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사전적 의미 == '''파워'''{{{-2 (Power)}}}는 사전적인 의미로 힘, 능력을 의미한다. * 정치학적으로는 '''[[권력]]'''을 의미하며, 국제관계학에선 [[국력]]을 지칭하는 단어로 파워(Power)가 사용되고 있다.[[http://en.wikipedia.org/wiki/Power_(international_relations)|링크]] 영어로 [[강대국]]을 '''‘Great power’'''로 지칭한다. * 물리학에서는 [[일률]]이라는 뜻이다. 반면 힘은 [[포스]]라고 부른다. *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는 Powered라고 한다. === 관련 문서 === * [[국력]] * [[슈퍼파워]] * [[일률]] * [[지수(수학)|지수]] (거듭제곱) * [[포스]] * [[포스 라이트닝]] ~~무한한 파워~~ == [[여신전생 시리즈]]에 등장하는 악마 == * [[파워(여신전생 시리즈)]] 참조. == 인터넷 은어 == 'po□□wer'의 용법--한국어 최초의 접환사--[* [[영어]]로는 '''Circumfix'''라고 한다. '''어근의 앞뒤에 한꺼번에 붙는''' 접사를 가리킨다.]으로 주로 사용하며, 뭔가 강렬한 상황이나 영상, 짤방을 한 단어로 요약 표현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한다. 비슷한 용례로 □□류 최강등이 있다. 던파의 비매너 유저 po웨펀wer에서 유래했다는 얘기가 있다. [[http://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voca&no=1984|링크]] ex) [[http://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humorbest&no=287718|po주차wer.swf]] [[http://www.ruliweb.com/ruliboard/read.htm?main=cmu&table=cmu_yu02&page=3&num=621773|po청소년 성장 드라마wer]] == 음악 == === [[헬로윈]]의 곡 === [[독일]]의 파워메탈 밴드 [[헬로윈]]의 1996년 앨범 'The Time of the Oath' 수록곡. [youtube(WmP4iTGY97Y)] Helloween을 상징하는 보컬이라면 미하일 키스케고 그중에서도 Keeper of the Seven Keys Part I, II 수록곡들이 유명하지만, 이 곡은 앤디 데리스 시대 Helloween을 상징하는 곡이다. 앤디 데리스 시대 대표 명반인 The Time to the Oath에서도 가장 대표적이며 인지도가 높은 곡이다. 앤디 데리스 가입 이후 곡 중에서는 가장 히트한 곡이라서 이후에도 라이브에서 단골 레파토리가 되며, 라이브를 할 때는 [[Future World]] 라이브처럼 중간 간주 부분을 길게 늘린다. [youtube(NM_0gNAlJvA)] High Live 버전 Power. 중간부분을 길게 늘렸다. ==== 기타프릭스 & 드럼매니아 ==== ||<-5>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green,#7fff7f BASIC}}} || {{{#ff8c00 ADVANCED}}} || {{{#red,#ff0000 EXTREME}}} || ||<|4> 220 || {{{#red,#ff0000 기타 표준}}} || 18 || 39 || 44 || || {{{#f0f,#ff00fe 기타 오픈픽}}} || 21 || 41 || 46 || || {{{#00f,#0000ff 기타 베이스}}} || 21 || 47 || -- || || {{{#green,#7fff7f 드럼매니아}}} || 15 || 33 || 53 || ||<-2> 최초 수록 버전 ||<-3> [[GUITARFREAKS 8thMIX & drummania 7thMIX|{{{#fff GF 8th & dm 7th}}}]] || ||<-2> {{{#red,#ff0000 삭제된 버전}}} ||<-3> [[GUITARFREAKS 9thMIX & drummania 8thMIX|{{{#000,#e5e5e5 GF 9th {{{#dc143c,#eb234b &}}} dm 8th}}}]] || [youtube(m-7e2bRxUB8)] 리듬게임에서는 기타프릭스 8th & 드럼매니아 7th에 판권곡으로 실렸는데, 앤디 데리스의 창법이 상당히 독특했기 때문에 커버보컬이 그 창법을 못 살려서 게임 버전의 커버는 상당한 악평을 들었다. 하지만 원곡 인지도가 높은데다가 게임 채보도 기타프릭스랑 드럼매니아 양 쪽에서 상당히 재미있는 편이라서 수록된 당시에는 인기를 많이 끌었다. 