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더 후)]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fff '''Quadrophenia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03, 순위=266, 연도2=2012,순위2=267)]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467)]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대 콘셉트 앨범)]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10대 더블 앨범)] ---- [include(틀:NME 선정 30대 더블 앨범)]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275)]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230, 연도=1998, 순위2=154, 연도2=2000)]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영국 100대 명반2, 순위=56)] ---- }}} || ---- ||<-2><#000000> '''{{{#FFFFFF {{{+1 Quadropheni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english.cam.ac.uk/quad.jpg|width=100%]]}}} || || '''발매일''' ||[[1973년]] [[10월 26일]] || || '''녹음일''' ||[[1972년]] 5월~6월, [[1973년]] 5월~9월 || || '''장르''' ||[[하드 록]], [[록 오페라]] || || '''재생 시간''' ||81:42 || || '''곡 수''' ||17곡 || || '''프로듀서''' ||[[더 후]], 키트 램버트, 글린 존스 || || '''레이블''' ||트랙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영국]]의 [[록밴드]] [[더 후]]의 여섯번째 앨범. [[1973년]] 10월 26일 발표되었다. [[Tommy(음반)|Tommy]]처럼 [[록 오페라]] 형식의 [[컨셉트 앨범]]이며 [[1965년]] [[런던]]의 [[모드#s-2|모드]]족 청년 지미(Jimmy)가 자아를 찾아서 [[브라이튼]]의 바닷가로 떠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현실에 좌절해서 여정을 떠나는 청년, 그를 잘못된 길로 이끄는 존재(Ace와 St. Jimmy)와 사실은 보잘것 없는 그들의 정체(벨보이, 환상), 주인공과 헤어지며 전개를 반전시키는 소녀 등 [[그린 데이]]의 [[American Idiot]]와 이 앨범의 플롯은 상당 부분이 겹친다.] 이 앨범을 기반으로 한 동명의 영국 영화가 [[1979년]] 개봉했으며, 프랭크 로담(Franc Roddam)이 감독을 맡았다. [[더 폴리스]]의 [[스팅(가수)|스팅]]과 [[레이 윈스턴]]이 출연했다. 다만 Tommy처럼 뮤지컬 형식의 영화는 아니며, 앨범의 스토리를 모티브로 한 드라마 장르의 영화다.[* 중간중간 앨범의 수록곡들이 사용되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BGM]]으로만 쓰이고 멤버들 역시 출연하지 않는다.] 이후 뮤지컬 공연으로도 제작되었다. 전곡을 [[피트 타운젠드]]가 모두 작사/작곡했으며 후의 음반들 중 가장 [[프로그레시브 록]]의 색깔이 짙은 작품이다. 발표 이후 큰 호평을 받았으며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둬 [[빌보드 200]] 2위까지 올랐다.[* 아쉽게도 같은 달에 [[엘튼 존]]의 [[Goodbye Yellow Brick Road]]가 발매되어서 1위는 하지 못했다.] [[2012년]]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서 '''267위'''에 랭크되었다. == 트랙리스트 == * 오리지널 LP 기준 사이드를 나눠 작성되었다. === Side One === ==== I Am The Sea ==== [youtube(x3mFeGP9umI)] * 연주곡. 스토리 마지막 부분에서 폭풍이 몰아치는 바다 한가운데 바위 위에 있는 지미를 묘사하고 있다. 중간중간에 앨범 수록곡들의 일부분이 들려온다. ==== The Real Me ==== [youtube(/MuFQ--RYUxU)] * 1965년 런던의 모드족 지미는 아무도 진짜 자신(Real Me)를 알아봐주지 못한다는 불안감에 사로잡혀 있고, 정신과 의사, 엄마, 목사와도 만나보지만 안정을 얻지 못한다. ==== Quadrophenia ==== [youtube(_oRkeKVWayg)] * 앨범의 [[타이틀곡]]. 