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군 항공기)] [include(틀:투폴레프의 항공기)] [[파일:external/mig3.sovietwarplanes.com/pe8inflight.jpg]] Petlyakov Pe-8, Петляков Пе-8 [목차] == 개요 == [[제2차 세계 대전]]때 개발된 소련 공군의 4발 중(重)폭격기. [[소련군]]은 이전에도 [[TB-3]] 같은 4발 중폭격기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2차대전 때 소련에서 개발된 4발 중폭격기로는 이게 유일하다. == 상세 == 30년대 중반즘 해서 소련이 보유한 [[투폴레프]] TB-3 4발 중폭격기가 구식이 되자 소련 공군에서 TB-3의 두배의 성능을 낼 수 있는 폭격기를 요구했고 1934년 7월에 투폴레프 설계국의 페틀랴코프가 개발에 착수했다. ANT-42로 명명되었다가 후에 TB-7로 명명이 되고 또 Pe-8로 명명되었다. 투폴레프와 페틀랴코프는 TB-3의 개발에도 참여했었다. [[파일:external/mig3.sovietwarplanes.com/ANT-42-prototype-1937-01.jpg]] ANT-42의 모습. 첫 프로토타입의 처녀비행은 1936년 12월 27일에 했었지만 몇년동안 더이상의 개발에 진전이 없었다. [[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이 1937년 10월에 [[투폴레프]]와 페틀랴코프를 둘 다 [[굴라그]]에 [[대숙청|보내버렸기 때문]]. 그래서 두번째 프로토타입의 제조는 36년 4월부터 했지만 비행은 1938년 7월 16일에 있었다. 엔진의 수급과 성능 문제가 속을 썩여서 밍기적대다가 1940년대에 다시 본격적인 생산에 착수했다. 이때 개발된 바리에이션중 항공 디젤 버전이 둘 있는데, 그중 하나가 [[Yer-2]]에 쓰인 엔진과 같은 엔진을 달고 있었다.[* 이 엔진은 전후 [[IS-7]]과 신예 어뢰정들에 장착된 모델인 M-50T 모델에서 출력이 1,050hp로 다운그레이드 되었다.] 페틀랴코프가 1942년에 [[Pe-2]] 추락사고로 죽자 그를 기려 폭격기를 Pe-8로 다시 명명했다. 총 93대가 생산되었다고. 이중에는 특수수송기 버전인 Pe-8ON과 폭탄창을 들어내고 내부를 호화롭게 꾸민 [[이오시프 스탈린|강철의 대원수]] 전용기 버전이 1대 있었다. 소련의 시궁창적인 상황과, 비행기 추락 사고로 안타깝게 사망해버린 페틀랴코프 때문에 생산대수도 적고 제대로 운용되지 못했지만 1942년까진 다른 4발 폭격기와 비교하면 꿀리지 않거나 폭장량과 항속거리에서 더 우월한 매우 강력한 기체였다. 독일은 전쟁이 끝나는 그날까지 4발 폭격기를 개발해놓고도 배치하지 못했다.[* 전황을 바꾸는 크고 아름다운 비밀병기를 좋아하는 독일 특성상 6발 폭격기까지 개발은 했다.] 일본은 개발을 했지만 생산하지 못했으며 이탈리아 정도나 배치가 가능했다. 후기형에 가면 ([[La-5]]에도 장착된)[[쉬베초프 ASh-82]]를 장착한 형태가 생산되었다. 6톤의 폭장량으로 5,600km의 항속거리를 가졌고 소련의 항공기술로는 매우 강력한 기체였으나 역시 페틀랴코프의 사망 때문에 일체의 개량계획이나 후속기 개발이 취소되고 B-29의 카피인 [[Tu-4]]가 생산되게 된다.[* 페틀랴코프가 만든 기체가 [[Pe-2]]같이 소련의 열등한 항공기술로 어떻게 만들었나 믿기지 않는 고성능의 기체였다. 심지어 Pe-2는 숙청당한 뒤 굴라그에서 설계한 기체였다!] == 실전 == [[바르바로사 작전]] 때 참여했다. 