} || || 1. 모든 경기 Kill Point 합산이 더 높은 팀이 우선 || || 2. 모든 경기 중 가장 점수가 높았던 경기를 비교하여 높은 팀 우선 || || 3. 모든 경기 중 가장 점수가 높았던 경기를 비교하여 Kill Point가 높은 팀 우선 || || 4. 마지막 경기에서 Kill Point가 높은 팀 우선 || || 5. 마지막 경기에서 순위 점수가 높은 팀 우선 || ||<^|1>{{{#!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000000; margin: 0 auto; width: 100%; display: table" {{{#!wiki style="padding: 4px; background-color: #000000" {{{#b79e71 '''경기 룰'''}}}}}}{{{#!wiki style="margin: 0 10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블루존 이동 속도 ] || '''{{{#b79e71 페이즈}}}''' || '''{{{#b79e71 지연(s)}}}''' || '''{{{#b79e71 대기(s)}}}''' || '''{{{#b79e71 이동(s)}}}''' || '''{{{#b79e71 초당 피해량}}}''' || '''{{{#b79e71 축소}}}''' || '''{{{#b79e71 확산}}}''' || '''{{{#b79e71 육지 비율}}}''' || || 1 || 90 || 240 || 270 || 0.6 || 0.35 || 0.5 || 0 || || 2 || || 90 || 120 || 0.8 || 0.55 || 0.56 || 0 || || 3 || || 60 || 120 || 1 || 0.6 || 0.56 || 0 || || 4 || || 60 || 120 || 3 || 0.6 || 0.56 || 1 || || 5 || || 60 || 120 || 5 || 0.65 || 0.56 || 0 || || 6 || || 60 || 120 || 8 || 0.65 || 0.56 || 0 || || 7 || || 60 || 90 || 10 || 0.65 || 0.56 || 0 || || 8 || || 60 || 60 || 14 || 0.7 || 0.56 || 1 || || 9 || || 10 || 160 || 18 || 0.001 || 10 || 0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에란겔 아이템 드랍률 ] ||<-2> {{{#b79e71 탄약}}} || || 탄약 || 1 || || 석궁용 볼트 || 0 || || 플레어 || 0 || ||<-2> {{{#b79e71 무기}}} || || 저격소총(SR) || 1.65 || || 지정사수소총(DMR) || 2.25 || || 돌격소총(AR) || 1.3 || || 엽총(HR) || 0 || || 경기관총(LMG) || 0.5 || || 기관단총(SMG) || 2 || || 산탄총(SG) || 1 || || 권총 || 0.45 || || 투척 무기 || 1.4 || || 섬광탄 || 1.1 || || 수류탄 || 0.7 || || 화염병 || 1.1 || || 연막탄 || 1.1 || || 근접 무기 || 1.65 || || 석궁 || 0 || || 플레어 건 || 0 || ||<-2> {{{#b79e71 총기 부착물}}} || || 조준기 부착물 || 1.1 || || 탄창 부착물 || 0.55 || || 총구 부착물 || 0.75 || || 하단 레일 || 1.3 || || 개머리판 부착물 || 1.65 || || 석궁용 화살통 || 0 || ||<-2> {{{#b79e71 소모품}}} || || 치료 아이템 || 1.1 || || 부스트 아이템 || 1 || || 연료통 || 0.35 || ||<-2> {{{#b79e71 장비}}} || || 배낭 || 0.65 || || 헬멧 || 0.9 || || 방탄조끼 || 0.9 || ||<-2> {{{#b79e71 옷}}} || || 옷 || 0 || ||<-2> {{{-3 조정 가능한 비율 & 조정 가능한 전체 수 : 1.7}}}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미라마 아이템 드랍률 ] ||<-2> {{{#b79e71 