커버보컬은 Brian Smith. 하지만 판권비가 비싸서였는지 바로 다음 버전인 기타프릭스 9th & 드럼매니아 8th에서는 바로 짤렸다(...)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지못미]]. 다행히도 CS판 MASTERPIECE GOLD에 수록되었다. --XG3의 POWER와는 무관하다.-- === [[카니예 웨스트]]의 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OWER(카니예 웨스트))] [[카녜 웨스트]]의 5집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의 3번 트랙에 수록된 타이틀곡이다. [youtube(L53gjP-TtGE)] === 아이돌 그룹 [[EXO]]의 [[The Power of Music|곡]] === [[The Power of Music]]에 수록된 타이틀 곡. === [[영국]] 걸그룹 [[리틀 믹스]]의 4집 수록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ower(리틀 믹스))] == [[노바1492]] 악세서리 부품 == 파워는 체력, 와트와 함께 일반 악세서리 부품의 표본이라 할 수 있다. 레벨에 따라 와트를 제외한 권장와트가 올라간다. 와트의 경우 와트만 줄인다. == [[키보드]]에 존재하는 키의 일종 == 컴퓨터를 켜거나 끄는 역할을 하는 키이다.[* 메인보드에서 지원한다면 Power 버튼으로 켤 수도 있다. 하지만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탓에 이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Mac의 경우 PowerMac G3/G4, iMac G3에 달려있었다.] 하지만 실상은 거의 쓰이지도 않는 잉여 키이며, 심지어는 이 키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도 많아서 뭔지 모르고 눌렀다가 컴퓨터가 꺼지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파워 키가 눌렸을 때에 종료하겠냐고 물어보지만, 그 외에는 물어보지도 않고 그냥 종료되는 경우가 흔하며, 일부 트윅판 윈도우에서는 종료 명령을 내렸을 때 무조건 종료되도록 레지스트리를 조작해둔 경우도 있기 때문에[*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에 "AutoEndTasks"라는 문자열 값을 0에서 1로 바꾸면 된다. 당연히 그 반대도 가능. 해당 항목이 없으면 직접 만들면 된다.] 실수로 누르면 저장되지 않은 작업이 날아간다.[* 다만 대부분의 [[워드프로세서]]는 일정 간격으로(주로 10분) 문서를 임시 폴더에 자동 저장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꺼져도 어느 정도 복원할 수 있다. 물론 자동 저장 이후에 변경된 내용은 복원할 수 없다. [[한컴오피스 한글]]의 경우 임시 저장된 파일은 .hwp가 아닌 .asv로 저장되며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꺼졌을 때 이 .asv 파일을 자동으로 불러오며, [[Microsoft Office]]의 경우 자동으로 임시 폴더에 저장된 문서를 작업 창에 띄워서 불러올 수 있게 표시된다.] 이를 방지하려면 제어판에 있는 전원 설정에서 '전원 버튼을 눌렀을 때 동작'을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 변경하면 된다. 결국 파워 키가 달린 키보드는 잘못 눌러서 낭패를 본 사용자들의 자자한 원성을 들은 끝에 2010년대에 들어서 거의 출시되지 않게 되었다. 애초에 꺼진 상태에서는 별도의 설정이 없는 한 파워 키를 눌러봤자 전원이 켜지지도 않으며, 끌 때는 전원 끄기 메뉴에서 끄거나 전원 키를 누르면 되므로 별 의미도 없는 키다. 대신 [[계산기]] 버튼[* 이 버튼을 누르면 Windows 계산기가 바로 실행된다. 전용 버튼이 있는 경우도 있고, [[Num Lock]] 키를 두 번 눌러서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혹은 기능키 중 한 키의 키캡에 계산기가 그려져 있는 기종도 있는데 이 경우 [[FN]] 키를 누른 채로 해당 키를 누르면 실행된다.]이나 볼륨 조절 버튼[* 음소거, 볼륨 높임, 볼륨 낮춤 이렇게 3개가 달렸다. 계산기 버튼과 마찬가지로 이 또한 기종에 따라 전용 버튼이 있는 기종이 있고, Fn 키와 특정 기능키를 함께 누르면 작동하는 기종이 있다. 