첫 실전은 1941년 8월 10일에 TB-7 8대가 [[Yer-2]] 폭격기들과 함께 베를린을 폭격하러 갔지만 한 대는 바로 추락하고 네 대만이 베를린에 도착하여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복귀중 핀란드에 한 대, 에스토니아에 한 대가 불시착했다. 귀환을 한 기체는 단 두 대 뿐이었다. 참고로 에스토니아에 불시착한 기체는 소련공군 제 81 장거리폭격기 사단의 비행단장 기체로, 베를린으로 가던길에 발트해 한가운데에서 같은편 해군 전투기 [[I-16]]에게 오인사격당해 엔진 하나를 잃었고, ~~감히 [[사단장]]을 [[하극상|팀킬시도]]했다.~~ 거기다가 하필 베를린에서 대구경 대공포(당시 독일측 주력 88mm로 추정)에 연료탱크가 직격당했다.~~이쯤되면 재수 드럽게 없다.~~ 다행히 불이 붙거나 하진 않았지만 덕분에 기지복귀는 꿈도 못꿀 정도로 연료가 다 새서 겨우 [[에스토니아]] 방향 전선을 넘어 기지 부근에 불시착했다고 전해진다. 참고로 이 사단장, 바로 작전 직후에 만난 스탈린에게 '''엔진을 물어뜯어 버리겠다고 면전에서 대놓고 엔진에 저주를 퍼붓고, 기지 부근에 봉수대 놔달랬다가 곧바로 해임당한''' 미하일 보도피아노프다. 그 외에도 여러번의 추가 베를린 폭격작전과 2차 표적들에 대한 폭격작전에도 참여했었다. 특히나, FAB-5000을 떨구는 작전은 유일하게 Pe-8만이 가능했기에, 이걸 쓰는 작전은 죄다 Pe-8이 사실상 강제로 수행해야 했다. 쾨니히스베르크의 해안요새를 처음 실전 투입된 FAB-5000으로 줘팬 것이나, 43년 6월 4일, 7월 3일, 19일에 FAB-5000을 들고 [[오렐]]의 철도역을 까부순 것[* 6월 4일에 쓰인 1발과 7월 3일의 2발로 각각 선로와 연료고를 날려버렸으며, 7월 19일 작전에선 두 대가 이걸 싣고 가서는 [[멸망|100여 미터 정도의 선로와 다수의 열차를 일거에 박살냈다.]]], 7월 12일에 쿠르스크에서 독일군 머리 위로 FAB-5000을 두번 투하한 것, 43년도에 벨라루스 모길레프에 투하된 것[* 벨라루스인 보조경찰과 [[게슈타포]]가 있던 건물을 날려버렸다는데 사실 여부는 불분명하다.], 44년 핀란드 대공습 당시 헬싱키에 두발이 사용된 것, 마지막 대전기 실전 투입으로 우크라이나 브라일리우 역에 투하되어 일대 철도운행을 싹 올스톱 시켜버린 것이 있다. == 제원 == (Pe-8/AM-35A 기준) || '''승무원''' ||8 ~ 12명|| || '''전장''' ||23.59m || || '''전폭''' ||39.13m || || '''높이''' ||6.20m || || '''익면적''' ||188.66제곱[[미터]] || || '''공허중량''' ||18,571kg || || '''만재중량''' ||27,000kg || || '''최대 이륙중량''' ||35,000kg || || '''엔진''' ||4× 미쿨린 AM-35A 수랭식 [[왕복엔진|레시프로]], 기당 추력 1,340[[마력]]|| || '''최대속도''' ||443km/h || || '''순항속도''' ||300km/h || || '''작전반경''' ||3,600km || || '''항속거리''' ||6,600km|| || '''실용 상승한도''' ||9,300m || || '''상승률''' ||5.9m/s || || '''익면하중''' ||제곱미터 당 143.5kg || || '''추중비''' ||140W/kg || ||<|2> '''무장''' ||2× [[50구경|12.7 mm]] 기관총, 2× [[7.62 mm]] 기관총, 2× [[20mm]] 기관포|| ||최대 5,000kg 탑재 가능|| == 참고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Petlyakov_Pe-8|(영문 위키백과) Petlyakov Pe-8]] == 대중 매체 == [[워 썬더]]에 등장한다. 3랭크 첫번째로 4발 중폭격기로 등장. 