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include(틀:관련 문서, top1=RUM, top2=CNo., top3=CX)]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RankUpMagicArgentChaosForce-JP-Anime-ZX.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RUM(랭크 업 매직)-아젠트 카오스 포스, 일어판 명칭=RUM(ランクアップマジック)-アージェント・カオス・フォース, 영어판 명칭=Rank-Up-Magic Argent Chaos Force, 효과1=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 엑시즈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선택한 몬스터보다 랭크가 1개 높은 "C(카오스)"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엑시즈 1장을\,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선택한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할 수 있다.)] >'''"난 RUM-아젠트 카오스 포스를 발동! 이 카드는 [[V(유희왕)|형]]이 만들어내고 나에게 맡긴 인류의 비장의 카드다!"''' >'''"묘지에 있는 RUM-아젠트 카오스 포스의 효과 발동! 난 믿고 있어. 카드에 담겨진 인간의 마음이란걸 말이지."''' >---- >[[IV(유희왕 듀얼링크스)|IV]],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유희왕 ZEXAL|유희왕 ZEXAL II]]에서 트론 일가의 형제들이 사용한 [[RUM]] 카드. [[바리안 세계]]의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트론(유희왕)|트론]]의 문장의 힘을 응용하여 [[V(유희왕)|V]]가 과학의 힘으로 완성시켰다고 한다. [[바리안 세계]]의 힘이자 카오스의 성질을 띄는 문장의 힘을 응용해 [[RUM-바리언즈 포스]]를 모방한 듯하며, 단순히 모방했기 때문인지 오버레이 재구축을 할때도 바리안 계열의 랭크 업 매직과 다르게 분홍색이 아닌 속성과 동일한 색으로 변해 오버레이하고 엑시즈 소재도 일반적인 위성 형태이며,[* [[RUM-누메론 포스]]도 자체 효과로 소환한 엑시즈 몬스터의 오버레이 유닛이 일반적인 위성 형태다. 누메론 포스와의 차이점이라면 카오스의 붉은 기운이 몬스터의 몸체에 흐르는 게 표현된다는 것 정도. 한마디로 바리언즈와 누메론의 중간사이.] 효과도 랭크 업해서 [[CNo.]]나 [[CX]]를 소환할 수 있는 기본 효과 하나뿐이다. 그리고 다른 RUM과 달리 과학과 문장의 힘으로 재현한 거라 그런지, 이 카드를 쓰면 영혼을 소모하는 것처럼 고통스러워한다. 작중에서는 [[IV(유희왕)|IV]]가 [[낫슈]]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CNo.15 기믹 퍼핏-시리얼킬러]], [[CNo.40 기믹 퍼핏-데블즈 스트링스]], [[CNo.88 기믹 퍼핏-디저스터 레오]]까지 듀얼 한 판만에 총 3장의 [[CNo.]]를 불러냈다. [[낫슈]]는 이를 가짜 카오스의 힘이라고 조롱했지만, [[돈 사우전드]]도 그와 비슷한 말로 낫슈를 조롱했다. 료가는 인간이었을 때는 물론, 바리안인 낫슈로 각성했음에도 자신의 운명, 더 나아가 돈 사우전드의 저주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을 보면 아이러니한 일. 이어서 III, V도 [[미자엘]]과의 듀얼에서 V가 세트해 둔 아젠트 카오스 포스로 [[CNo.6 오파츠 카오스 아틀란타르]], [[CNo.9 천개요성 카오스 다이슨 스피어]]를 소환했다. 어원은 은을 뜻하는 단어 'argent'. 중세 유럽 쪽에서의 문장 다지안에서 백색이나 은색의 부분을 가리킬 때 쓰이는 단어로, 역시나 문장 덕후 트론의 힘을 담은 카드답게 문장과 관련이 있다. 또한 카드의 이미지에 있는 4개의 문양[* 왼쪽 시계방향으로 [[크리스토퍼 아크라이트|크리스]], [[미하엘 아크라이트|미하엘]], [[토마스 아크라이트|토마스]]의 문장이다. 그리고 가운데는 [[바이론 아크라이트|바이론]]의 문장이다.]은 각각 트론 일가의 문장의 형태와 일치한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RUM-アージェント・カオス・フォー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RUM(랭크 업 매직)-아젠트 카오스 포스, 일어판 명칭=RUM(ランクアップマジック)-アージェント・カオス・フォース, 영어판 명칭=Rank-Up-Magic Argent Chaos Forc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랭크 5 이상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의 몬스터보다 랭크가 1개 높은\, "CNo.