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남성 래퍼]][[분류:힙합 래퍼]][[분류:1998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콤프턴 출신 인물]][[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분류:역대 XXL Freshman Class 선정자]] [include(틀:2019 XXL Freshman Class)] ||<-2> '''[[파일:RRnlogo.png|width=9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RPro.jpg|width=100%]]}}} || || '''본명''' ||로드리크 웨인 무어 주니어[br]Rodrick Wayne Moore, Jr.|| ||<|2> '''출생''' ||[[1998년]] [[10월 22일]] ([age(1998-10-22)]세)||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컴튼]]||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신체''' ||171cm|| || '''가족''' ||[[아들]]^^(2020년생)^^ || || '''소속사''' ||[[애틀랜틱 레코드]], 버드비전|| || '''데뷔''' ||2017년 [[믹스테입]] 'Feed Tha Streets'|| || '''링크''' ||[[https://shop.roddyricchofficial.com/|공식 스토어]] | [[https://www.instagram.com/roddyricch/|[[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https://twitter.com/RoddyRicch|[[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https://www.facebook.com/RoddyRicch/|[[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https://www.youtube.com/channel/UChQdA1rid5kKZh6oIc6DL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soundcloud.com/roddyricch| [[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0]]]]|| [목차][clearfix] == 개요 == 미국의 [[트랩(음악)|트랩]] 래퍼. 로디 리치는 다베이비와 함께한 트랙에서 보여줬듯이 플로우를 물흐르듯이 만들어 이끌어 가는게 장점이다. 다베이비는 둥글고 굵은 느낌이라면 로디 리치는 가볍고 타격감이 따가운 느낌이라서 들었을 때 조금 더 쉽고 반응을 이끄는 랩의 결을 만들어 보여준다. 그래서 밑에 곡들을 들어보면 수려한 훅들과 이어받는 벌스들이 수준급 이상이다. [[닙시 허슬]]과 같이한 곡에서도 신인이 맞나 싶을정도로 완성도있는 훅으로 곡의 완성에 피날레의 역할을 한다 (닙시 허슬의 안목도 한건한다.) [[DaBaby]]와 함께 2020년 미국 음악 시장을 지배한 래퍼이다. [[리믹스 편법]]과 [[페이올라]], 그리고 [[Stan(속어)|스탠 문화]]로 인한 빌보드 차트 신뢰성 논란이 많았던 2020년, "[[The Box]]"로 '''11주 연속 1위''', [[ROCKSTAR(DaBaby)|ROCKSTAR]]"로 '''비연속 7주 1위'''를 하며, 위의 세 요소들로 인해 [[빌보드 핫 100]]의 공신력이 낮아진 2020년에, 진짜 히트곡이란 게 무엇인가를 보여줬다. == 커리어 == 2017년에 데뷔한 후 2018년 11월 믹스테잎 Feed Tha Streets를 내며 [[빌보드 200]]에서 67위를 기록하였다. 2019년 초반 [[Nipsey Hussle]]의 죽기 전 마지막 히트곡 "Racks In The Middle"에 피쳐링하며 인지도를 넓혔고 2019 [[XXL|XXL Freshmen]]에 선정되었다. 2019년 12월 6일에 데뷔 앨범 Please Excuse Me for Being Antisocial을 냈고 이 앨범은 수록곡 [[The Box]]가 [[TikTok]]의 밈이 되면서 인기가 상승하여 빌보드 앨범 차트 1위에 달성하고 수록곡 The Box도 [[빌보드 핫 100]] 에서 1위를 달성하게 된다. 이 노래는 빌보드 핫 100에서 무려 '''11주 연속 1위'''를 달성했다.[* 2018년 연말 차트 1위곡인 [[God's Plan]]과 똑같은 상황이다. 그러나 The Box는 1위는 아닌 3위를 기록했다.] 2020년 4월에 [[DaBaby]]의 "[[ROCKSTAR(DaBaby)|ROCKSTAR]]"[*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과 연관된 곡이다.]를 피쳐링 하였으며 해당 곡은 영국과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장기간 1위를 이어나갔다. 로디리치는 2020년도에만 무려 '''18주''' 1위를 달성하였는데, 2018년 무시무시한 대기록을 세운 드레이크가 29주[* SICKO MODE까지 포함하면 30주를 채운다.]를 달성했음을 감안하면 올해 로디 리치가 사람들에게 얼마나 주목받고 있는 지를 알 수 있다. 