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000 '''{{{#d14a19 Rock and Rollin' with Fats Domino}}}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Very Local 선정 13대 뉴올리언스 명반)] ---- [include(틀:빈티지 록 선정 1950년대 50대 명반)] ---- [include(틀:Heywood-Wakefield 선정 1950년대 20대 명반)]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703, 연도=1998)]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981)] ---- }}} || ---- ||<-2><#ffffff> '''{{{#d14a19 {{{+1 Rock and Rollin' with Fats Domin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ck and Rollin' with Fats Domino.jpg|width=100%]]}}} || || '''발매일''' ||[[1956년]] [[3월]] || || '''녹음일''' ||[[1949년]] [[12월 10일]] ~ [[1995년]] [[11월 7일]] || || '''장르''' ||[[로큰롤]], [[리듬 앤 블루스]] || || '''재생 시간''' ||28:07 || || '''곡 수''' ||12곡 || || '''레이블''' ||임페리얼 레코드 || || '''프로듀서''' ||버니 로빈 || [목차][clearfix] == 개요 == [[패츠 도미노]]의 데뷔 음반. == 상세 == 최초의 [[로큰롤]] 음반 중 하나로 평가 받는다. [[척 베리]]나 [[빌 헤일리]] 같은 백인 뮤지션들은 [[컨트리]]나 [[로커빌리]]적인 기타 중심 로큰롤 음악을 연주했지만, 패츠 도미노는 [[리틀 리처드]]나 [[제임스 브라운]] 같은 소울풀한 [[리듬 앤 블루스]] 사운드에 더 가까운 로큰롤을 들려주었다. 어떤 면에선 최초의 [[피아노 록]] 음반일 수도 있다. == 평가 == [include(틀:올뮤직, 링크=album/carry-on-rockin-mw0000848369, 점수=★★★)] [include(틀:RYM, type=comp, code=fats-domino/rock-and-rollin-with-fats-domino/, 점수=3.68)] 척 베리, [[칼 퍼킨스]], [[엘비스 프레슬리]] 같은 빡센 일렉 기타 중심의 록 음악이 후대에 더 많은 영향을 남겼고, 비슷한 스타일의 리틀 리처드에 비해서도 부드러운 사운드이기에, 패츠 도미노의 음반은 상대적으로 관심이 매우 적은 편이다. 그래도 초창기 로큰롤 명반하면 여전히 언급되고 있다. == 트랙 리스트 == ||<-3><#ffffff> '''{{{#d14a19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The Fat Man || 2:33 || || 2 || Tired of Crying || 2:10 || || 3 || Goin' Home || 2:09 || || 4 || You Said You Loved Me || 2:32 || || 5 || Going to the River || 2:28 || || 6 || Please Don't Leave Me || 2:30 || || 7 || Rose Mary || 2:10 || || 8 || All By Myself || 2:18 || || 9 || Ain't That a Shame || 2:23 || || 10 || Poor Me || 2:15 || || 11 || Bo Weevil || 2:01 || || 12 || Don't Blame It on Me || 2:38 || [[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1956년 음반]][[분류:로큰롤]][[분류: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