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inux)] [목차] == 개요 == '''Raspberry Pi OS'''(라즈베리 파이 OS), 舊 '''Raspbian'''(라즈비안)은 Raspberry Pi Foundation에서 개발한 공식 Raspberry Pi용 OS으로 [[Debian]] 기반으로 만들어진 배포판이다. 이 OS가 Raspberry Pi의 OS 설치 소프트웨어인 NOOBS의 기본 옵션이며, img 파일이 포함되어 있다. 보통 이 Raspberry Pi OS가 [[라즈베리 파이(컴퓨터)|Raspberry Pi]]를 쓰는 사람들이 주로 설치하는 OS이다. == 상세 == [[LXDE]]를 Raspberry Pi에 맞게 수정한 PIXEL('''P'''i '''I'''mproved '''X''' windows '''E'''nvironment, '''L'''ightweight)을 기본 [[데스크톱 환경]]으로 사용한다. 2023년 10월 업데이트로 Bookworm 업데이트와 함께 Wayland 환경을 정식 지원한다.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x-session-manager 명령어를 사용하면 데스크톱 환경을 [[Xfce]]로 바꿀수도 있다. == 다운로드 옵션 == * Raspberry Pi OS Full[br]Raspberry Pi OS 데스크톱 이미지에 [[Python]], [[스크래치(교육 플랫폼)|Scratch]]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미리 설치되어있는 버전이다. * Raspberry Pi OS[br]Raspberry Pi OS 이미지에 데스크톱 환경, 웹 브라우저 등 필수적인 패키지들만 설치되어 있는 버전이다. * Raspberry Pi OS Lite[br]Raspberry Pi OS 이미지에 [[Linux#s-6.4|데스크톱 환경]]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버전이다. 주로 PIXEL 이외의 [[GNOME]], [[KDE]] 등의 데스크톱 환경을 설치하거나, [[CLI]]로 충분한 임베디드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주로 사용한다. * (32-bit) Raspberry Pi OS[br]x86 아키텍처로 만들어진 버전이다. x64를 지원하지 않아서 최신 프로세서에는 부적합하지만 가볍기 때문에 [[똥컴|오래된 컴퓨터]]에 설치할 경우 좋다. 다른 Raspberry Pi OS 배포판과는 다르게 iso로 배포되며, USB에 플래싱 하여 라이브 부팅을 하면 HDD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 설치 방법 == === [[Windows]] === * microSD를 USB 인터페이스로 읽을 수 있게 해 주는 [[리더#s-2|카드 리더기]], microSD가 필요하다. microSD는 10클래스 이상이 권장된다. * [[https://raspberrypi.org/downloads|Raspberry Pi OS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 microSD를 컴퓨터에 연결한 후 FAT32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한다. * [[https://balena.io/etcher|Etcher]] 또는 [[https://sourceforge.net/projects/win32diskimager/|win32diskimager]] 를 이용해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microSD카드에 플래싱한다. * microSD카드를 Raspberry Pi의 microSD카드 소켓에 삽입하고 전원을 공급해주면 부팅된다. 부팅 후 ''sudo raspi-config''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여 파티션 확장, 사용자 패스워드 변경 등의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blog.xcoda.net/m/82|이곳에서]] 찾을 수 있다. 현재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 가능한 Raspberry Pi Imager 라는 공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매우 간편하게 플래싱이 가능하다. OS 이미지를 따로 다운로드 받을 필요 없이 프로그램 내에서 다운과 플래싱을 같이 진행하며(심지어 리눅스 등 타 OS도 가능하다), SD카드를 알아서 포맷시켜주고, 고급 설정에선 사용자 계정 생성이나 ssh, 무선랜 연결 설정 등을 미리 설정 가능하므로 모니터, 키보드 등 주변기기를 꽂을 필요도 없이 완벽한 세팅이 가능하다.[* 단, 이 설정은 Raspberry Pi OS를 선택한 경우에만 적용된다.] 따라서 현재는 다른 플래싱 방법을 생각할 필요도 없이 그낭 Imager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 ~~NOOBS~~ (지원 종료) === 공식 설치 도구로 "NOOBS"라는 도구를 지원하였으나, 현재는 라즈베리 파이 본체에서 네트워크 부팅으로 OS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였고 NOOBS의 지원은 중단되었다. 이하는 지원하던 당시의 설명. * SD 카드 리더와 microSD를 컴퓨터에 연결하고, [[https://raspberrypi.org/downloads|Raspberry Pi OS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NOOBS .zip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 microSD를 컴퓨터에 연결한 후 FAT32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한다. * .zip 파일을 microSD의 최상위 경로에 압축 해제한 Raspberry Pi의 microSD 소켓에 microSD를 삽입한다. * HDMI 연결을 통해 외장 디스플레이를,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한다. * 전원을 공급하면 NOOBS의 OS 설치 환경으로 부팅되는데, 최상단의 Raspbian의 체크박스를 선택하고 install을 클릭하면 잠시 뒤 설치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http://withcoding.com/45|이곳에서]] 찾을 수 있다. [[분류:데비안]] == 설치된 소프트웨어 == Raspberry Pi OS Full 버전 기준 |||| '''개발 도구, 교육''' |||| || BlueJ Java IDE |||| Java 통합 환경 || || Greenfoot Java IDE |||| Java 통합 환경 || |||| [[Mathematica]] |||| || Node-RED |||| 코드 축소 개발 프로그램 || || [[스크래치(교육 플랫폼)|Scratch]][* 1.4 버전과 3.0 버전이 있다.] |||| 블록형 코딩 프로그램 || || [[https://www.raspberrypi.org/products/sense-hat/|Sense Hat]] Emulator |||| Raspberry Pi의 자매품인 Sense Hat 애뮬레이터 || || Sonic Pi |||| 음악 프로그래밍 개발 프로그램 || || Thonny Python IDE |||| 가벼운 Python 통합 개발 환경 || || Wolfram |||| 기술적 개발 환경 || || mu |||| 초보자를 위한 Python 개발 환경 || || Geany |||| 빠르고 가벼운 GTK2 기반의 통합 개발 환경 || || SmartSim |||| 오픈 소스 디지털 논리 회로 설계 및 시뮬레이션 패키지 || [[오피스 스위트]]는 모두 '''[[LibreOffice]]'''로 Writer, Calc, Impress, Base, Math, Draw 모두 깔려있다. |||| '''인터넷''' |||| || [[The Chromium Projects|Chromium]] |||| 인터넷에 연결합니다 || || Claws Mail |||| 가볍고 뻐른 GTK+ 기반의 메일 클라이언트[* 메일봉투 모양인 메뉴 창 아이콘과 프로그램을 열면 나오는 아이콘이 다르다.] || || VNC Viewer |||| 그래픽 데스크톱 공유 시스템 || |||| '''음악과 비디오, 그래픽''' |||| || [[VLC]] |||| 오픈소스 미디어 재생기 || || 그림 보기 |||| 기본 내장 프로그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