이 두 노래 모두 올해 [[빌보드 연말 차트]] Top 5가 거의 확정된 노래들이다. [* 참고로 빌보드 연말 차트는, 그해의 총결산 즉 그 해 전체의 차트이다. 연말 차트 1위는 그 해에 미국에서 제일 크게 히트한 곡, 연말 차트 2위는 그 해에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크게 히트한 곡이다.] 즉, 연말 차트 Top 5에 두 개의 이름을 올리는 것.[* 이는 2018 [[포스트 말론]]도 실패했으며,[* 5위 rockstar, 6위 Psycho] 2019 포스트 말론[* 2위 Sunflower, 5위 Wow.]과 더 옛날로 넘어가면 '''1983 [[마이클 잭슨]],[* 2위 [[Billie Jean]], 5위 [[Beat It]]. 2019 포스트 말론과 똑같다. 참고로 1983년 연말 차트 1위는, 8주 연속 1위를 했던, [[스팅]]의 밴드 [[The Police]]의 "[[Every Breath You Take]]"이다. ] 1985 왬[* 엄밀히 말하자면 왬은 1985년 빌보드 연말 차트 1위인 [[Careless Whisper]]를 조지 마이클 싱글 명의로 냈기 때문에 여기 넣기 애매하다. 그러나 이 노래를 보통 작곡에 참여하지 않는 앤드루 리즐리가 작곡에 관여했고, 해외에선 왬 명의로 발매했으므로 여기에 넣어도 좋을 듯하다. 1985년 연말 차트 3위는 Wake Me Up Before You Go-Go인데, 이 노래는 왬 명의로 나왔다. 참고로 1985년 연말차트 2위는 다들 알다시피 [[마돈나(가수)|마돈나]]의 "[[Like a Virgin]]"이다. ]''' 등 어마어마한 가수들이 달성한 대기록이다. 그 외에는 1956년 연말 차트 [[Heartbreak Hotel]]로 1위를, 그리고 2위를 차지한 '''[[엘비스 프레슬리]]''', 1964년 연말 차트 [[I Want To Hold Your Hand]]와 [[She Loves You]]로 1,2위를 차지한 '''[[비틀즈]]''', 2004년 연말 차트 [[Yeah!]]와 [[Burn(어셔)|Burn]]으로 1,2위를 차지한 '''[[어셔]]''', 2016년 연말차트 1,2위를 차지한 [[저스틴 비버]]가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ROCKSTAR의 마지막 주 추이가 급격히 떨어지며 연말 6위가 예측되어 결국 기록에는 실패하였다. 그러나 연말 3위, 5위를 모두 달성했다. == 디스코그래피 == === Please Excuse Me For Being Antisocial === [include(틀:애플 뮤직 어워드,연도=2020,항목한=올해의 노래,항목영=Top Song of the Year,수상=The Box)] [include(틀:애플 뮤직 어워드,연도=2020,항목한=올해의 앨범,항목영=Top Album of the Year,수상=Please Excuse Me for Being Antisocial)] ||<-5> '''{{{#b2a529 {{{+1 [[빌보드 200]] 역대 1위}}}}}}''' || || ''[[겨울왕국 2/사운드트랙|Frozen II]]'' {{{-2 [[Various Artists|{{{#8086a0 Various Artists}}}]]}}} || {{{+1 →}}} || ''' ''{{{-1 Please Excuse Me For Being Antisocial}}}''[br]{{{-2 {{{#8086a0 Roddy Ricch}}}}}}''' || {{{+1 →}}} || ''[[Fine Line]]'' {{{-2 [[해리 스타일스|{{{#8086a0 Harry Styles}}}]]}}} || || ''JACKBOYS'' {{{-2 [[Travis Scott|{{{#8086a0 JACKBOYS}}}]]}}} || {{{+1 →}}} || ''' ''{{{-1 Please Excuse Me For Being Antisocial}}}''[br]{{{-2 {{{#8086a0 Roddy Ricch}}}}}}''' || {{{+1 →}}} || ''Rare'' {{{-2 [[셀레나 고메즈|{{{#8086a0 Selena Gomez}}}]]}}} || || ''[[Music To Be Murdered By]]'' {{{-2 [[에미넴|{{{#8086a0 Eminem}}}]]}}} || {{{+1 →}}} || ''' ''{{{-1 Please Excuse Me For Being Antisocial}}}''[br]{{{-2 {{{#8086a0 Roddy Ricch}}}}}}''' || {{{+1 →}}} || ''[[Funeral(릴 웨인)|Funeral]]'' {{{-2 [[Lil Wayne|{{{#8086a0 Lil Wayne}}}]]}}} || || ''[[Funeral(릴 웨인)|Funeral]]'' {{{-2 [[Lil Wayne|{{{#8086a0 Lil Wayne}}}]]}}} || {{{+1 →}}} || ''' ''{{{-1 Please Excuse Me For Being Antisocial}}}''[br]{{{-2 {{{#8086a0 Roddy Ricch}}}}}}''' || {{{+1 →}}} || ''Changes'' {{{-2 [[저스틴 비버|{{{#8086a0 Justin Bieber}}}]]}}} || ||<-2> {{{#fff '''{{{+1 ''Please Excuse Me For Being Antisocial''}}}[br]제발 내가 반사회적인 것에 대해 용서해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ntisocial.jpg|width=100%]]}}} || ||<-2> '''{{{#fff 발매 : 2019. 