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더 후 노래]][[분류:엘튼 존 노래]][[분류:1969년 노래]][[분류:1969년 싱글]][[분류:1975년 노래]][[분류:1976년 싱글]][[분류:하드 록]] ||<-2><#fff> [[파일:Pinball Wizard.jpg|width=100%]] || ||'''수록 앨범'''||[[Tommy(음반)|Tommy]]|| ||'''앨범 발매일'''||[[1969년]] [[5월 17일]] {{{-3 (US)}}}[br][[1969년]] [[5월 23일]] {{{-3 (UK)}}}|| ||'''녹음일'''||[[1969년]] [[2월 7일]]|| ||'''녹음실'''||[[영국]] [[런던]] 윌스덴, 모건 스튜디오|| ||'''싱글 발매일'''||[[1969년]] [[3월 7일]] {{{-3 (UK)}}}[br][[1969년]] [[3월 22일]] {{{-3 (US)}}}|| ||'''싱글 B면'''||Dogs Part Two|| ||'''장르'''||[[하드 록]]|| ||'''재생시간'''||2:57 {{{-3 (싱글)}}}[br]3:50 {{{-3 (앨범)}}}|| ||'''작사/작곡'''||[[피트 타운젠드]]|| ||'''프로듀서'''||키트 램버트|| ||'''발매사'''||Track (UK), Decca (US)|| [목차][clearfix] == 개요 == [youtube(hHc7bR6y06M)] [[더 후]]의 1969년 정규 4집 [[Tommy(음반)|Tommy]]의 13번 트랙이자 리드 싱글이다. == 특징 == 경쾌한 기타 연주를 담은 록 곡이다. 어린 시절의 충격을 점차 극복하고 성장해 나가던 토미 워커는 자신이 [[핀볼]]에 큰 재능이 있다는 것을 알아채게 된다. 이 곡의 화자는 작중에 나오는 기존의 핀볼 챔피언으로, 화자는 토미가 가진 어마어마한 핀볼 실력을 묘사하며 토미에게 핀볼 왕좌를 넘겼음을 서사하고 있다. 《Tommy》를 작업했을 당시 더 후는 영국의 평론가 닉 콘(Nik Cohn)을 초대하여 《Tommy》 앨범의 초기 믹스를 들려주었지만 닉 콘은 감명을 받지 않았다. [[피트 타운젠드]]는 닉 콘이 핀볼 광이었다는 걸 알고는 토미 워커가 핀볼에 재능이 있다는 아이디어를 생각하면서 이에 대한 곡 "Pinball Wizard"를 신속히 썼다. 닉 콘의 반응도 호의적이었다.[* [[https://faroutmagazine.co.uk/the-story-behind-the-who-song-pinball-wizard/|The Story Behind the Song: The Who's anarchic 'Pinball Wizard']][br][[https://www.udiscovermusic.com/stories/how-tommy-very-nearly-wasnt-a-wizard/|‘Pinball Wizard’: The Magic Moment Behind The Who’s ‘Tommy’]]] 피트 타운젠드는 바로크 시대의 영국 작곡가 [[헨리 퍼셀]]의 "Symphony Upon One Note"라는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https://www.guitarworld.com/artists/acoustic-nation-whos-pete-townshend-shares-story-behind-pinball-wizard|The Who's Pete Townshend Shares the Story Behind "Pinball Wizard"]]] 영국에서는 트랙 레코드를 통해 1969년 3월 7일 리드 싱글로 발매했고 미국에서는 데카 레코드를 통해 동년 3월 22일 싱글로 발매했다. 싱글 B면에는 1969년 2월 12일 런던의 IBC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록 연주곡 "Dogs Part Two"를 수록했다.[* [[https://www.thewho.com/music/pinball-wizard/|더 후 홈페이지의 Pinball Wizard 관련 정보]][br][[https://www.youtube.com/watch?v=0z-HNk1_pyQ|더 후 - Dogs Part Two (1969)]]] 영국 4위, 미국 [[빌보드 핫 100]] 19위, 캐나다 6위, 뉴질랜드 8위, 남아프리카 6위, 아일랜드 14위 등 세계 각지에서 40위권 진입에 성공했다. BPI 기준으로 영국에서 25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실버 인증을 받았다.[* [[https://www.bpi.co.uk/award/14998-1463-1|BPI]]] 그러나 피트 타운젠드는 이 곡을 싫어했다. 자신이 쓴 가장 어설픈 곡이고 뮤직홀 곡처럼 들린다고 밝혔다.