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Roland)] [include(틀:Roland 신디사이저)] [목차] == 개요 == 1980년대 생산된 [[Roland]]의 [[신디사이저]] 시리즈. 신디사이저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넘어가던 과도기 시기에 출시된 시리즈로, 이후 Roland가 디지털 신디사이저에 집중하면서, 2015년 아날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구조의 JD-Xi가 나오기 전까지 Roland의 마지막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시리즈이다. 특징이라면 악기 자체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거의 노브가 없고 버튼식으로 제작되었고, 에디팅을 위한 노브가 달린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따로 별도로 연결해서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 모델 목록 == === 1980년대 생산모델 === ==== JX3P ==== [[파일:Roland JX3P.png]] 1983년 출시. JUPITER-6와 함께 Roland 최초로 MIDI 규격을 탑재시킨 신디사이저이다. 에디팅을 위한 전용 컨트롤 인터페이스인 PG-200가 별매로 있고, 내부적으로 [[Roland/JUNO시리즈]]와 유사한 면이 많다고 한다. 모듈러 버전으로 MKS-30 Planet-S가 있다. ==== JX8P ==== [[파일:Roland JX8P.png]] 1985년 출시. 가격은 228,000엔. 61건반. 전용 컨트롤 인터페이스로 PG-800가 있다. 당시 크게 주목을 받았던 디지털 FM 방식의 야마하 DX-7에 위세에 불구하고 나름 많이 생산된 신디사이저로, 기본적으로 아날로그 감산 합성 방식을 사용한다. 뱅크 2개의 각각 32개의 내장 사운드가 탑재되어 있고, 기본 내장 사운드는 사운드 디자이너 에릭 펄싱[* 이후 Roland의 D50, JD800, JV, XV 시리즈, JP8000의 사운드 디자인을 맡았다가 훗날 Omnisphere, Keyscape로 유명한 가상악기 제조사 Spectrasonics를 창립하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과 단 데수자가 디자인 했다. ==== JX10(Super JX) ==== [[파일:Roland JX10.png]] 1986년 출시. 가격은 298,000엔. 76건반. JX8P 처럼 전용 컨트롤 인터페이스로 PG-800를 사용한다. JX8P의 후속 모델이자, JX시리즈중 최상급 모델이다. 64개의 패치 메모리가 있으며, 같은 해 출시한 사운드 모듈러 MKS-70가 있다. 다만 일부 모델에 미디나 디스플레이에 결함이 있었다고 한다. JX8P와 마찬가지로 에릭 펄싱과 단 데수자가 기본 사운드 디자인을 담당했다. === 1990년대 생산 모델(파생형) === ==== JX1 ==== [[파일:Roland JX1.png]] 1991년 출시. 파생형. PCM 샘플 기반이다. ==== JX305 ==== [[파일:Roland JX305.png]] 1998년 출시. 그루브 박스[[http://en.m.wikipedia.org/wiki/Roland_MC-505|MC-505]]에 건반형. == 사용 뮤지션 == ※ ㄱ-ㅎ/A-Z 순서로 작성 * 닉 로즈([[듀란 듀란]]) : JX10 * [[더 큐어]] : JX8P/JX10 * [[리처드 라이트(음악가)|리처드 라이트]]([[핑크 플로이드]]) : JX10 * [[반젤리스]] : JX8P/JX10 * [[엘튼 존]] : JX8P * [[장 미셸 자르]] : JX8P/JX10 * [[탠저린 드림]] : JX8P/JX10 * 퓨처 사운드 오브 런던 : JX3P * [[Europe(밴드)]] : JX8P * [[KISS(밴드)]] : JX10 [[분류:Roland]][[분류:신디사이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