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Exile on Main St. 트랙리스트)] ||<-2><#dfd7d5> '''{{{#000 {{{+1 Rocks Off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5HP2Xcy_eQ,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72년]] [[5월 12일]] || || '''녹음 기간''' ||[[1971년]] [[6월 7일]] - [[1972년]] [[3월]]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fd7d5;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dfd7d5, #dfd7d5); font-size: .9em" [[Exile on Main St.|'''{{{#8B0000 Exile on Main St.}}}''']]}}} || || '''장르''' ||[[블루스 록]] || || '''작사/작곡''' ||[[재거-리처즈]] || || '''프로듀서''' ||지미 밀러 || || '''러닝 타임''' ||4:31 || || '''스튜디오''' ||빌라 넬코드|| || '''레이블''' ||롤링 스톤즈 레코드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노래, 순위=1383)]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156대 가장 영향력 있는 레코드)] [목차] [clearfix] == 개요 == ||<#dfd7d5>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_kNsKCmYz5g,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MWsiY2bQFw, height=200)]}}} || || '''1972년 라이브''' || '''2003년 라이브''' || [[1972년]] 발매된 [[롤링 스톤스]]의 10집 [[Exile on Main St.]]의 수록곡. == 상세 == [[Exile on Main St.]]의 대표곡중 한 곡으로 뽑히고 앨범 전체의 분위기와 주제를 암시하는 곡으로 뽑힌다. 많은 팬들은 [[Tumbling Dice]]와 더불어 앨범 최고의 곡으로 이 곡을 뽑고 있는데 최근에는 커뮤니티 댓글이나 유튜브 댓글에서는 이 곡을 더 고평가하는 경우도 많다. [[Sympathy for the Devil|롤링]] [[Gimme Shelter|스톤스의]] [[Brown Sugar|1번 트랙은]] [[Paint It Black|가장]] [[Miss You(롤링 스톤스)|화려한]] [[Start Me Up|곡이다]]라는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명곡이다. 또한 후술할 'The sunshine bores the daylights out of me' 라는 구절이 팬들 사이에서 가장 유명한 스톤스의 구절로 뽑힌다. 가사 역시 [[Sympathy for the Devil]]과 함께 스톤즈 최고의 가사중 하나이다. 성적 능력을 잃을 정도로 퇴폐적이고 쾌락적인 록 스타 생활에 느껴지는 회의감을 사도마조히즘적, 자기파괴적, 쾌락적, 퇴폐적인 단어들로 표현한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의 가사중 하나이다. == 가사 == ||<:> ---- '''{{{+4 Rocks Off}}}''' ---- I hear you talking when I'm on the street 길을 걸을 때마다 너네들의 목소리가 들려 Your mouth don't move but I can hear you speak 네 입은 움직이지 않지만 네 말을 들을 수는 있어[* [[믹 재거]]의 유명세 때문에 그가 길을 걸을 때마다 많은 [[그루피]]와 팬들이 그와 성관계를 가지려고 똑같은 말을 한다는 뜻이다. 실제로 믹 재거는 당시 인터뷰에서 록 스타 생활에 대해 회의감과 불편함을 표한 적이 있다. 이러한 주제는 이 곡뿐만 아니라 이 앨범의 다른 곡들에서도 이어진다.] What's the matter with the boy? "그에게 무슨일이 있었던 거지?" He don't come around no more "왜 더 이상 안오는거지?" Is he checking out for sure? "그가 체크 아웃하는 거 확실한거지?" Is he gonna close the door on me? "그가 나를 내쫓을까?" And I'm always hearing voices on the street 또 나는 매번 길을 걸을 때마다 목소리들이 들려 I want to shout, but I can hardly speak 나는 소리치고 싶은데 목소리도 안 나와 I was making love last night 나는 어젯밤 내 댄서 친구와 To a dancer friend of mine 사랑을 나누었지 I can't seem to stay in step 난 제대로 서 있을 수도 없어 Cause she come every time that she pirouettes over me 왜냐하면 그녀는 시도 때도 없이 피루엣[* 발을 위로 올리는 발레의 동작이다.]