탄약}}} || || 탄약 || 1 || || 석궁용 볼트 || 0 || || 플레어 || 0 || ||<-2> {{{#b79e71 무기}}} || || 저격소총(SR) || 2.45 || || 지정사수소총(DMR) || 2.8 || || 돌격소총(AR) || 1.3 || || 엽총(HR) || 0.65 || || 경기관총(LMG) || 0.4 || || 기관단총(SMG) || 0.85 || || 산탄총(SG) || 1 || || 권총 || 0.55 || || 투척 무기 || 1.1 || || 섬광탄 || 1.3 || || 수류탄 || 0.55 || || 화염병 || 1.4 || || 연막탄 || 1 || || 근접 무기 || 1.85 || || 석궁 || 0 || || 플레어 건 || 0 || ||<-2> {{{#b79e71 총기 부착물}}} || || 조준기 부착물 || 1 || || 탄창 부착물 || 1.2 || || 총구 부착물 || 0.75 || || 하단 레일 || 1.25 || || 개머리판 부착물 || 1.1 || || 석궁용 화살통 || 0 || ||<-2> {{{#b79e71 소모품}}} || || 치료 아이템 || 1.1 || || 부스트 아이템 || 1.1 || || 연료통 || 0.35 || ||<-2> {{{#b79e71 장비}}} || || 배낭 || 0.98 || || 헬멧 || 0.9 || || 방탄조끼 || 0.8 || ||<-2> {{{#b79e71 옷}}} || || 옷 || 0 || ||<-2> {{{-3 조정 가능한 비율 & 조정 가능한 전체 수 : 1.7}}}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 || [[에란겔|[[파일:에란겔 고정 스폰.png|width=280]]]] || [[미라마|[[파일:미라마 고정 스폰.png|width=280]]]] || || [[https://npl-static-assets.pubgesports.com/wp-content/uploads/2019/04/12124727/Erangel-Vehicle-Spawns.jpg|풀 사이즈 링크]] || [[https://npl-static-assets.pubgesports.com/wp-content/uploads/2019/04/12124739/Miramar-Vehicle-Spawns.jpg|풀 사이즈 링크]] || ||<-2> {{{#ffff01 '''노란색 점'''}}} - 차량 고정 스폰 | {{{#e70012 '''빨간색 점'''}}} - 보트 고정 스폰 || == [[PUBG Global Championship 2021/결산|총평 및 결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UBG Global Championship 2021/결산)] == 공식 스폰서 == || [[에일리언웨어|[[파일:alienware.png|height=30]]]] || [[투미#s-3|[[파일:TUMI 로고.png|height=30]]]] || [[인천광역시|[[파일:인천광역시 휘장_국문.svg|width=135]]]] || || [[에일리언웨어|{{{#b79e71 '''에일리언웨어'''}}}]] || [[투미#s-3|{{{#b79e71 '''TUMI'''}}}]] || [[인천광역시|{{{#b79e71 '''인천광역시'''}}}]] || || [[파일:인천테크노파크 로고.svg|height=23]] || || || || [[인천테크노파크|{{{#b79e71 '''인천테크노파크'''}}}]] || || || == [[/공식 영상|공식 영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UBG Global Championship 2021/공식 영상)] == 기념 스킨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KC2VWl-JO0)]}}}|| == 사건사고 및 논란 == 전반적으로 펍지의 형편없는 대회 운영은 유명했었기 때문에 사고가 터지는 것은 예견된 수순이었으나, 이번 대회는 펍지의 준비도, 후속대처도 형편없다는 말로도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처참해서 많은 선수들과 팬들이 분노하고 있다. [[PUBG: BATTLEGROUNDS/e스포츠#s-6.2.1.3|대회 환경 문제]], [[PUBG: BATTLEGROUNDS/e스포츠#s-6.2.1.1|룰 문제]], [[PUBG: BATTLEGROUNDS/e스포츠#s-6.2.1.4|중국 편애 문제]] 등. 