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include(틀:쿠로사키 슌 덱 관련 문서)] [목차] == 원작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RaidraptorRiseFalcon-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4>'''[ruby(RR, ruby=레이드 랩터즈)] - 라이즈 팔콘'''|| || 일어판 명칭 ||<-4>'''[ruby(RR, ruby=レイド・ラプターズ)] -ライズ・ファルコン'''|| || 영어판 명칭 ||<-4>'''Raidraptor - Rise Falcon'''|| ||<-5> [[엑시즈 소환|엑시즈]] / 효과 몬스터 || || 랭크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어둠 || 비행야수족 || 100 || 2000 || ||<-5>비행야수족 레벨 4 몬스터 × 3 ①: 이 카드는 특수 소환된 몬스터에게만 공격할 수 있고, 상대 필드의 특수 소환된 몬스터 전부에 1회씩 공격할 수 있다. ②: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공격력은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된 앞면 표시 몬스터의 공격력을 합한 수치만큼 올라간다.|| ||<-5>'''자복의 매여. 역경 속에서 갈고 닦은 발톱을 세우고, 반역의 날개를 펼쳐라! 엑시즈 소환! 나타나라! 랭크 4! RR(레이드 랩터즈)-라이즈 팔콘!(雌伏のハヤブサよ。逆境の中で研ぎ澄まされし爪を挙げ、反逆の翼 翻せ!エクシーズ召喚!現れろ!ランク4!RR-ライズ・ファルコン!)'''|| ||<-5>'''은둔하던 매여, 역경 속에서 갈고 닦은 발톱을 세우고, 반역의 날개를 펄럭여라! 엑시즈 소환! 나와라! 랭크 4! RR(레이드 랩터즈)-라이즈 팔콘!'''-듀얼링크스 루마 전용 대사|| [[쿠로사키 슌(유희왕)|쿠로사키 슌]]의 에이스 몬스터이자 최초의 어둠 속성 / 비행야수족 엑시즈 몬스터. 등장한 것은 18화가 처음이나 이때는 실루엣만 보였고 24화에서 실제 이름과 모습이 공개되었다. 슌은 이 몬스터의 ②의 효과로 공격력을 '''16400'''까지 올려 [[시지마 호쿠토]], [[토도 야이바]], [[코우츠 마스미]]를 원턴킬한다. 33화에서 등장하자마자 [[시운인 소라]]의 [[데스완구 시저 베어]]와 [[퍼니멀|퍼니멀 시프]]의 공격력을 흡수해 2700의 공격력으로 소라의 몬스터 '''시저 베어와 퍼니멀 시프의 목을 잘라버린다.''' 그것 때문에 관객들을 경악시키고 소라가 본래 실력을 발휘하게 했다. 이후 소라의 데스완구 체인 시프에게 파괴되지만 곧바로 RUM-랩터즈 포스의 효과로 되살아나서 RR-브레이즈 팔콘으로 랭크 업했다. 43화에서 나이트 오브 듀얼즈 3인방을 끔살시킨다. 58화에서는 오랜만에 다시 등장해 [[엔죠 무쿠로]]를 원턴킬. 63화에서 시큐리티에게 쫓기던 유우야 일행을 도우러 슌이 나타나서 효과로 단번에 시큐리티들을 원턴 쓰리킬했다. 81화에서 [[크로우 호건(유희왕 ARC-V)|크로우 호건]]과의 라이딩 듀얼에서 등장했다. 105화에서 슌의 고향인 하트랜드에서 등장. 선턴부터 [[카이토(유희왕 ARC-V)|카이토]]의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의 효과로 컨트롤을 탈취될 위기에 처하나 슌이 지속 마법의 효과로 막고 이후 RUM으로 브레이즈 팔콘으로 진화한다. 108화에선 슌이 [[타일러 자매]]에게 대항하기 위해 소환. 그리고 장착 마법 RR-아이언 하트를 장착해 공격력을 500 올린 후 효과로 아마조네스 임프레스와 아마조네스의 애완라이거의 공격력 합계인 5300을 더해 5900까지 폭등시키고 슌과 유토의 분노가 담긴 일격을 가해 애완라이거를 먼저 공격해 5900인 LP를 단숨에 2500까지 줄여놓는다. 허나 아마조네스 임프레스의 효과로 전투파괴는 할 수가 없었고 2번째 일격으로 아마조네스 임프레스에게 공격하려고 하지만 애완라이거의 효과로 자신 이외의 공격은 할 수 없어 공격력이 원래대로 돌아가 버린다. 다음 턴에 아마조네스들의 공격으로 파괴될 위기에 놓이나 RUM으로 브레이즈 팔콘으로 진화. 브레이즈 팔콘도 파괴되자 아이언 하트의 효과를 발동. 브레이즈 팔콘을 엑시즈 소재로 이용해 묘지의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유우야의 턴엔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과 같이 엔터메 듀얼의 피니시의 역할로 사용되었다. 