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FFFFF> '''{{{#7FC1EB {{{+1 Point}}}}}}''' || ||<-2><#010101>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2775136300_65.jpg|width=100%]]}}} || || '''발매일''' ||[[2001년]] [[10월 24일]]|| || '''장르''' ||[[시부야계]] || || '''재생 시간''' ||45분 27초 || || '''곡 수''' ||11곡 || || '''프로듀서''' ||[[오야마다 케이고]] || || '''레이블''' ||트라토리아 레코드/폴리스타 || [include(틀:뮤직 매거진 선정 100대 명반,순위=44)] [목차][clearfix] == 개요 == [[1997년]] 발매된 [[오야마다 케이고]]의 [[원맨 밴드]] 프로젝트인 코넬리우스의 네 번째 앨범. == 특징 == 다양한 장르가 혼합됐던 전작 '[[Fantasma]]'와 달리 미니멀한 구성으로 앨범을 만들었다. 하나하나 소리의 재미나 투명성을 추구하고 그것을 조합해서 기분 좋은 음악을 만드는 기법으로 바뀌었다. 오야마다 케이코는 [[https://www.cinra.net/article/interview-201907-cornelius_ymmts|인터뷰]]에서 "Fantasma는 하나의 레이어 위에 여러가지 샘플이 겹쳐 있거나, 음수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서, 공간이 별로 없는 만들기였지만, 'POINT'에서부터 공간을 의식하기 시작해, '사이로 만든다'라는 감각이 있었다"라고 말했다. 여러모로 오야마다 케이코가 추구하는 스타일을 확립한 앨범이다. 2019년 오야마다는 [[https://www.cinra.net/article/interview-201907-cornelius_ymmts|인터뷰]]에서 "POINT는 음악적으로도 지금 하고 있는 것과 가까워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라는 느낌이다. (중략) 드디어 하고 싶은 것을 모양으로 할 수 있었다는 느낌의 앨범이다. 나름의 메소드가 보이기 시작해서, 스스로 들어도, 다른 곳에서는 들어 본 적 없는 느낌으로 할 수 있었던 반응이 있었다고나 할까. 지금으로 이어지는 원점 같은 느낌이네요. 지금은 비교적 'POINT'를 좋아합니다'라고 말해 주는 사람은 많지만, 당시는 그다지 환영받지 못했던 인상이 있었다"라고 말했다. 오야마다의 개인 스튜디오에서 만든 작품인데, 오야마다는 [[https://www.kindamuzik.net/interview/cornelius/cornelius/872/index.html|인터뷰]]에서 "시간도 많고, 제 시간에 끝내야 하는 걱정이나 스튜디오 비용 걱정도 없었다. 스튜디오에 가서 내가 생각한 것, 내 기분이 무엇이든 녹음을 시작하고, 어쩌면 새로운 것을 시도해볼 수도 있고... 늘 잘되지는 않았지만, 사고나 실수를 하면서 새로운 생각이 생기고, 거기서부터 더해가기 시작했다. 이번에는 내 생각을 좀 풀어보고 싶었다. 다른 아티스트나 음악가들과 함께 녹음하는 것도 재미있고, 그런 것도 재미있는 것 같다. 그런데 이번에는 그냥 내 생각을 좀 풀어보고 싶어서 녹음을 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F6es5MUUAAJsn3.jpg|width=100%]]}}} || 일본에서는 2001년 10월 24일 코넬리우스의 개인 레이블 트라토리아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고, 미국에서는 2002년 1월 22일 [[마타도어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 세계 21개국에서 발매되었다. 2019년에는 리마스터링한 디럭스 에디션이 발매되었고, 'Cornelius Performs Point Tour' 콘서트를 발표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point/cornelius,critic=82,user=6.9)] [include(틀:올뮤직, 링크=point-mw0000217869, 점수=★★★★)]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1607-point, 점수=7.8)] [include(틀:RYM, type=album, code=cornelius/point/, 점수=3.65)] >'Point'는 이전 앨범이 사운드와 스타일을 사이키델릭으로 적절하고 재구성하는 것에 관한 것만큼이나 집중과 정확성에 관한 앨범입니다. 이국적인 [[보사노바]], [[개러지 록]], [[드림 팝]]에 대한 오야마다 케이고의 애정도 포인트를 형성하지만 그 효과는 더 유기적이고 덜 인위적입니다. 밝고 강렬한 기타, 끈질긴 비트, 감미로운 하모니는 노래가 한계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반복됩니다. >---- >[[AllMusic]] [[https://www.allmusic.com/album/point-mw0000217869|#]] 전작 [[Fantasma]]와 함께 코넬리우스 최고의 명반 중 하나로 꼽이고 있다. 평론지 [[https://www.avclub.com/cornelius-point-1798193601|The AV Club]]은 이 앨범에 대해 "대단한 팝 아키텍처의 작품"이라고 평했고, [[피치포크]]는 "코넬리우스는 잘해냈고, 섬세하고, 겸손하게 해냈다"라고 평했다. 실험적인 앨범이지만 [[오리콘 차트]]에서 4위에 오를 정도로 상업적인 성공도 거두었다. == 트랙 리스트 == ||<-3><#ffffff> '''{{{#7FC1EB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Bug (Electric Last Minute) || 0:38 || || 2 || Point of View Point || 3:54 || || 3 || Smoke || 5:48 || || 4 || Drop || 4:53 || || 5 || Another View Point || 5:35 || || 6 || Tone Twilight Zone || 3:39 || || 7 || Bird Watching at Inner Forest || 4:22 || || 8 || I Hate Hate || 1:43 || || 9 || Brazil || 3:27 || || 10 || Fly || 5:40 || || 11 || Nowhere || 5:48 || === Bug (Electric Last Minute) === || {{{#7FC1EB '''Bug (Electric Last Minut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MYCbBiodLw)]}}} || === Point of View Point === || {{{#7FC1EB '''Point of View Poin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ZvgeMRGPcw)]}}} || || {{{#7FC1EB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a_eXGwuH8)]}}} || || {{{#7FC1EB '''오디오'''}}} || === Smoke === || {{{#7FC1EB '''Smok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yteJgBZxu4)]}}} || === Drop === || {{{#7FC1EB '''Drop'''}}}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18p7NXgbS0)]}}} || || {{{#7FC1EB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9XKQqAeQdA)]}}} || || {{{#7FC1EB '''오디오'''}}} || === Another View Point === || {{{#7FC1EB '''Another View Poin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KslrRUVZGI)]}}} || === Tone Twilight Zone === || {{{#7FC1EB '''Tone Twilight Zon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eeIShBaLP8)]}}} || || {{{#7FC1EB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CViqMPO5yo)]}}} || || {{{#7FC1EB '''오디오'''}}} || === Bird Watching at Inner Forest === || {{{#7FC1EB '''Another View Poin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WTIt9vb6M0)]}}} || === I Hate Hate === || {{{#7FC1EB '''I Hate Hat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WTIt9vb6M0)]}}} || === Brazil === || {{{#7FC1EB '''Brazil'''}}}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zpxm88mgEY)]}}} || 브라질 작곡가 Ary Barroso가 1939년에 작곡한 보사노바곡 '[[Aquarela do Brasil]]'을 커버했다. === Fly === || {{{#7FC1EB '''Fl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cuVOS3499k)]}}} || === Nowhere === || {{{#7FC1EB '''Nowher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gr4DrH2B-s)]}}} || [[분류:2001년 음반]][[분류:일본의 음반]][[분류:시부야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