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Red Goose/6_copious_redgoose.png|width=400]] [목차] == 개요 == |||||||||| [[이즈미 무츠히코]]의 거위 시리즈 || || [[Snow Goose]][BR][[유비트]] || → || '''Red Goose'''[BR][[유비트 코피어스]] || → || [[Blue Goose]][BR][[유비트 소서 풀필]]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이즈미 무츠히코]]로, 곡명에 들어가는 '''Goose'''와 [[유비트 코피어스]] OST 코멘트에서 나타나듯이 [[Snow Goose]]의 후속곡이다. 보통 이전곡처럼 각각 한글로 해석해서 '''적거위'''라고 부른다. 소서 가동 직전에는 후속곡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u9WMPdI9JvE|Twilight Goose]]가 나온다는 떡밥이 있었고, 실제로 음원에다 '''유비트 채보까지 나와서''' 큰 반응을 보였으나, 후에 낚시로 밝혀졌다. 해당 음원은 [[동인 음악]] 작곡가 [[kamome sano]]가 만든 것.[* 사실 영상 제목을 보면 알겠지만, 코피어스의 철자가 Copious가 아닌 Copi'''uso'''다. 그리고 우소(Uso, うそ)의 뜻은 [[일본어]]로 '''[[거짓말]]'''. 즉 낚시가 맞다.] [[https://twitter.com/kmsn_0v0/status/175351457183313920|#]] == [[유비트 시리즈]] == ||<-4><#bcbcbc><:> [[유비트 시리즈|{{{#000000 유비트}}}]] {{{#000000 난이도 체계}}}|| ||<:>난이도||<#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5||<:>8||<:>10.5|| ||<:>노트 수||<:>445||<:>743||<:>891|| ||<:>BPM||<-3><:>200|| ||<-4><#bcbcbc><:>{{{#000000 아케이드 수록 버전 및 모바일 수록}}}|| ||<:>아케이드||<-3><:><#483d8b>[[유비트 코피어스|{{{#FFFFFF 유비트 코피어스}}}]] {{{#FFFFFF (2011.09.15)}}}|| ||<:>모바일||<-3><:><#483d8b>[[유비트 코피어스|{{{#FFFFFF 유비트 코피어스}}}]] {{{#FFFFFF 앨범}}} || ||<:>플러스 모드||<-3><:>개별 구매|| * 관련 칭호[* 굵은 글씨는 칭호 파츠.] * [[유비트 코피어스]] ~ * Good Goose : 모든 보면 클리어 * '''Good Good''' Goose : 모든 보면에서 풀 콤보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비공식 난이도표/엑설런트/10레벨/9기)] [[유비트 코피어스]]에서 해금 조건은 '''가장''' 어려웠었다. '4인 매칭에서 전부 엑설런트시 10레벨을 고른 사람이 있으면 10레벨 곡을 고른 사람만 해금'이라는 조건이였기 때문. 다행히도 전도는 가능했다. [youtube(4Hj9wQqRxc0)] EXT 채보 영상 [youtube(bIihiwVomNw)] EXT EXC 영상 템포가 상당히 빠른 편이고 노트 수가 많아 충분히 체력곡이다. 전반적인 패턴 자체는 [[긁기|슬라이드]]형+연타 배치 위주이다. 곡이 워낙 빠른 만큼 첫 플레이 시나 리듬을 못 잡을 경우 꽤 까다로운 곡이 될 수 있다. 특히 중반의 엇박자 부분은 손배치를 잘 짜놓지 않으면 여간해선 잘 칠 수가 없다. 딱 두 부분 등장하는 아래의 '''초고속 발광'''은 주의하자. ||① ③ ⑥ ④ ⑦ ⑤ ⑭ ② ⑬ ⑪ ⑧ ⑩ ⑨ ⑮ ⑫ ⑯|| ▲ 연속으로 2번씩 2번 등장. 위 영상 기준으로 57초 부분, 1분 28초 부분. 모두 정확히 친다고 가정했을 때 손의 속도를 계산해보면 대략 '''1초에 13번 정도를 쳐야 한다'''. 사족으로, 어떻게 플레이를 하던지 간에 극히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점수의 뒤의 네 자리수가 같은 숫자가 두 개씩 반복되는 모양이 되는 곡이다. (ex. 933939) 노트수가 891개이기 때문에 노트 당 약 1010점 씩 오르기 때문. 덕분에 이 곡을 플레이하면 신의 장난 칭호[* 점수의 뒤의 네 자리수가 9999일 때 주는 AP 1짜리(...) 칭호]가 상당히 자주 뜨며, [[https://pbs.twimg.com/media/BHoo48ACYAAqQfK.jpg:large|경우에 따라서는 이런 점수를 스코어링 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직은 4비트 정박 위주의 6렙값 못하는 물렙이며, 어드밴스는 8비트 위주이지만 손을 쉴새없이 동선을 크게 움직여야하며 중반부의 16비트 리듬이 살아있어 8렙 중에선 나름 어려운 편. 거기에 물량도 상당한편… === 아티스트 코멘트 === ||네. 이름에서 아시다시피, [[유비트]] 초대작에서 만든 [[Snow Goose]]의 후속편입니다. 