109화에서도 초반부터 등장해 [[오벨리스크 포스]]를 몰아붙이려고 하지만, [[앤틱 기어|앤틱 기어 더블 바이트 하운드독]]의 효과로 파괴되고 RUM-랩터즈 포스로 브레이즈 팔콘으로 부활한다. 117화에서는 [[에드 피닉스(유희왕 ARC-V)|에드 피닉스]]와 함께 [[아카데미아]]로 건너온 슌이 사용해 서쪽탑에서 떨어진 카이토를 구출한다. 119화에서도 초반부터 등장. 별다른 활약 없이 3번째 슌의 턴에서 RUM-레이드 포스로 브레이즈 팔콘으로 진화해서 활약한다. 137화에서도 등장. [[패왕룡 즈아크]]와 자크의 엑시즈 권속인 [[패왕권룡 다크 리벨리온]]의 공격력을 자신에게 더해서 단숨에 끝내려하나, [[패왕권룡 다크 리벨리온]]의 효과에 의해 공격력이 0으로 떨어져 파괴되고 전투 데미지로 LP가 0이 되려 하나, 슌이 속공 마법 [[오버레이 버스트 아머]]를 발동해 전투 파괴와 전투 데미지를 피하고, 자크의 턴에 패왕권룡 다크 리벨리온의 공격 대상이 되었을 때, 속공 마법 [[RUM-디보션 포스]]로 브레이즈 팔콘으로 진화한다. 또한 라이즈 팔콘의 효과의 막강함은 작중에서도 드러나는데, 크로우가 라이즈 팔콘의 효과를 보고 '''"뭐라고?! 사기 효과 좀 작작 써!!!"'''라고 반응했다. 공격명은 '''브레이브 클로 레볼루션(Brave Claw Revolution)'''. 전형적인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형식의 몬스터. 특수 소환된 몬스터에게만 효과를 발휘하는 카드이기 때문에 일반 소환된 몬스터를 상대로는 거의 힘을 쓸 수 없지만 특수 소환된 몬스터가 많다면 순식간에 공격력을 올려 원턴킬을 할 수 있는 카드. 실제로 원작에서도 위기 상황에서 소환되어 3명을 한 번에 원턴킬했다. 여담으로 울음소리가 [[지박신#s-2.3|웬 검둥이 벌새]]의 울음소리다. == 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327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 명칭=RR(레이드 랩터즈)-라이즈 팔콘, 일어판 명칭=RR(レイド・ラプターズ)-ライズ・ファルコン, 영어판 명칭=Raidraptor - Rise Falcon, 레벨=4, 속성=어둠, 종족=비행야수족, 공격력=100, 수비력=2000, 소재=비행야수족 레벨 4 몬스터 × 3, 효과1=①: 이 카드는 특수 소환된 상대 몬스터 전부에 1회씩 공격할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상대 필드의 특수 소환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 만큼 올린다.)] 원작에서의 일반 소환된 몬스터에게 공격할 수 없는 효과가 빠지고, 대신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가 몬스터 1장만을 지정해서 발동하는 효과로 바뀌었다.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대신인지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가 엔드 페이즈까지가 아니라 영구 지속으로 바뀌었다.]] 압도적인 원턴킬 능력 대신 장기전을 바라보는 효과로 바뀌어, 상황을 고려하면서 꺼내야 하는 몬스터가 되었지만, RR은 자체 카드군에 내성을 부여한다던지, 마땅한 퍼미션이라고는 마법/함정만 1회 막을 수 있는 서치가 안되는 랩터즈 거스트에 의존해야한다. 일단 효과를 발동해 공격력을 흡수하면 되긴 하지만 최근 환경에선 힘을 쓰긴 함들다. 원작에서의 압도적인 ②의 효과는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과 이 카드의 합체 몬스터인 [[아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이 가져갔다. 문제는 소재 제한. 소재 제한이 원작 그대로 나와 이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덱이 별로 없다는 게 문제. [[해피(유희왕)|해피]], [[BF(유희왕)|BF]]가 이 카드를 꺼내기에 그나마 적합한 카드군이기는 하나, 정작 그 2개의 덱들은 레벨 4 엑시즈 소환 뿐만이 아니라 랭크 7 엑시즈 소환, 레벨 7 싱크로 소환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카드를 엑스트라 덱에 넣을 여유가 없다. 그래도 그나마 이제는 [[RR(유희왕)|RR]] 덱을 짤 수 있기 때문에 그리 문제가 안된다. 또 다른 단점으로는, 이 효과가 상대 턴에 발동할 수 없다는 점과 지정된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지는 않는다는 점. 특히 [[엘섀도르 네피림]] 등의 몬스터를 상대로는 이 카드는 아무런 힘도 발휘할 수 없다. 상황을 잘 봐가면서 사용하자. 실전 구축에서는 채용 가치가 거의 없는 몬스터. 