연주곡이다. [[조현병]]으로 인해 인격이 4개로 나뉘어(Quadrophenia) 고통받는 지미를 표현하는 곡. 4명의 인격은 각각 밴드의 멤버들을 상징한다. ==== Cut My Hair ==== [youtube(JdPiy9Dn4JA)] * 지미는 유행하는 [[모드]] 헤어스타일로 머리를 깎고, 모드 옷차림을 하고 친구들과 어울리지만, 속으로는 과연 이런 유행에 어울리는 것이 자신다운 일인지 회의감을 느낀다. 곡 중간중간에 후의 기존 히트곡들이 언급된다. ==== The Punk And The Godfather ==== [youtube(Sd0NfgtyL3s)] * 지미는 당대 모드족의 우상이던 록스타 'The Godfather'를 보러 가지만 그는 그저 가사를 버벅거리는 한심스러운 사람이었을 뿐이었다. 'Punk'는 지미, 'Godgather'는 더 후 본인들을 가리키며, 가사에서 [[My Generation(곡)|My Generation]]이 직접적으로 인용된다.[* 60년대 모드족의 대변자로서 인기를 끌던 자신들에 대한 밴드의 자조적인 시각을 엿볼 수 있다.] * 미국반 앨범에서는 'The Punk Meets The Godfather'라는 이름으로 나왔다. === Side Two === ==== I'm One ==== [youtube(imi5UlhPIs0)] * 지미는 그동안 빠져 있던 [[로큰롤]]과 모드 문화에 환멸을 느끼고, 자신이 혼자임을 깨닫고 우울에 빠진다. * 피트 타운젠드가 리드 보컬을 맡았다. ==== The Dirty Jobs ==== [youtube(6Zo5OAr1p5Q)] * 새로 청소부와 버스 기사 일자리를 얻었지만, 지미는 여전히 동료들에 끼지 못하고 곁돌기만 한다. ==== Helpless Dancer ==== [youtube(SQfAL9eyXMI)] * 지미는 세상의 온갖 부조리에 대한 큰 분노를 느끼지만, 그럴수록 그저 절망만 더해갈 뿐이다. * 후반부에 [[My Generation#s-2.2.1|The Kids Are Alright]]이 등장한다. ==== Is It In My Head? ==== [youtube(pfSrowGc7ew)] * 지미의 조현병은 갈수록 심해지며, 점차 자신의 정신이 흐려지는 것을 깨닫고는 혼란스러워한다. ==== I've Had Enough ==== [youtube(bcEmxC5f3Bk)] * 한때 사랑했던 소녀가 다른 남자와 함께 있는 것을 본 지미는 모든 것에 허무감을 느끼고, 과거 친구들과 어울리던 브라이튼으로 떠난다. === Side Three === ==== 5:15 ==== [youtube(x8RwPNEmslw)] * 브라이튼으로 향하는 기차 안에서 지미는 동승한 승객들을 관찰하며 알 수 없는 기분에 휩싸인다. 5:15라는 제목은 기차의 발차 시각을 의미한다. ==== Sea And Sand ==== [youtube(rObg-I4IWYA)] * 브라이튼의 해변가에 도착한 지미는 과거의 연인과 가족, 친구들에 관한 옛 추억을 회상한다. ==== Drowned ==== [youtube(rKV-RQ7poG0)] * 지미는 바다에 뛰어들어 [[자살]]을 시도하지만 끝내 실패한다. * 묘하게도 이 곡을 녹음하던 날 폭우가 내려서 정말로 스튜디오가 침수되었다고 한다. ==== Bell Boy ==== [youtube(-njdxlFIVAc)] * 자살에 실패한 지미는 호텔에서 한때(1963년) 동경하던 모드족의 우두머리 '에이스(Ace)'가 사실은 그저 볼품없는 호텔의 [[벨보이]]인 것을 목격한다. * 노래 중후반부에 [[키스 문]]의 익살스런 보컬이 등장한다. === Side Four === ==== Doctor Jimmy ==== [youtube(pjeHgGBfhZE)] * 약에 취한 지미는 폭력적인 성향을 드러낸다. 'Doctor Jimmy'는 [[지킬 박사와 하이드]]에서 따왔다. ==== The Rock ==== [youtube(QB9Feedxkjk)] * 연주곡. 지미는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바다 한가운데의 바위에 걸터앉아 지금까지의 자신을 되돌아본다. ==== Love, Reign O'er Me ==== [youtube(DhLsC2FpDZk)] * 지미는 바위 위에서 몰아치는 비를 맞으며 진정한 [[사랑]]을 갈구한다. 이후 지미가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며, 피트 타운젠드도 그 뒤는 청자의 상상에 맡기고 있다. [[분류:더 후]][[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하드 록]][[분류:1973년 음반]][[분류:록 오페라]][[분류:빌보드 2위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