[* [[https://faroutmagazine.co.uk/the-one-who-song-pete-townshend-hates/|The Who song Pete Townshend absolutely hates]]] == 참여자 == * 보컬 - [[로저 달트리]] * 작사/작곡, 백 보컬,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 피트 타운젠드 * 베이스 - [[존 엔트위슬]] * 드럼 - [[키스 문]] * 프로듀싱 - 키트 램버트 == 가사 == ||<:> ---- '''{{{+2 {{{#f2b5a1 Pinball Wizard}}}}}}''' ---- Ever since I was a young boy 내가 어렸을 적에 I've played the silver ball 핀볼 게임을 하곤 했지 From Soho down to Brighton 소호에서 브라이턴까지 I must have played 'em all 이 동네들에서는 내가 최고였지만 But I ain't seen nothing like him 어느 게임장에서도 In any amusement hall 그 아이 같은 사람은 한 번도 못 봤지 That deaf, dumb and blind kid 그 귀와 눈이 먼 벙어리 꼬마는 Sure plays a mean pinball 엄청난 플레이를 보여줬어 He stands like a statue 그는 조각상처럼 서서 Becomes part of the machine 핀볼 머신의 일부가 된 것처럼 Feeling all the bumpers 범퍼를 느끼며 Always playing clean 항상 속임수 없이 He plays by intuition 감각만으로 The digit counters fall 카운터를 넘어뜨렸어 That deaf, dumb and blind kid 그 귀와 눈이 먼 벙어리 꼬마는 Sure plays a mean pinball 엄청난 플레이를 보여줬지 He's a pinball wizard 그는 핀볼의 마법사야 There has got to be a twist 무언가 반전이 있겠지 A pinball wizard's 그 핀볼의 마법사는 Got such a supple wrist 유연한 손목을 가졌어 How do you think he does it? I don't know 어떻게 했지? 나도 몰라 What makes him so good? 어떻게 저렇게 잘할 수 있지? Ain't got no distractions 그는 어떤 것에도 방해받지 않지 Can't hear no buzzers and bells 버저와 벨 소리를 들을 수 없고 Don't see no lights a-flashin' 빛나는 표적을 볼 수도 없어 Plays by sense of smell 오로지 후각으로만 플레이하면서 Always gets a replay 항상 고득점을 얻었어 Never seen him fall 그가 지는 걸 본 적이 없어 That deaf, dumb and blind kid 그 귀와 눈이 먼 벙어리 꼬마는 Sure plays a mean pinball 엄청난 플레이를 보여줬지 I thought I was 나는 내가 The Bally table king 핀볼의 왕인 줄 알았지 But I just handed 그러나 난 그에게 My pinball crown to him 나의 핀볼 왕 타이틀을 넘겨줬어 Even on my favorite table 내가 제일 자신 있는 판에서도 He can beat my best 그는 내 기록을 깼어 His disciples lead him in 그의 제자들이 그를 안내했고 And he just does the rest 그는 나머지만 했지 He's got crazy flipper fingers 그는 미친 손놀림을 가졌고 Never seen him fall 그가 지는 걸 본 적이 없어 That deaf, dumb and blind kid 그 귀와 눈이 먼 벙어리 꼬마는 Sure plays a mean pinball 엄청난 플레이를 보여줬지 ---- [[더 후|[[파일:thewho.png|width=70]]]] ---- || == 라이브 == 1969년부터 자주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the-who-bd6bd2a.html?songid=2bd66062|Pinball Wizard 라이브 목록]]] 더 후가 공연에서 가장 많이 부른 곡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 * [[https://www.youtube.com/watch?v=aST1rzY4HMU|1969년 8월 17일 우드스톡 페스티벌]] * [[https://www.youtube.com/watch?v=-J03yCE15rg|1970년 8월 29일 와이트 섬 페스티벌]] * [[https://www.youtube.com/watch?v=z9uJ_Mx8YBo|1972년 8월 12일 독일 함부르크]] * [[https://www.youtube.com/watch?v=yC9ha77DaBA|1973년 12월 3일 미국 보스턴]] * [[https://www.youtube.com/watch?v=d4TF9YBi5ck|1977년 12월 15일 영국 런던]] * [[https://www.youtube.com/watch?v=rAtjkCyM4tM|1979년 12월 8일 미국 시카고]] * [[https://www.youtube.com/watch?v=gnNQBHSIqoI|1989년 8월 9일 미국 애틀랜타]] * [[https://www.youtube.com/watch?v=BxJFC6h7h3s|2000년 6월 27일 미국 디트로이트]] * [[https://www.youtube.com/watch?v=ZF9_JCuHEJg|2002년 9월 27일 미국 맨스필드]] * [[https://www.youtube.com/watch?v=H6j7wDslneY|2006년 