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피터, 폴 앤 메리}}}[br]Peter, Paul And Mar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eter_Paul_and_Mary_1970.jpg|width=100%]]}}} || ||<|2> '''결성''' ||1961년||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 '''전 멤버''' ||폴 스투키 ^^(1937~ / 기타, 보컬)^^[br]메리 트래버스 ^^(1936~2009 / 보컬)^^[br]피터 야로우 ^^(1938~ / 기타, 보컬)^^|| || '''장르''' ||[[포크 음악|포크]], [[팝 음악|팝]]|| || '''활동''' ||1961년 ~ 1970년[br]1978년 ~ 2009년|| || '''링크''' ||[[http://peterpaulandmary.com/|공식 사이트]]|| [목차] [clearfix] == 소개 == [[1961년]] [[미국]] 그리니치 빌리지에서 결성된 3인조 혼성 [[포크 음악]] 그룹. [[밥 딜런]]과 '더 클랜시 브라더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1970년]] 해체하기 전까지 수많은 명곡들을 양산해내었다. 국내에는 500 Miles와 후술할 [[Puff, the Magic Dragon]][* 1971년도에 발표한 양희은의 고운노래 모음에 번안곡으로 실려있다. [[김민기(가수)|김민기]] 작사]이라는 곡으로 유명하다. == 여담 == * 피터 폴 앤 메리의 또다른 대표곡으로는 첫 앨범 Peter, Paul and Mary에 수록된 [[Lemon Tree#s-3]]가 있다. 이곡은 원래 1950년대 후반 Will Holt에 의해 쓰여진 곡으로, 원래는 브라질의 포크송에서 음조를 따 온 것이라고 한다. 이 노래는 사랑을 레몬 나무에 비교하여 "레몬 나무는 아주 아름답고 레몬 꽃 역시 탐스럽게 피지만, 레몬 열매는 먹을 수 없다(impossible to eat)."고 말한다. 이 곡은 이후 킹스턴 트리오나 [[밥 말리]] 등에 의해 다시 [[리메이크]] 되기도 한다. * 또한 피터 폴 앤 메리는 [[밥 딜런]]의 곡인 "Blowin' in the Wind"나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을 같은 시기에 부르기도 하였다(당시에는 이런 일들이 많이 있었다). 같은 곡이지만 아티스트에 따라 다르게 들리니 한번 비교해서 들어보자. * [[브리트니 스피어스|이분]]의 영원한 히트곡 '[[3(노래)|3]]'의 모티브가 된것으로 유명하다. 3명의 이름을 언급하며 [[쓰리썸]]을 연상시키는 가사로 발매당시 주목을 받았다. * 이 트리오의 리더 격인 피터 예로는 [[코넬대]] 물리학과에 입학했으나 음악의 길로 들어섰고, 80대의 나이이지만 간간히 노래를 계속하고 있다. Puff the magic dragon은 이 대학시절 피터의 친구가 본의 아니게(?)[* 당시 향수병으로 상당한 우울증을 앓았다고 한다. 그러다가 학교 도서관에서 시집(용의 전설에 대한 슬픈 시였다고 한다.)을 읽고 피터의 집에 와서 피터가 요리하는 사이에, 피터에게는 말하지 않고 그 시의 내용을 자기 식으로 재해석하고 일부는 충동적으로 창작해서 피터의 타자기에 자기가 지어낸 시를 마구 타이핑했다고 한다. 이후 요리를 다 해서 식사하자고 온 피터에게는 끝까지 계속 말하지 않고, 같이 식사를 다 한 뒤 그냥 집에 가버렸다고 한다. 이후 이를 발견한 피터가 이 종이의 시를 우연히 발견하고 자신이 취미로 작곡한 곡 중 하나에 운율에 맞춰 개량하고 멜로디를 만들어 불러보다가 노래를 완성한 것. 이후 1년 뒤 피터 폴 앤 메리를 만들며, 처음에 예정하지 않았던 이 곡도 피터가 불러보자고 해서 공연에서 불렀다가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이 그룹은 원래 연예 기획사나 음반 제작사 같은 것 없이 셋이서 공연만 1년간 쭉 하다가 인기가 늘어나 예상치 못하게 음반을 낸 그룹이다. 이후 크게 성공해서 저작권 수입이 생기고 스타가 되자 그 친구가 생각난 피터는 이미 졸업하고 안 만난 지 수년이 지났지만, 수소문 끝에 그에게 찾아가 이걸 설명하고 작사 저작권을 줬다고 한다. 놀라운건 당시 그 친구는 자신이 그걸 썼다는 걸 기억 못했었다는 점이다. 피터와 저작권을 받기 위한 작업으로 몇번 만나던 중, 시간이 지나서야 겨우 기억이 나서 피터에게도 사연을 말하고 신문인터뷰도 했다고 한다.] 작사한 곡이다. * 영화 [[인사이드 르윈 데이비스]]의 짐 버키&진 버키 부부의 모티브가 되었다.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연도||앨범명||비고|| ||1962||Peter, Paul and Mary||[[빌보드 200]] 1위 달성|| ||1963||Moving|| || ||1963||In the Wind||[[빌보드 200]] 1위 달성|| ||1964||In Concert|| || ||1965||A Song Will Rise|| || ||1965||See What Tomorrow Brings|| || ||1966||the Peter, Paul and Mary Album|| || ||1967||Album 1700|| || ||1968||Late Again|| || ||1969||Peter, Paul and Mommy|| || ||1978||Reunion||재결성 기념 앨범|| ||1983||Such is Love|| || ||1986||No Easy Walk to Freedom|| || ||1992||Flowers & Stones|| || ||1995||Once Upon the Time|| || ||1995||LifeLines|| || ||2000||Don't Laugh at Me|| || ||2004||In These Times|| || ||2008||The Solo Recording(1971~1972)|| || ||2010||The Prague Sessions|| || === 싱글 === ==== [[빌보드 핫 100]] 1위 ==== * Leaving on a Jet Plane (1969) ==== 빌보드 핫 100 2위 ==== * [[Puff, the Magic Dragon]] (1963) * [[Blowin' in the Wind]] (1963) ==== 빌보드 핫 100 3 ~ 10위 ==== * If I Had a Hammer (The Hammer Song) (1962) - 10위 * Don't Think Twice, It's All Right (1963) - 9위 * I Dig Rock and Roll Music (1967) - 9위 ==== 빌보드 핫 100 11 ~ 40위 ==== * [[Lemon Tree#s-3]] (1962) - 35위 * Stewball (1963) - 35위 * Tell It on the Mountain (1964) - 33위 * For Lovin' Me (1965) - 30위 * Too Much of Nothing (1967) - 35위 * Day Is Done (1969) - 21위 [[분류:미국의 혼성그룹]][[분류:3인조 음악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