특히 와이즈 스트릭스가 출시되면서 RUM 서치가 쉬워져서 [[RR-레볼루션 팔콘|레볼루션 팔콘]]을 뽑기 쉬워져서 전투에서 강하다는 장점으로도 차별화가 어렵다. RR 자체 타점으로 해결 못하는 공격력 3800 이상의 효과 내성 몬스터들을 뚫을 순 있다지만, 대상 지정 내성을 가진 몬스터에게는 무력하므로 그마저도 완벽하지 않다.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를 제거할 수 있는 엑스트라 덱 몬스터라는 점은 장점이긴 하나, 굳이 이 카드에게 엑스트라 덱을 내줄 정도로 RR이 엑스트라 덱 여유가 많은 덱도 아니다. 심지어 [[레이더즈 나이트]] 채용시 패 2장에 튀어나올 수 있는 아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이 더 쉽게 튀어나오고, 더 쉽게 치울 수 있으며, 범용성 또한 더 높다. RR 엑시즈 몬스터 중에서 가장 처음에 나온 몬스터지만 단독으로 궁극 진화체인 [[RR-얼티미트 팔콘|얼티미트 팔콘]], 최종 진화체인 파이널 포트리스 팔콘과 랭크 13의 라이징 리벨리온 팔콘을 전투로 파괴할 수 있다. 이 3장이 가지고 있는 내성은 "다른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이므로 대상 지정은 가능하여 공격력 상승 효과 적용에 문제가 없고, 추가로 이 카드는 다른 카드의 서포트도 받을 수 있다. 다만 [[RR-라이징 리벨리온 팔콘]]의 경우 자체 효과로 이 카드의 효과를 복사하면, 공격력 상승 효과는 물론, 해당 턴 한정 전체 공격도 가능해진다. 라이즈 팔콘의 효과가 상술했다시피 영구 지속이라서, 리벨리온 팔콘은 다른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기 때문에 호궁합. [youtube(XFBCQuX3nyk)]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사용자인 루마(슌)의 에이스 몬스터 카드가 되어 전용 소환 연출을 받아갔다. 소재 제한 때문에 소환이 쉽지 않다는 단점을 스킬 룰[* 랩터즈 라이징 스킬을 채용한 듀얼 중에는, 라이즈 팔콘을 아무 RR 엑시즈 위에 겹쳐 소환할 수 있다. 그래서 포스 스트릭스를 소환하여 덱에서 RR 몬스터를 서치한 후 그 위에 바로 겹쳐서 갈아타는 식으로 운용되며, 덤으로 라이즈 팔콘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덱에서 RUM을 서치+라이즈 팔콘의 랭크를 1~2상승하는 부가효과까지 달렸다.]로 해결하였기 때문에, 덱의 중심이 되어 채용률이 높다. ||수록 시리즈 || ||<(> 2015-02-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ECE-KR050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7-01-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LE-KR028 | [[디멘션 세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11-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ECE-JP050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ザ・シークレット・オブ・エボリューショ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6-11-2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LE-JP028 | [[디멘션 박스 리미티드 에디션|ディメンションボックス -リミテッド・エディショ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5-01-1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ECE-EN050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SECRETS OF ETERNIT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06-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P15-EN037 | STAR PACK ARC-V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5-09-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15-EN223 | 2015 MEGA-TINS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분류:유희왕/OCG/비행야수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