그간 각종 대회에서 지적되었던 여러 논란들이 이 대회에서 죄다 재현되고 있는 상황이라 많은 시청자들이 뒷목을 잡았다. 다행히 MET 시리즈처럼 대회가 파국으로 치닫는 사태는 모면했으나, 전반적으로 PGC의 이름에 걸맞지 않은 운영과 화제성 때문에 아쉬움이 남는 대회가 되었다. === 대회장 컴퓨터 및 환경 문제 === * 선수들의 증언에 따르면 '''대회장의 게이밍 환경이 매우 나쁜 것으로 보인다'''. 후술하겠지만 전력 문제부터 현장 인터넷 문제인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ubgkl&no=341000&exception_mode=recommend&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D%95%91&page=1|핑도 매우 좋지 않아서]] 사실상 정상적인 게임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는 평. 더군다나 대회장 컴퓨터 자체의 안정성도 매우 나쁘다고 한다. 사양 자체는 높지만 DDR5 메모리를 달고 있어서 배그와의 상성이 썩 좋지 않다고. 게다가 컴퓨터에 깔린 OS가 [[Windows 11]]인데, 나온지 얼마 되지 않은 OS이고 이 역시 각종 버그로 인해 배그와의 상성이 그리 좋지 않은 상태라서 대체 무슨 생각으로 대회장 컴퓨터를 윈11로 셋팅했느냐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같은 장소에서 열린 바로 직전 대회인 [[PGI.S]]가 상당히 성공적인 진행을 했었기 때문에 리그 초창기로 돌아간 것 같은 환경을 셋팅한 것에 대다수의 시청자들이 분노하고 있다. * 낮에 진행된 1일차 경기인 순위결정전 그룹 A & B의 마지막 경기인 6라운드에서 갑자기 대회장 컴퓨터가 종료되는 사고가 일어나서 두 번에 걸친 재경기가 진행되었다. 경기는 40분 넘게 지연되었고, 현장에서 경기를 보는 [[MaD Clan]]의 [[이성도|DAEVA]] 선수의 [[https://gall.dcinside.com/m/pubgkl/338475|증언]]에 의하면 전날부터 갑작스러운 컴퓨터 종료가 있었다고 한다. 대회장 컴퓨터 사양은 상당히 좋은 것으로 보이는데, 아무래도 고사양의 컴퓨터는 소비 전력이 높은데다 수십대의 컴퓨터를 한 번에 돌리다보니 현장의 전력 공급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나오는 중이다. * 11월 23일 1주 1일차 위클리 서바이벌 4라운드 미라마 매치에서 [[GHIBLI Esports]]의 [[서재영(프로게이머)|Renba]]가 사용하는 경기장 컴퓨터가 꺼져버리는 사태가 발생했고, 당시 기블리는 해당 매치에서 4인이 모두 좋은 자리를 선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렌바의 부재는 상당히 치명적이었고. 15분동안 컴퓨터가 지속적으로 먹통인 상황이었기에 이후 [[정지훈(1999)|Adder]]의 캐릭터가 죽은 뒤 그의 컴퓨터로 뒤늦게 접속했지만 분전에도 불구하고 치킨 획득에 실패했다. 상술했듯이 대회 시작 전부터 컴퓨터 안정성 문제가 지적되온 만큼 가뜩이나 게임이 불안정한 배그는 선수가 튕기기 아주 좋은 상황이었다. 그 때문에 경기가 끝난 뒤 피해자인 렌바가 인스타로 [[https://gall.dcinside.com/m/pubgkl/341421|불만을 드러냈고]], 애더 역시 인스타로 [[https://gall.dcinside.com/m/pubgkl/341455|격하게 분노했다]]. 