을 보여줬거든 And I only get my rocks off while I'm dreaming 나는 꿈 꿀 때 말고는 흥분도 안 돼 I only get my rocks off while I'm sleeping 나는 잘 때 말고는 흥분도 안 돼[* get my rocks off는 오르가즘을 느끼다라는 유명한 영어 관용구이다. 직역하면 더이상 발기가 안 된다는 뜻이다. 록 스타로서의 퇴폐적이고 쾌락적인 생활, 혹은 Exile을 작업하면서 마약, 섹스 파티와 힘든 녹음을 했던 모든 생활들이 화자의 정상적인 생활을 망가뜨렸다고 표현한다.] I'm zipping through the days at lightning speed 나는 하루하루를 번쩍이는 속도로 보내오고 있어 Plug in, flush out and fire the fucking feed 플러그를 꼽고 시동을 걸고 빌어먹을 연료를 더 넣어 Heading for the overload 끝까지 달려가는거야 Splattered on the nasty road 저 더러운 길바닥에 자빠질 때까지 Kick me like you've kicked before[* 사도마조히즘을 연상하는 구절로 해석해도 되고, 정신을 차리게 세게 쳐달라는 구절로 해석해도 된다. 실제로 마약을 많이하면 통증도 못 느낄 정도로 마비가 온다고 한다. Exile을 녹음하던 시절 [[키스 리처즈]]가 마약을 너무 많이 해 몸에 마비가 왔던 사실을 퇴폐적이고 자기파괴적인 서술로 드러내고 있다.] 예전처럼 나를 발로 차줘 I can't even feel the pain no more 난 이제 통증마저도 느껴지지 않아 And I only get my rocks off while I'm dreaming 나는 꿈 꿀 때 말고는 흥분도 안 돼 I only get my rocks off while I'm sleeping 나는 잘 때 말고는 흥분도 안 돼 Feel so hypnotized, can't describe the scene 최면에 걸린 것 같아, 말로는 표현할 수 없어 It's all mesmerized all that inside me 내 안에 모든 게 뭔가에 홀린 것 같아 The sunshine bores the daylights out of me[* 해당 구절은 롤링 스톤스의 쾌락주의와 그들의 삐딱한 태도를 상징하는 구절로, 많은 팬들이 롤링 스톤스의 최고의 가사로 뽑는다. 여기서 ‘Bores the daylights out of~‘라는 표현이 애초에 사전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해석이 힘들 수 있다. 사실 원래 존재하는 표현은 아니고, ‘Scare the daylights out of’라는 영미권의 유명한 숙어를 믹 재거가 센스있게 변형시켜 새로운 표현법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 숙어의 의미는 ‘깜짝 놀라 죽을 뻔하다’ 라는 뜻인데, 가사에서도 그 점을 고려하여 해석한 것이다.] 저 햇빛이 나를 죽도록 지루하게 만들어 Chasing shadows moonlight mystery[* 위 구절과 함께 스톤스의 삐딱한 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햇빛-단순하고 낙천적인 것들은 이제 더이상 흥미가 없고 그림자, 달빛같이 깊고 어두운것들을 탐구하겠다는 뜻이다.] 그림자들과 신비로운 달빛을 쫓아갈거야 Heading for the overload 끝까지 달려가는거야 Splattered on the dirty road 저 더러운 길바닥에 자빠질 때까지 Kick me like you've kicked before 예전처럼 나를 발로 차줘 I can't even feel the pain no more 난 이제 통증마저도 느껴지지 않아 And I only get my rocks off while I'm dreaming 나는 꿈 꿀 때 말고는 흥분도 안 돼 I only get my rocks off while I'm sleeping 나는 잘 때 말고는 흥분도 안 돼 And I only get my rocks off while I'm dreaming 나는 꿈 꿀 때 말고는 흥분도 안 돼 I only get my rocks off while I'm sleeping 나는 잘 때 말고는 흥분도 안 돼 And I only get my rocks off while I'm sleeping 나는 잘 때 말고는 흥분도 안 돼 ----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width=50]] ---- || == 참여 == * [[믹 재거]] - 보컬 * [[키스 리처즈]] - 백 보컬, 기타 * [[믹 테일러]] - 기타 * [[빌 와이먼]] - 베이스 * [[찰리 와츠]] - 드럼 * 니키 홉킨스 - 피아노 * 바비 키스, 짐 프라이스 - 브라스 [[분류:1972년 노래]][[분류:롤링 스톤스 노래]][[분류:블루스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