석양에 물들며, 머나먼 북쪽 대지를 향해 날아가는 기러기 무리를 이미지하였습니다. [[철새]]인 기러기는 [[일본]]에서 [[시베리아]]까지 4,000km씩이나 여행을 한다고 하며, 시속 100km 이상으로 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놀랍지요. 어떻게 그리 먼 곳까지 헤매지 않고 갈 수 있는 것일까요? 어떻게 그런 먼 거리를 날아갈 수 있는 것일까요? 기러기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동물들이 가진 대단한 힘을, 나아가서는 대자연의 신비를, 느끼지 않으려야 않을 수가 없습니다. 각설하고, 이 곡의 특징적인 테마 멜로디는 "다다다닥 다다닥"하는 리듬을 되풀이하면서 음정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방법으로 만들었습니다. 반복되는 소절이 생각했던 것보다 더 기분 좋아서, 저 자신도 퍽 마음에 들어하고 있지요. 중반에 나오는 16비트 뒤에 악센트가 잔뜩 들어간 빠른 멜로디는 게임을 의식하여 만들었습니다. 어렵지만 재미있지요. 부디 [[Snow Goose]]와 함께 즐겨 주시길. -[[이즈미 무츠히코]], [[유비트 코피어스]] OST 코멘트 || ||【채보】 맛스루 [[Snow Goose]]의 속편으로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원래 Snow Goose는 [[유비트 시리즈|jubeat]]의 시작 시에 이 게임에 맞는 악곡, 보면이란 무엇인가를 모색하면서 팀원 하나가 되어 만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즈미 무츠히코|이즈미 씨]]와 시행착오를 반복할 수 있던 악곡, 다양한 패턴을 시험해 태어난 채보. 그 때 팀 내의 평가로 「오! 이거 재밌다!」라는 말을 들었을 때가 제일 최초의 감동으로, 지금도 잊을 수 없는 파워의 근원이네요. Snow Goose가 좋았기 때문에 지금의 jubeat가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그런 Snow Goose는 처음이기도 하고 해서, 일부러 채보로 만들 수 있는 곳도 생략하거나 곡의 이미지에 비해서 간단하게 만들었습니다. 그 무렵에는 그런데도 너무 어렵지 않은지 걱정한 적도 있었습니다만. 그런 의미에서 이번은 새로운 Goose라고 하는 것으로 진정한 Goose에 도전해 보았어요. Snow Goose로부터 Red Goose까지 jubeat로부터 [[유비트 코피어스|jubeat copious]]까지의 역사를 느끼면서 플레이해 보세요! 【자켓】 [[T田]] 4~5년전, 제가 신출내기 [[유비트 시리즈|jubeat]] 디자이너였던 무렵 처음으로 만든 자켓이 Snow Goose였습니다. 지금 보면 변변치 않고 엉성하지만 당시에는 필사적으로 그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Red Goose는 Snow Goose의 속편으로, 대칭이 되는 색·구도로 하려고 처음부터 결정되어 있었습니다.[* 자켓을 자세히 보면 [[Snow Goose]]의 자켓처럼 군데군데 45도 회전된 정사각형이 있다.] 라고 해도 재활용은 하지 않습니다, 1부터 시작해서 확실히 신중하게 그린다고요! 「반전되어 있을 뿐이잖아」라는 말을 들어도 난 지지 않아. - [[유비트 코피어스]] 스태프 블로그 ||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PASTEL ADVENTURE'''|| ||||||<#000080><:>'''[[유비트 시리즈|{{{#white jubeat}}}]] {{{#white 산맥}}}'''|| ||||||<:>[[\[E\]]]|| ||||||<:>[[HEAVENLY MOON]]|| ||||||<:>[[量子の海のリントヴルム]]|| ||||||<:>'''Red Goose'''|| ||||||<:>[[ALBIDA]]||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200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 {{{#green 6}}} || {{{#orange 10}}} || {{{#red 14}}} || || 스킬 레이트 || {{{#green 24}}} || {{{#orange 45}}} || {{{#red 74}}} || || 오브젝트 || {{{#green 256}}} || {{{#orange 476}}} || {{{#red 844}}} || || MAX COMBO || {{{#green 366}}} || {{{#orange 646}}} || {{{#red 1048}}} || || JUST REFLEC || {{{#green 9}}} || {{{#orange 13}}} || {{{#red 24}}} || || 수록버전 ||||||||<#82eb5a>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 MUSIC PACK 