기블리의 [[김성민(코치)|PLIKHE]] 코치는 5년동안 게임에 퍼즈 넣는게 그렇게 어렵냐면서 [[https://gall.dcinside.com/m/pubgkl/341465|불만을 드러냈다]] * 위의 렌바의 발언에 의하면 선수들에게 일괄 지급된 헤드셋에서 노이즈가 생긴다고 한다. * 다행히도 2주차가 넘어가면서 이런 이슈는 많이 줄어들었지만, 그럼에도 잦은 점검으로 인하여 경기가 몇 분씩 지연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 대회가 끝나고 이노닉스가 개인 방송에서 이번 대회는 고소 당할수도 있으니깐 다 말하지 않았으나 좋게 말해도 개판이라고 개인 방송에서 일침을 날렸다. === 중국팀 형평성 문제 === * 후술되어 있지만, 본래 중국팀도 한국에 입국해서 경기를 치를 예정이었으나 중국의 출국 제한으로 중국팀만 중국 현지에서 대회를 치르게 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대회장의 형편없는 게이밍 환경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본인들의 연습실과 본인들의 장비를 통해 대회를 하는 중국팀에게 상당한 어드밴티지가 들어간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기존에 널리 알려져 있듯이 펍지는 [[PUBG: BATTLEGROUNDS/e스포츠#s-6.2.1.4|중국 시장을 편애하며]] 상당히 공을 들여 왔음에도 중국 공산당의 배신으로 인해 중국 지역 배그 리그가 간당간당한 상황에서 굳이 중국 쪽 프로 파이를 신경써줄 이유는 없는데도 불구하고 자국에서 경기를 치를 수 있게 편의를 봐 줬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애초에 입국이 불가능하면 대회 참가 자체를 시키지 말았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중. * 1일차 저녁에 진행된 순위결정전 [[PUBG Global Championship 2021/순위 결정전#s-3.1.2|Group C&D]]의 첫 경기부터 [[Petrichor Road]] 측의 컴퓨터 이상으로 1시간이 넘게 지연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PeRo는 인천에 오지 않고 중국 현지에서 경기를 진행하므로 현장의 문제는 아니었다. * 1일차 A&B 6경기, 2일차 B&D 6경기에서 [[17Gaming]]의 페카도 4:4 대결에서 전황이 불리해지자 두 경기나 재경기가 벌어졌는데, 막상 문제가 된 사유가 헤드셋 문제로 밝혀져[* 헤드셋에 관련된 내용은 시작할 때부터 필수로 점검하는 사항으로, 당연히 본인의 잘못이다. 그러나, 이 사유로 모든 팀이 재경기를 해야 했다. 참고로 17게이밍은 MET 시리즈 때 [[MET Asia Series: PUBG Classic#s-6.3|중국팀 집단 보이콧 사태]]와 [[MET Asia Series: PUBG Classic#s-6.4|티밍 논란]]의 주범 중 한 팀이기 때문에 헤드셋을 핑계로 재경기를 유도했다는 의심을 받기는 충분하다.], 대놓고 중국팀만의 일방적인 편의를 봐주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 여담 == * 본래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PGI.S 2021]]이 진행되었던 인천으로 개최지가 확정되었다.[* 2회 연속으로 한국, 그것도 인천 파라다이스 시티로 장소도 동일한 곳에서 진행된다. 선수들의 숙소도 마찬가지로 파라다이스 시티가 된다.] 이유는 중국에서 배틀그라운드의 PC 버전에 대한 프로게이머 판호가 날아갔고, 판호가 없으면 중국 내에서 해당 게임의 e스포츠 대회를 열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 내 게임규제가 점점 심해지는 문제도 크지만 텐센트가 만든 펍지 모바일은 판호가 유효한 것을 보아서 회사가 회사다 보니 한한령에 의한 판호 회수일 가능성도 있는 편.] 따라서 중국에서의 개최는 불가능했고, 대체 지역으로 한국을 재 선택한 것이다. 그 사유가 아니더라도 22년도부터 중국 리그가 폐지되는 등. 정상적인 대회를 개최할 수 없는 상황이 됐고, 중국 정부의 엄격한 자가격리 때문에 경기를 치르기 위해 들여야 할 기회 비용이 아주 크기 때문에 힘들었을 것이다.[* 실제로 중국 개최 예정이었던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이 자가 격리에서 오는 일정상의 촉박함 때문에 직전 MSI를 개최했던 아이슬란드로 갔다.] * [[PGI.S 2021]]과 동일하게 무관중으로 개최된다고 한다. 