7월 22일 오스트리아 장크트푈텐]] * [[https://www.youtube.com/watch?v=F_sKDFGyaNU|2013년 7월 5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https://www.youtube.com/watch?v=tYOxim6dUSU|2015년 6월 26일 런던 하이드 파크]] * [[https://www.youtube.com/watch?v=g0zCZqePjSs|2017년 9월 23일 브라질 리오]] * [[https://www.youtube.com/watch?v=aacu7F2LX50|2019년 7월 9일 웸블리 스타디움]] * [[https://www.youtube.com/watch?v=-f1UkeWcuno|2022년 4월 24일 미국 잭슨빌]] == [[엘튼 존]] 버전 == [include(틀:엘튼 존)] ||<-2><#fff> [[파일:ejpinball.jpg|width=100%]] || ||'''수록 앨범'''||[[Tommy(음반)#s-3|Tommy: Original Soundtrack]]|| ||'''앨범 발매일'''||[[1975년]] [[3월 21일]]|| ||'''녹음 기간'''||[[1974년]] [[4월]]|| ||'''녹음실'''||[[영국]] [[런던]] 배터시, 램포트 스튜디오|| ||'''싱글 발매일'''||[[1976년]] [[3월 12일]]|| ||'''싱글 B면'''||[[Harmony(노래)|Harmony]]|| ||'''장르'''||[[록 음악|록]], [[하드 록]], [[글램 록]]|| ||'''재생시간'''||5:14|| ||'''작사/작곡가'''||[[피트 타운젠드]]|| ||'''프로듀서'''||거스 더전|| ||'''발매사'''||DJM (UK), Polydor (US)|| [youtube(G6gZ2kFyKF0)] [[켄 러셀]] 감독의 1975년 뮤지컬 영화 [[Tommy(음반)#s-3|토미]]에는 엘튼 존이 녹음한 커버곡이 삽입되었다. 영국 런던 배터시에 있는 레코딩 스튜디오이자 더 후가 소유한 램포트 스튜디오에서 1974년 4월 녹음했다.[* [[To Be Continued...]] 라이너 노트[br]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89 페이지[br]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87 페이지] 엘튼 존은 보컬과 피아노 연주를 맡았고, [[엘튼 존 밴드]]의 기타리스트 데이비 존스턴과 베이시스트 디 머리, 드러머 나이절 올슨, 퍼커셔니스트 레이 쿠퍼가 백업 연주를, 엘튼 존의 초기 프로듀서 거스 더전이 프로듀싱을 맡았다.[* [[https://www.discogs.com/ko/release/4474447-Elton-John-To-Be-Continued|To Be Continued... 디스콕스]]] 더 후의 1964년 곡 "I Can't Explain"도 중간에 살짝 추가하기도 했다. 피트 타운젠드는 엘튼 존 일행이 모든 보컬과 반주를 4시간 이내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녹음했다고 2012년 자서전 〈Who I Am〉에서 밝혔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9: Pinball Wizard] 엘튼 존은 〈토미〉에 출연하여 '핀볼 위저드' 역도 맡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joxyFDmh_LY|토미 - Pinball Wizard (1975)]]] 엘튼 존이 등장한 장면은 영국 남부 햄프셔주 포츠머스의 킹스 시어터에서 촬영되었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9: Pinball Wizard] 원래 이 역할은 친한 친구이기도 한 [[로드 스튜어트]]에게 갈 예정이었고 켄 러셀은 엘튼 존에게 삼촌 어니 역을 제안했다. 하지만 엘튼 존은 어니 역을 거절했고 키스 문이 대신 맡았다. 로드 스튜어트가 엘튼 존에게 이 역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었을 때 엘튼 존은 하지 말라고 조언했고 로드 스튜어트는 출연 제의를 거절했다. 이후 피트 타운젠드가 엘튼 존에게 출연 제의했을 때 그 역할을 맡았다.[* To Be Continued... 라이너 노트[br]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03~104 페이지[br]Elton John: in His Own Words, 30 페이지[br]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9: Pinball Wizard] 로드 스튜어트가 이 사실을 알았을 때 무척 분노했지만 두 사람의 친분은 얼마 지나지 않아 원래대로 돌아왔다. 엘튼 존은 피트 타운젠드가 활동 초기부터 자신을 응원했으며, 누군가가 자신한테 호의를 베풀거나 응원해 준다면 보답해야 하는 게 도리라고 밝혔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89 페이지] 1975년 3월 21일 발매된 〈토미〉의 사운드트랙 앨범 〈Tommy: Original Soundtrack〉에 수록되었고 1976년 3월 12일에 싱글로 발매되었다.