29 || [youtube(HIvW_VVWBXI)] HARD 패턴 영상. 2012년 4월 27일 새로 추가된 유비트3 글라스의 2번째 곡으로 출현하는데, 1번째 곡으로 나오는 [[量子の海のリントヴルム]]의 757개를 압도하는 '''844'''개의 오브젝트 수로 물량곡의 포스를 내뿜고 있으며, 당시 리플렉 비트의 모든 패턴을 통틀어 '''가장 많은 오브젝트 수'''였다. [[리플렉 비트 콜레트|차기작]]이 시즌2로 넘어간 2013년 4월까지도 최다 오브젝트 패턴의 위엄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사립 BEMANI 학원]] 최종해금곡 [[Elemental Creation]]에게 [[리플렉 비트 시리즈/기네스|무려 '''98개''' 차이로 밀려버렸다!]] --그 이후로는 과거의 물량 보스곡들처럼 밀리는 게 일상이 됐다-- --[[めうめうぺったんたん!!|이젠 10레벨급이 되어버렸다]]-- 유비트의 초고속 발광패턴이었던 부분은 롱 오브젝트+트릴로 만들어 놓았는데, '''[[イミテーション語ル死ス|체인이 상당히 길다]]'''. 게다가 곡의 길이도 길고 물량도 많기 때문에 [[quaver♪]]나 [[FLOWER(BEMANI 시리즈)|FLOWER]] 못지 않은 상당한 체력곡. 노트 밀도만 보면 quaver♪와 비슷한데 이 쪽의 롱 오브젝트 빈도라든지 곡의 길이가 quaver♪를 상회한다. --그래도 이건 쉬는시간은 있다-- 특별히 주의할 점은 '따다다닥-따다닥' 리듬이 시작되는 바로 전의 롱 오브젝트 2개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롱 오브젝트의 두 배 길이'''이므로 낚이기 쉽다는 것이다.[* 사실 10+ 레벨에서는 원체 이렇게 동시에 쳐서 각각 다른 타이밍에 끝나는 롱 오브젝트 낚시가 많다.] 게다가 중반의 박자는 유비트에서의 그것에서 살짝 이빨이 빠진 박자여서 유비트에서 넘어온 유저들이 혼란을 일으킬 법 한 배치이다. 린트브룸보다는 좀 잘보이는데, 그래도 기존 곡들보다 난이도가 높은건 매한가지다. 특히 하드 패턴은 물량도 문제가 되지만 가장 큰 장벽은 '''인식 오류'''. 롱 오브젝트와 트릴이 위주가 되는 패턴이다보니 정말 잠시라도 방심하면 바로 인식 오류로 인한 굿 연발, 심하면 아예 인식이 되지 않고 미스가 나기도 한다. 게임이 적외선 터치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인데, 롱 오브젝트를 누른 상황에서 다른 지점을 누르면 두 지점의 XY축이 교차하는 제 3의 지점도 인식이 되기때문에 발생하는 문제. 예를 들자면 왼쪽 탑의 밑부분과 오른쪽 탑을 동시에 누를때 왼쪽 탑이 인식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오른쪽 탑의 밑부분도 인식이 되긴 한다. 다만 손이 필연적으로 가리게 되는 부분이기에 실용성은 매우 떨어진다.] 사실 일반 노트, 혹은 트릴의 경우엔 굿이 나는 순간 최대한 빨리 알아채고 한 박자 쉬고 들어가는 등 대책을 세우면 복구할 수는 있다. 문제는 '''인식 오류가 롱 오브젝트에 발생했을 때'''. 위에서 말한 현상이 일어날 경우 보통 XY축은 일반 노트인 경우가 많고, 따라서 누르자마자 떼게 되는것이 정상인데 그 제 3의 지점에 롱 오브젝트가 왔을 경우 대책을 세우고 뭐고 할 것 없이 롱 오브젝트를 눌렀다가 중간에 뗀 것으로 인식되어 MISS 판정. 이 현상이 가장 두드러지는 곳이 특히 마지막의 [[HEAVENLY MOON]] 패턴이라 불리는 왼쪽&오른쪽 탑 롱 오브젝트를 누른 상태로 일반 노트를 처리하는 부분. 또한 이 부분에서 탑 롱 오브젝트를 누르기 직전에 어느 한 쪽 방향으로 저스트 리플렉을 날릴 경우 그 쪽의 탑이 '''웬만하면 흘렀다'''. 다만 이는 리플레시아에서 해당 구간부터는 황금 오브젝트를 모두 일반 오브젝트로 변경하여 이제는 옛날 이야기. 또 위의 문제들은 [[TITANS RETURN]]이나 [[魚氷に上り 耀よひて]]에서도 발생하는 문제였지만 위 두 곡은 이 곡에 비해 밀도가 그렇게 높지 않은 편이고 발생하는 구간도 한정되어 있어서 대처가 가능한 반면, 이 곡은 트리플 플러스를 안정적으로 치는 유저들조차 인식 오류에 대처하기가 힘든 속도와 물량. 즉 정리하면 전체적인 패턴 자체는 린트브룸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은 수준이지만, 위의 터치 인식 문제때문에 풀콤보 안정 난이도는 린트브룸보다 '''훨씬''' 높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난이도는 린트블룸보다 낮게 평가받지만 실제 고수층 유저들에게는 이 곡을 더 높게 친다. 다만 하드만 말이 많을 뿐이지, [[量子の海のリントヴルム]]은 베이직과 미디엄 패턴도 매우 까이지만 이 곡은 동 레벨에서 괜찮은 수준으로 패턴도 재미있다는 평이 많다. 특히 미디엄은 중간의 난해한 박자 부분은 거의 그대로 살아있지만 물량이 줄어들어 처리하기가 수월하다. [[분류:유비트 코피어스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