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RPK-16}}}'''[br]''Ручной пулемёт Калашникова-16''[br]''칼라시니코프 경기관총-16''}}}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РПК-16.jpg|width=100%]]}}}|| || '''종류''' ||[[경기관총]][br][[분대지원화기]][br][[돌격소총]][* 기존의 총열을 짧은 총열로 교체하고 30발들이 탄창을 사용하면 돌격소총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렇게 사용하기 위해 애초에 설계 단계부터 이걸 염두에 두고 설계했다. 그래서 탄창식 경기관총 주제에 총열교환 기능이 있다.]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16년]]~현재 || || '''개발''' ||<|2>[[칼라시니코프]] || || '''생산'''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2> {{{#white '''기종'''}}} || || '''원형''' ||[[AK-12|AK-12(2016)]] || ||<-2> {{{#white '''제원'''}}} || || '''중량''' ||3.83kg (15인치 총열에 탄창 없이)[br]4.5kg (22인치 총열에 탄창 없이) || || '''탄약''' ||[[5.45×39 mm]] || || '''급탄''' ||30, 45발들이 바나나탄창[br]60발들이 캐스킷탄창[br]95, 100발들이 드럼탄창 || || '''작동방식'''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br]회전 노리쇠 방식 || || '''총열길이''' ||15인치 / 22인치 || || '''전장''' ||1,076mm || || '''발사속도''' ||700RPM(자동) || || '''유효사거리''' ||8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wybpxg5bbk21.jpg|width=580]] [[러시아]]의 [[칼라시니코프]] 사에서 개발한 경기관총. 기존 [[칼라시니코프 경기관총|RPK]]를 계속 개량해오던 RPK-74 등과는 달리 이번에는 2016년형 [[AK-12]]를 기반으로 새로 개발되었다. == 상세 == AK-12/AK-15의 채용 후 Army-2016 엑스포에서 최초 공개되었다. [[AK-12]]의 개발 목적과 비슷하게 [[칼라시니코프 경기관총|RPK-74M]]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파일:external/www.janes.com/1682335_-_main.jpg|width=580]] '''РПК-400/РПК-16'''. RPK-400(RPK-16)은 탄띠 급탄도 아닌 주제에 총열교환 기능이 있는데, 이는 기존 기관총들처럼 과열된 총열을 교체하기 위함이 아니라 숏배럴을 장착해 돌격소총으로 전환 하기 위함이다.[* 상황에 따라 370mm, 415mm, 550mm, 580mm 총열을 사용할 수 있다.] [[파일:external/zele.ru/4325528.jpg|width=580]] 총열교환 기능 외에도 그밖에 RIS 및 접이식 개머리판 사용, 소염기와 완충장치를 개량해 사격시 안정화된 반동제어 등이 개량되었다. 다만 기반이 된 2016년형 AK-12와는 달리 2점사 기능이 탑재되지는 않았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총기인데다 경기관총 자체가 총기 중에서도 매우 비주류이기 때문에 등장이 매우 적다. 대부분 [[AK-12|AK-200]]의 공개 후 AK-200을 기반으로 한 가상의 총기(예: RPK-12)로 나오며, 2023년 현재로는 타르코프와 소녀전선 딱 두 곳에서만 정상적으로 등장한다. * [[배틀필드 4]]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f4_rpk12.png|width=580]] 2012년형 [[AK-12]]를 기반으로 한 가상 총기인 RPK-12가 등장한다. * [[소녀전선]] 12지역 긴급 스토리의 마지막에 지휘관에게 무전으로 연락하는 것으로 이름만 먼저 등장했다. 그리고, 2020년 첫 대형 이벤트 [[편극광]]에서 [[리벨리온 소대]]의 새 멤버로 등장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자세한 건 [[RPK-16(소녀전선)]] 참조. * [[ARMA 3]] Contact DLC로 추가, AK-12 이미지에 양각대랑 드럼 탄창 장착한 형태로 등장한다. * [[Escape from Tarkov]] [[파일:EFT_RPK-16.png|width=580]] 최초로 제대로 된 RPK-16이 나온 작품이다. EFT 내의 유일한 경기관총. Interchange 맵의 보스 킬라가 들고 나오기도 한다. 플리마켓 기준으로 최소 5만 루블은 줘야 얻을수 있을정도로 알총의 가격은 비싼 편인데 덕분에 AK-74타입 소총들이 어느 정도 다량의 개조를 해야 낼수 있는 스펙을 이 총은 값싼 맥풀 AFG만 장착해주는것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hantom Forces]] RPK-12가 등장한다. == [[에어소프트건]] == [[LCT]]에서 LCK-16이란 이름으로 판매중인 전동건이 현재로선 유일한 RPK-16의 에어소프트건이다. AAA건전지 3개로 작동하는 2,000발짜리 드럼탄창을 사용하며 현실과 마찬가지로 AK-12의 탄창도 별도의 개조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성능은 순정으로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EBB 키트 설치도 가능하다. 참고로 기본 무게가 15인치 총열 버전인데도 실총 22인치 총열 버전보다 더 무거운 4.7Kg으로 매우 무겁다. == 관련 문서 == * [[AK-12]] * [[칼라시니코프 경기관총]]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각주][include(틀:칼라시니코프 계열 총기)] [[분류:기관총]][[분류:돌격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AK-74]][[분류:칼라시니코프]][[분류:2016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