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파동의 진동수가 줄어드는 현상, rd1=적색편이)] [목차] == BEMANI 시리즈의 악곡 ==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601_msc_04.jpg]] BEMANI 시리즈의 악곡. 작곡가는 [[technoplanet]]. 작곡가의 5집 앨범 EXPRESS에 익스텐디드 버전이 수록되었다. 후속곡 격인 [[Redshift 2nd Ignition]]이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 The 9th KAC 콘테스트에 당선되어 추가되었다. === [[MÚSECA]] === [Include(틀:MÚSECA의 16레벨 책정곡)] ||||||||||||||<:> {{{#8b1c21 MÚSECA 난이도 체계}}} || ||<:>{{{+1 {{{#white 鬪}}}}}} |||||||||||| Redshift || || [[BPM]] |||||||||||| 190 || ||<|2><:> 난이도 || {{{#green 翠}}} || {{{#orange 橙}}} || {{{#red 朱}}} || || {{{#green 3}}} || {{{#orange 11}}} || '''{{{#red 15}}}''' || || 체인 || {{{#green 344}}} || {{{#orange 626}}} || '''{{{#red 1205}}}''' || || 수록 시기 |||||||||||| 2016년 1월 15일 || [youtube(dZZ3nNZaRsA, width=360, height=640)] 난이도 朱 패턴 '''Connect All''' 영상 사실상 MÚSECA 최종보스곡이다. 1205개에 달하는 노트수에, 플레이어에게 요구하는 여러가지 기술들이 종합적으로 나오는 곡이다. 초반부에는 약간의 디렉셔널 복합채보 뒤에 bpm190의 무지막지한 계단이 몰아친다. 중간중간 디렉셔널 스핀 오브젝트 두개가 붙어나오는데, 전부 한손으로 처리할 수 있으니 외워두면 체력을 아끼기 편해진다. 뒷부분에는 오른쪽 디렉셔널-히트 오브젝트-왼쪽 디렉셔널 모양의 채보가 세번 나오는데, 한번에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듯이 누르면 처리할수 있다. 이 방법 외에 양손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처리법도 가능하다. 중반부는 Redshift에서 가장 쉬운부분이다. 별달리 어려운 채보가 나오지 않으므로 편하게 쉬어가면 된다. 후반부에서는 후살이 몰아친다. 엄청난 폭타가 끝부분까지 지속되므로 그냥 계속 치면 된다. 이상하게 중반부보다 초반, 후반부가 어려운 곡이다. 하지만 16렙이라는 평을 들을정도로 정말 어렵고, 체력소모도 심한편이라 함부로 도전하진 않는편이 좋다. BEMANI 119회 생방송에서 5th KAC 이벤트 시연으로 게스트인 FALL이 Redshift를 결승 라운드 배치랑 똑같은 그라피카 세팅으로 시연했었는데, 끝나고나서 "역시 어렵다고" 얘기할 정도. 또한 최고점수도 111만점 정도로 높지 않은 편이라, 100만점 이상도 쉽지 않다. 뮤제카에 이후 우-수 쪽 스코어링쪽으로 가면 [[MeteorA]]와 [[NeverWorld]]와 천상계 취급을 받으며, 그 아래에는 [[絶対零度]], [[ZEPHYRANTHES]], [[CENSORED!!]], [[Refrain(お月さま交響曲)|Refrain]]이 최상위권 취급을 받는다. 금걸 난이도 또한 비슷하게 평가받는편. [youtube(cuqJvMT8vk8, width=360, height=640)] 난이도 橙 CONNECT ALL 영상 ==== 아티스트 코멘트 ==== ||처음 뵙겠습니다. 아득히 먼 곳에서 찾아온 일렉트로닉 몬스터 유닛 "technoplanet"입니다. 이번에 동경하던 KONAMI 리듬게임 곡을 수록하게 되어 감개무량합니다. 시네마틱 하드 하우스 "Redshift"! 피아노와 현악기를 주축으로 영화같은 전전긍긍 두근두근 다이나믹하고 드라마틱한 음악을 2분 안에 응축했습니다. 지금까지 만들어 온 곡의 분위기와는 조금은 다르지만, technoplanet의 아이덴티티는 확실히 담았습니다! 부디 즐겨주시기를! < technoplanet >|| === [[사운드 볼텍스]]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redshift.png|width=150]] || [[파일:redshift.png|width=150]] || [[파일:redshift.png|width=150]] || [[파일:redshift.png|width=150]] || || 레벨 || 06 || 13 || 16 || 18 || || 체인 수 || || 1204 || 1655 || 1920 || || 일러스트 담당 ||<-4> Mine-C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ポテトマシーン || || 수록 시기 ||<-4> 레후토의 싱싱한 야채 농원(2018.6.7) || || [[BPM]] ||<-4> 190 || ==== 채보 상세 ==== [youtube(MMxeBr-UXnU, width=420, height=680)] MXM 난이도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MXM 패턴은 피아노음에 맞춰 떨어지는 FX 복합 계단 위주의 패턴으로, 급박하게 떨어지는 직각노브 때문에 빠른 손 이동 능력도 요구된다. 후반에는 원핸드로 B+C+L+R 롱노트를 처리해야 하는 부분이 있어 숙지가 필요하다. [youtube(adimAg61gek, width=420, height=680)] EXH 난이도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 BMS == [youtube(SRvSYeJfgwI)] [[BOFXVI]] 참가곡. 1번 문단과 동명이곡으로, 작곡가는 COMPOSER 1 명의를 쓴 [[litmus*]]이다. === 대회 결과 === 총점 : '''59933''' (68 임프레션) 중앙값 : '''910''' / 1000.00 평점: '''881.36''' / 1000.00 개인전 스코어 순위 : '''85위''' 개인전 중앙값 순위 : '''168위''' [[분류:MÚSECA의 수록곡]][[분류:BOF/수록곡]][[분류: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