12. 6.}}}''' || || '''트랙''' || '''제목''' || || 1 || Intro || || 2 || [[The Box]] || || 3 || Start Wit Me (feat. [[Gunna]]) || || 4 || Perfect Time || || 5 || Moonwalkin (feat. [[Lil Durk]]) || || 6 || Big Stepper || || 7 || Gods Eyes || || 8 || Peta (feat. [[Meek Mill]]) || || 9 || Boom Boom Room || || 10 || Elyse's Skit || || 11 || High Fashion (feat. [[DJ Mustard|Mustard]]) || || 12 || Bacc Seat (featt. [[Ty Dolla $ign]]) || || 13 || Roll Dice || || 14 || Prayers To The Trap God || || 15 || Tip Toe (feat. [[A Boogie wit da Hoodie]]) || || 16 || War Baby || 로디 리치의 1집앨범. 발매 직후부터 '''어마어마한 센세이션'''을 일으켰으며 2번 트랙 The Box는 틱톡에서의 인기에 힘입어 무려 '''빌보드 11주 1위'''를 달성한다.[* 그러나 롱런곡인 Circles와 Blinding Lights로 인하여 연말차트는 3위에 그쳤다. 평년이었다면 당연히 연말 1위를 기록할 만한 성적이다.] == [[빌보드 핫 100]] 기록 == === [[빌보드 핫 100]] 1위 === * '''[[The Box]]''' (2020) (11주) * '''[[ROCKSTAR(DaBaby)|ROCKSTAR]]''' (2020)[* [[DaBaby]]의 곡에 피쳐링] (7주) === 빌보드 핫 100 2 ~ 10위 === - === 빌보드 핫 100 11 ~ 20위 === * [[Ballin'(DJ 머스타드)]] (2020)[* [[DJ Mustard]]의 곡에 피쳐링] ^^#11위^^ * The Woo (2020)[* [[Pop Smoke]]의 곡에 [[50 Cent]]와 피쳐링] ^^#11위^^ * High Fashion (2020) ^^#20위^^ * Late At Night (2021) ^^#20위^^ === 빌보드 핫 100 21 ~ 50위 === * Numbers (2020)[* [[A Boogie wit da Hoodie]]의 곡에 [[Gunna]], London On Da Track과 피쳐링] ^^#23위^^ * Racks In The Middle (2019)[* [[Nipsey Hussle]]의 곡에 [[Hit-Boy]]와 피쳐링] ^^#26위^^ * Walk Em Down (2020)[* [[NLE Choppa]]의 곡에 피쳐링] ^^#38위^^ * COOLER THAN A BITCH (2020)[* [[Gunna]]의 곡에 피쳐링] ^^#41위^^ == 여담 == * The Box의 가사 중 'If Steelo with me, then he got the blues in the pouch'에서 "Steelo" 가 한국의 前 하스스톤 프로게이머 [[조강현]]이라는 이야기가 여러 커뮤니티에 돌아다녔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2019년 7월 미국의 루이 비통 매장에서 조강현이 마지막 1개 남은 한정판을 로디 리치에게 양보하면서 친분을 맺었고, 그 답례로 노래 가사에 이름을 넣어준 것이라는 그럴싸한(...) 스토리까지 붙어 있는데, 이 'Steelo'는 조강현이 아닌 미국에서 스타일을 뜻하는 속어이다[* 로디의 친구라는 설도 있다]. 조강현이 미국에 방문한 것은 2019년이기 때문에 시기 상으로 맞지 않다. 참고로 'blues in the pouch'는 마약성 진통제이자 마약으로 자주 오용되는 옥시코돈을 의미하기도 하므로 --저 가사의 Steelo가 조강현이 맞고 가사 내용이 사실이라면 조강현은 은팔찌를 찰 수도 있다-- 해당 글은 더더욱 사실이 아니다. * 작년 최대 화두로 떠오른 래퍼 [[Lil Nas X]]와 닮았다. 키 작고 화난 릴 나스 엑스 느낌이다. ROCKSTAR에서 함께한 [[DaBaby]]와도 닮았는데, [[https://youtu.be/FAvqKpYLbew|어떤 팬이 DaBaby를 Roddy Ricch로 혼동한 적이 있을 정도.]][* 해당 영상에선 [[DaBaby]]가 팬에게 자신의 좋아하는 노래 하나를 말해보라고 하자, 팬은 [[The Box]]...를 부른 사람이 맞냐고 한다. 다만 그 영상은 관계자와 짜고한 영상이라고 한다.] * 2021년 2월 21일, 42 Dugg와 함께 [[https://www.instagram.com/p/CLk3-C3sXCa/?igshid=gwexvd188wv4|뮤직비디오를 촬영하다 현장에서 총격이 일어났다는 루머가 일고 있다.]] 3명이 현재[* 2월 21일 기준.]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있다.[* [[https://www.google.com/amp/s/www.revolt.tv/platform/amp/news/2021/2/21/22294710/42-dogg-roddy-ricch-shooting|다행히도 두 래퍼 모두 안전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