다만, 파라다이스 호텔 쇼핑몰 광장에 경기장이 마련되어 있어서 호텔을 이용하거나 쇼핑몰을 방문한 행인들이 경기를 구경하는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대형 전광판에 경기 화면이 잡힌다. * [[PGI.S]]처럼 경기장의 모습이 상당히 특이하다. 저녁에 조명이 켜지면 제법 멋지다는 평. ([[https://gall.dcinside.com/m/pubgkl/338636|##]]) 참고로 관계자 목걸이를 착용하지 않으면 경기장 내부는 출입이 금지된다. 다만, 경기부스가 약간 협소해보인다는 평도 있다. 키보드와 마우스를 놓을 공간은 넉넉하지만 부스 출입구가 상당히 작다. * 다른 대륙권 선수들은 국내에 입국하게 되지만 동아시아권 선수들은 자국에서 경기할 가능성이 높았지만 [[https://thegamehaus.com/pubg/sources-krafton-and-pubg-corp-plan-to-host-pgc-2021-entirely-on-lan/2021/10/04/amp/?__twitter_impression=true|thegamehaus발 보도]]에 의하면 중국, 대만, 일본 선수들도 한국에 입국해서 오프라인 대회를 할 것이라고 한다. 기사에서는 일본 지역 선수들에게 한국 입국을 위해 백신 접종이 권고된 상황으로,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코로나 상황이 완화되어 가고 있고 그 방증으로 이미 롤이나 카스 같은 타 종목들도 국제전의 경우 개최국으로 각국의 선수들이 입국해서 경기를 하고 있는 만큼 역시 자연스러운 결정으로 보인다. 그런데 11월 1일 [[https://cafe.naver.com/playbattlegrounds/5506537|네이버 공식카페 공지]]에 의하면 중국 선수들의 비자 발급이 되지 않아서 중국 선수들은 한국에 오지 못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해당 공지의 댓글과 관련 [[https://gall.dcinside.com/m/pubgkl/336753|피클갤 게시글]]에서도 볼 수 있다시피 중국과 펍지에 대한 여론은 매우 나쁘다. 당장 상술했듯 롤이나 카스 같은 경우에는 중국 선수들이 대회장으로 입국해서 경기를 치룬 반면, 한한령으로 인해 한국 게임인 배그 대회만 유달리 비자 문제로 출국이 제한됐다면 굳이 주최측이 중국 측의 스케줄에 맞춰줄 이유가 있느냐는 것. 다른 종목도 비슷하지만 펍지의 E스포츠 팬덤 역시 중국의 각종 만행에 질릴 대로 질려 있어서 반중 정서가 매우 강한 편인데, 이런 특별대우는 결국 펍지의 친중 정책이 여전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냉소적인 의견이 나오고 있다. 다만 이번 사유는 중국에서 PUBG PC 버전의 대회 개최 판호가 날아간 상황에서 '''시진핑핑이'''의 공산당이 비자 발급을 거부했다는 설이 유력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 [[Unicorn Phoenix Da Nang]]이 비자 문제로 [[PGC 2021]] 참가를 못하게 되자[* [[https://twitter.com/niclasPUBG/status/1453458140624793609?t=OxcZ5rvCX5L56yu-uhDMjg&s=19]]] [[GameHome Ha Dong]]이 [[PUBG Global Championship 2021/선발전#s-5|베트남 지역 차순위 시드로]] PGC에 오게되었다. * 펍지 이스포츠 '''커리어 1위'''인 [[박정영|Loki]] 선수가 오지 못 한 최초의 PGC이기 때문에 이번 대회로 커리어 1위가 바뀔지 주목되는 상황이다. * 특이하게도 선수들의 대회 캠 오른쪽 아래에 심박수를 보여주는 아이콘이 생겼다. 심박수가 115을 넘어서면 빨간색이 된다. * 이번 대회에서 '업기'기능이 추가된 14.1 패치버전을 적용하게 되면서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835967&memberNo=10582936&vType=VERTICAL|다양한 명장면]]을 만들어내고 있다. [[분류:PUBG Global Championship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