(카오스 넘버즈)" 엑시즈 몬스터 또는 "CX(카오스 엑시즈)"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의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으로 취급하여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랭크 5 이상의 엑시즈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고랭크 엑시즈를 자주 사용한 문장 형제의 테마를 위해 랭크 5 이상에 종족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한 RUM으로 등장했다. 여기에 CNo.와 CX를 모두 소환할 수 있어 리미티드 바리언즈 포스와 마찬가지로 랭크 5 이상의 엑시즈 몬스터에 있어선 현존 최강의 RUM이라고 봐도 좋다. 높은 범용성 때문에 아무 엑시즈 몬스터나 겹쳐도 효과를 쓸 수 있는 [[CX 열혈지도신 얼티미트 트레이너]]와의 상성은 최고. 거기에 원작에서 아크라이트 형제들, 특히 IV가 듀얼 한 번에 3번이나 쓴 걸 고려했는지 비록 듀얼 중 1번이긴 하지만 샐비지 효과가 있다.[* 작중 V가 사용한 RUM을 샐비지하는 마법 카드 '리턴 랭크 업' 이란 카드가 이 효과의 모티브가 된 걸로 보인다. IV도 명확히 지정하는 건 아니었지만 '배니시 리액터'란 카드로 묘지에서 퍼온 적이 있다.] 그러니까 3장 채워 넣을 필요 없이 1장만 넣고 [[어리석은 부장]] 등 묘지 덤핑 카드와 같이 쓰는 것도 된다. 묘지에서 회수하는 효과를 이용해 직접 발동하지 않고 [[SNo.0 호프 제알]]과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의 소환의 코스트로 쓰는 방식에 있어서도 엄청난 가치를 발휘한다. 4축 중심으로 전개력이 뛰어난 유토피아 특화 덱에서 필드엔 유토피아 둘, 패엔 이 카드가 있다면 필드에 호프드라군과 호프 제알로 바뀌면서 4000 대상 내성 어태커 + 상대 턴 봉쇄 시너지가 가능해진다. 신 마스터 룰이 도입되면서 잠깐 주춤했으나 링크 전개가 자유로운 [[마술사(유희왕)|마술사]] 덱이 호프 제알을 소환해 필드를 굳히는 방식으로 주로 쓰였다.[* [[매직비스트]] 킹자칼+[[크로노그래프 매지션]]=[[영원의 숙녀 베아트리체]], 베아트리체로 아젠트 카오스 포스를 묘지로 보내고 [[신뢰의 기사 가이아 드라군]] 소환, 퍼와서 랭크 4 유토피아 소환, 호프 제알 소환.] TCG에선 2018년 5월 21일에 금지 카드가 됐다가, 호프 제알이 금지로 가면서 2021년 3월 15일에 무제한 카드가 됐다. ====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 ==== * 랭크 6 * [[CNo.5 망롱룡 카오스 키메라 드래곤]] * [[CNo.73 격롱폭신 어비스 수프라]] * [[CX-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 * 랭크 7 * [[CNo.6 오파츠 카오스 아틀란타르]] * [[CX 기망황 바리언]] * [[CX 풍기대궁사 사이몬]] * 랭크 8 * [[CNo.62 네오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 * 랭크 9 * [[CNo.15 기믹 퍼핏-시리얼킬러]] * [[CNo.40 기믹 퍼핏-데블즈 스트링스]] * [[CNo.88 기믹 퍼핏-디저스터 레오]] * [[CNo.107 네오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 [[CX 열혈지도신 얼티미트 트레이너]] * [[기믹퍼핏#s-4.3.4|CX 기믹 퍼핏-패나틱스 마키나]] * 랭크 10 * [[CNo.9 천개요성 카오스 다이슨 스피어]] * [[CNo.92 위해허룡 Heart-eartH Chaos Dragon]] * 랭크 11 * [[CX 초거대 공중요새 바빌론]] * 랭크 12 * [[CNo.1000 몽환허신 누메로니어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13-12-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P16-JP018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1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9-01-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9TP-JP111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19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3-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GLD-EN027 | '''[[골드 시리즈|PREMIUM GOL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SE)] || ||<(> 2021-12-0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ROL-EN091 | [[엑스트라 팩|BROTHERS OF LEGEN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4-06-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09-KR018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관련 카드 == === [[마셔링 필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