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항성]] ||||<-3><:> {{{#FFF {{{+3 '''R136a1'''}}}[br]RMC 136a1}}} || ||||<-3>{{{#!wiki style="margin: -6px -10px -6px" [[파일:r136a1-star-universe-planet.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 '''위치'''}}} || {{{#FFF 적경}}} || 5h 38m 42.39s || || {{{#FFF 적위}}} || −69° 06′ 02.91″ || || {{{#FFF 별자리}}} || [[황새치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 '''형태'''}}} || [[볼프-레이에별]] || ||<-2> {{{#FFF '''분광형'''}}} || WN5h || ||<-2> {{{#FFF '''거리'''}}} || 163,000 [[광년]][br] 49,970 [[파섹]] || ||<-2> {{{#FFF '''반지름'''}}} || 42.7 태양반경 || ||<-2> {{{#FFF '''질량'''}}} || '''196 태양질량''' || ||<-2> {{{#FFF '''평균 온도'''}}} || 46,000 [[켈빈|K]]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FFF '''겉보기 등급'''}}} || 12.23 || ||<-2> {{{#FFF '''절대 등급'''}}} || '''-8.18''' || ||<-2> {{{#FFF '''광도'''}}} || '''467만 태양광도''' || ||<-3> {{{#FFFFFF '''명칭'''}}} || ||<-3> - || [목차] == 개요 == {{{+1 R136a1}}} 황새치자리의 [[볼프–레이에별]]. [[대마젤란 은하]] [[독거미 성운]]의 [[R136]] [[산개성단]]에 위치한 [[항성]]이다. 현재 발견된 항성 중 4번째로 밝다.[* 현재 관측된 별들 중 가장 밝은 별은 은하단 PSZ1 G311.65-18.48의 중력렌즈로 인해 발견된 Sunburst 은하에 있는 고질라별이다.(z = 2.38, 광행거리 109억 광년, 밝기는 태양의 '''1500만 배''')] == 상세 == 2010년 7월, 영국 셰필드대학의 천체물리학과 폴 크라우서 관측단이 발견했다. R136 산개성단에서 불과 약 5파섹[* 약 16광년에 해당하는 거리.]의 반경 안에 매우 높은 질량의 별이 다수 발견되었다. R136 산개성단은 크게 R136a, R136b, R136c의 3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 가장 큰 R136a 그룹에서 R136a1은 '''가장 무겁고 가장 밝은 별'''이다. [[파일: Size_comparison_between_R136a1_and_sun.gif]] 위 사진은 태양과의 크기비교. 태양보다 지름이 약 35배정도 크다. 지름만 따지면 우리 은하의 중심 블랙홀 [[궁수자리 A*]]와 맞먹는다.(궁수자리A*는 약 4400만km, R136a1은 약 4200만 km) 나이는 100만년 내외로 태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젊어 보이지만, 질량이 클수록 별의 수명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질량 대비 이미 중년의 나이를 지난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볼프–레이에별이다. 이 별은 갓 태어날 때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약 300배 정도였지만, 이후 상당한 질량방출로 태양 질량의 약 215배정도까지 줄어들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 최후 == 태양의 150배 이상의 무거운 별은 일반 초신성의 100배 이상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극초신성''' 그리고 Ic형 형태의 죽음을 맞이할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이 별의 질량은 매우 커서, 연료부족으로 중심핵이 수축되기 전에 쌍불안정형 초신성의 형태로 최후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쌍불안전형 초신성의 형태로 최후를 맞이한다면 '''그 잔해는 없다.''' 그러나 후속연구결과에 의하면 R136a1의 중심핵 질량은 태양의 50배 이하일 것으로 예상되어 쌍불안정형 초신성을 일으키에는 중심핵의 질량이 모자르다. 따라서 R136a1은 Ic형 초신성으로 폭발한 뒤 블랙홀을 잔해로 남길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감마선 폭발]]을 일으키기에는 중심핵이 붕괴되기 한참 전에 각운동량을 거의 다 잃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마저도 확률이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