볼륨 높임과 볼륨 낮춤은 볼륨을 2씩 조절한다. [[Windows 8]] 이상인 경우 볼륨 조절 키를 누를 때 화면 좌측 상단에 볼륨 컨트롤이 표시된다. Windows XP 미디어 센터 에디션에서도 연두색 볼륨 창이 나온다.] 등 유용한 기능이 주력으로 달리게 되었다. 남발할 경우 우정파괴, 데이터 손실 등의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사용하지 말자. 미국에서는 키보드에 컴퓨터 전원 버튼을 단 발명을 역사상 최악의 발명 Best 10에 꼽기도 했다. --근데 왜 맥북에는...--[* 물론 이런 실수가 자주 발생한다는 것을 모를 리 없기에 [[macOS]]에서는 5초동안 누르고 있어야 작동하고, 강제 종료를 위해서는 더 길게 눌러야 한다. 사실 이는 Eject 키가 없어진 후 공간 절약을 위해 컴퓨터의 유일한 전원 스위치가 Eject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기에 취해진 조치. '''그러나 맥에 대한 배려가 없는 [[Microsoft Windows|Windows]]에서는...''' [[대한민국]]의 웹 브라우징 환경에서는, 설령 그게 아니더라도 절대다수의 [[비디오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Boot Camp]]를 통해서 Windows를 돌리는 것이 반 강제되기 때문에 Backspace/Delete 누르다가 살짝 손가락이 올라가서 ~~[[퍼거스(마비노기)|아이쿠 손이 미끄러졌네]]~~ 이걸 눌러버리는 것만큼 화딱지나는 상황이 없다. 물론 ARM으로 이주한 지금은 Parallels가 아니면 Windows를 설치할수 없기에 반쯤 해결되었다.] 물론 이 키를 만든 의도는 시스템 종료를 키보드를 이용해서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의도는 좋았다|좋은 의도]]였겠지만, 게임 도중에 친구가 [[트롤링|몰래 전원 버튼을 눌렀거나]], 한참 작업하고 있는데 실수로 키보드의 전원 버튼을 눌렀다고 생각해 보자. [[뉴스데스크 게임 폭력성 실험 사건|순간적인 상황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할 것이다]]. 사용해 보면 프린트 스크린 같은 버튼을 누르려다가 실수로 누를 일이 많아서 큰 골칫거리이다. 그래서인지 이명이 [[http://rgstation.cafe24.com/humor/76319#0|'''과제암살자''']]이다. Windows에서는 전원 설정에서 '전원 버튼을 눌렀을 때 할 행동'을 조정함으로써 이걸 수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건 본체의 파워버튼 누르는 것도 같이 바꾸므로 주의. 일부 사용자들은 실수로 누른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예 이 키의 키캡을 뽑는 경우도 있다.. [[변신자동차 또봇]]에서 [[옥디룩]]이 이 키를 힘이 세지는 키로 착각하고 누른 적이 있다. 당연히 컴퓨터는 --윈도우 XP 시스템 종료 브금과 함께-- 시스템 종료(...). 애꿎은 랩터봇들만 날려먹은 건 덤. --깨알같은 윈도우7 부팅로고--[* 이때 가발이 벗겨져 또봇 파일럿들에게 아크니 분장이 들통나고 만다.] 정확히는 빨간색 전원 버튼이지만 키보드에 달려있다. == [[미국 해군]] [[기어링급 구축함]] DD-839 파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어링급 구축함/함정 목록)] === [[전함소녀]]의 등장 캐릭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파워(전함소녀))] [[전함소녀]]에 DD-839 파워가 의인화되어 등장한다. == [[체인소 맨]]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파워(체인소 맨))] == 컴퓨터 부품 [[파워서플라이(컴퓨터)|파워서플라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파워서플라이(컴퓨터))] == [[마이크로프로세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OWER(마이크로프로세서))] == [[러쉬(화장품)|LUSH]]의 제품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러쉬 제품 파워, rd1=LUSH(화장품)/상품)] == [[POW]]의 팬덤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POW의 팬덤, rd1=POWER(POW))] [[분류:동음이의어]][[분류:영어 단어]][[분류:인터넷 유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