[* [[http://www.45worlds.com/vinyl/album/2657014|Tommy: Original Soundtrack (1975)]][br][[http://www.45cat.com/record/djs652|Pinball Wizard 영국 싱글 (1976)]]] 영국에서는 DJM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미국에서는 폴리도르 레코드를 통해 프로모션 싱글로 발매되었고 정규 싱글로 발매되지 않았다. 영국에서 7위를 기록했다.[* [[https://www.officialcharts.com/artist/21478/elton-john/|엘튼 존의 UK 차트 성적]]] 2019년 5월 개봉한 뮤지컬 전기 영화 [[로켓맨(영화)|로켓맨]]에 삽입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AitzdfAcCg|로켓맨 - Pinball Wizard (2019)]]] === 참여자 === * 보컬, 피아노 - 엘튼 존 *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백 보컬 - 데이비 존스턴 * 베이스, 백 보컬 - 디 머리 * 드럼, 백 보컬 - 나이절 올슨 * 콩가, 탬버린 - 레이 쿠퍼 * 프로듀싱 - 거스 더전 === 라이브 === 1975년부터 2009년까지 공연들에서 자주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the-who-bd6bd2a.html?song=Pinball+Wizard|Pinball Wizard 라이브 목록]]] 엘튼 존의 마지막 투어 〈Farewell Yellow Brick Road〉에서는 이 곡의 도입부와 1995년 히트곡 [[Made in England#s-7.1|Believe]]의 코다, 1973년 곡들 [[Dirty Little Girl]]의 간주, [[Bennie and the Jets]]의 "Solid wall of sound" 보컬과 함께 리믹스된 곡이 도입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W5JazHTesw|Farewell Yellow Brick Road 오프닝 (2018년 9월 15일 미국 뉴욕)]]] * [[https://www.youtube.com/watch?v=rYmoxipzVUo|1975년 10월 25-26일 경 다저 스타디움]] * [[https://www.youtube.com/watch?v=4yvhze2Oqsg|1976년 8월 10-17일 경 매디슨 스퀘어 가든]] * [[https://www.youtube.com/watch?v=lUwY9VlltvQ|1979년 5월 25-27일 경 러시아 모스크바]] * 퍼커셔니스트 레이 쿠퍼와 함께 진행한 2인조 공연이며, 1973년 곡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과 연결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_g-d3w3zhns|1982년 12월 24일 영국 해머스미스]] * [[https://www.youtube.com/watch?v=7-S59537LE4|1984년 3월 24일 호주 시드니]] * [[https://www.youtube.com/watch?v=K7_sNMrSz9E|1989년 8월 24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 더 후의 공연에서 같이 불렀다. 이날 공연에 참여한 게스트 뮤지션들 중 한 명이다. * [[https://www.youtube.com/watch?v=--byY5UglOY|1993년 5월 31일 독일 뉘른베르크]] * [[https://www.youtube.com/watch?v=kyy_9vPefIk|1993년 12월 10일 남아프리카 선 시티]] * 레이 쿠퍼와 함께 진행한 2인조 공연이며, 1973년 곡 [[Bennie and the Jets]]와 연결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yE3qb6RtjXA|1995년 11월 25일 브라질 리오]] * 밴드 공연이며,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과 연결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ak9n7fHZjw|2002년 4월 26일 호주 시드니]] * [[https://www.youtube.com/watch?v=fc0H-9zyR2c|2004년 9월 17일 한국 서울]] * [[https://www.youtube.com/watch?v=ZEf32mkCXps|2005년 4월 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 [[https://www.youtube.com/watch?v=WYKe2k5oGuA|2009년 10월 13일 벨기에 메르크셈]]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Caribou, version=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