크고 아름다운 5톤짜리 FAB-5000[* '''혁명 5톤'''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그 폭탄 맞다.] 항공폭탄을 탑재할 수 있다. 저놈이 아케이드 전투에 등장해 고도를 낮추며 온다면 뒤도 돌아보지 말고 서둘러 전력으로 도망가라. 반경 500미터 이내는 다 폭사당하는 무서운 위력을 지닌 폭탄이다.[* 시가지일 경우 투하된 지점 근처 건물이나 구조물은 [[BLU-82|싸그리 사라져 평탄화가 된다.]]] 다만 항공-지상간[* 리얼리스틱 ]에는 팀킬 보호가 없기 때문에 아군이고 뭐고 싹 날려버릴 수 있어 폭발범위를 잘못 계산하 파란적군이 된 다음 2팀킬로 해당 게임에서 강제로 추방당하는 상황도 자주 벌어진다. 해상전에서도 5톤은 대충 던져도 구축함이고 중순양함이고 뭐고 다 박살낸다.(...) 다만 해상전은 방공망이 워낙 두꺼워서 성공 확률은 낮다. '''참고로 Pe-8은 다른 소련 경폭격기들처럼 방어무장이 빈약하지 않다.''' Pe-3 같은 만만한놈 생각하고 뒤에서 정직하게 달려들지 말자. 방어기총 20mm 쉬박, 12.7mm 베레진에 비명횡사 당한다. 특히 하부 사수쪽은 베레진 기관총이라서 잘못 접근했다간 '''즉각발화소이탄'''이 한가득 쏟아질것이다.[* 즉각발화소이탄은 사실상 소구경 고폭탄과 다름없기 때문에 화력은 차고도 넘친다.][* 이거에 맞았는데 운나쁘면 날개가 '''터져버린다.''']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에서 연합군 중폭격기 트리에 등장한다. 워썬더와 달리 여기서는 방어무장이 딱히 좋게 표현되지 않았고 폭장량도 낮게 나와서 30레벨의 B-17에게도 밀렸다. [[스트라이커즈 1945]]의 러시아 스테이지에서 중간 보스 포지션으로 한 대 나온다. 격추하면 폭탄 아이템이 나온다. [[R.U.S.E.]]에서 [[R.U.S.E.#소련군(USSR)|소련군 진영]]의 [[폭격기#중(重)폭격기, 전략폭격기|Heavy Bomber]]로 등장하며 이름도 "PE-8" 그대로 등장한다. 공격명령시 [[융단폭격]]을 하기 때문에 한대로 폭격해도 상대 진영에게 엄청난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막대한 자원을 투자해서 [[대량생산]]하여 [[편대비행]]으로 공격명령을 내릴시 적 보병이나 적의 기지(자원기지포함)건물에다 시원한 엿을 선물할 수 있다. PE-8은 Airfield 기지에서 자원 $35로 뽑을 수 있다. 횡스크롤 플래시게임 Endless War 시리즈 중 3대 전차전 연속작 그 두번째로 독소전 소련군 배경인 Endless War 6에도 지원으로 나온다. 싸우다 다굴맞아서 위험할때 부르면 '''워썬더에서처럼 무자비한 무차별 융단폭격으로 일대를 초토화하고 지나가는 이녀석의 무시무시한 그림자를 볼수있다.''' == 프라모델 == 즈베즈다에서 내놓은 모델이 존재하는데, 박스 일러스트들 중에는 그 악명높은 FAB-5000NG를 어느 도시에 떨구는 엄청난 장면이 그려져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분류:1936년 공개]][[분류:투폴레프]][[분류:폭격기]][[분류:소련군/장비]][[분류:항공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