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odel 76}}}'''[br]''Smith & Wesson Model 76''[br]''스미스 & 웨슨 모델 76''}}}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칼 구스타프/Smith_Wesson_M76.jpg|width=100%]]}}}|| || '''종류''' ||[[기관단총]] ||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67년]]~[[1974년]] || || '''생산''' ||[[스미스 & 웨슨]] || || '''생산년도''' ||[[1967년]]~[[1974년]] ||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 '''사용된 전쟁''' ||[[베트남 전쟁]] || ||<-2> {{{#White '''기종'''}}} || || '''원형''' ||[[칼 구스타프 m/45]] || || '''파생형''' ||MK760[br]M76A1 || ||<-2> {{{#White '''제원'''}}} || || '''탄약''' ||[[9×19mm 파라벨룸]] || || '''급탄''' ||14, 24, 36발짜리 막대탄창 || || '''작동방식''' ||[[블로우백]] || || '''총열길이''' ||200mm || || '''전장''' ||570mm(개머리판 제외)[br]775mm(전체길이) || || '''중량''' ||3.29kg(비장전시)[br]3.97kg(장전시) || || '''발사속도''' ||720RPM || || '''유효사거리''' ||2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Bsq8Orsjb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M3y6H8833M)]}}} || ||<-2> [[Forgotten Weapons]]의 리뷰 및 사격 영상 || M76은 [[칼 구스타프 m/45]]를 복제한 [[스미스 & 웨슨]] 사의 기관단총이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wedish-k_usa 0.jpg|width=100%]]}}} || ||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Soldier_with_Carl_Gustaf_SMG_DA-SN-83-09169.JPEG|1982년]] [[미합중국 육군]] [[제75레인저연대#베트남 전쟁 시절의 레인저 부대|제75레인저보병연대원]]의 m/45''' || [[베트남 전쟁]]에서 수많은 비밀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던 [[MACV-SOG|베트남군사원조사령부 특수작전단(MACV-SOG)]]에서는 침투 정찰 임무 중의 [[CQB|근접전투]]에 대비한 갖가지 [[기관단총]]이 쓰이고 있었는데, 이중에는 당시의 표준 권총 탄약인 [[.45 ACP]] 대신 [[9×19mm 파라벨룸]]이 장탄되면서도 [[스웨덴]], [[이집트]], [[인도네시아]] 셋 중에서 만들어져 만에 하나 [[노획]]되더라도 [[미국]]이 연관된 사실을 감출 수 있는 이른바 [[멸균]] 무기 중 하나인 [[칼 구스타프 m/45]] 사용을 선호했다. 뿐만 아니라 빠른 배수 기능을 갖추고 있어 물 바깥으로 나온 직후에도 바로 사격이 가능했기 때문에 [[미합중국 해군]] [[네이비 씰]] 역시 별도의 [[소음기]]를 도입할 정도로 이를 신뢰했으나, 언론에 이를 소지한 모습이 전세계에 노출되면서 [[베트남 전쟁]]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던 [[스웨덴]]은 1966년에 수출을 중단시켜 버렸다. 그래서 '''비공식적으로''' 운용하려는 [[미군]]에서는 자국 총기 회사들에게 입찰을 유도했으며, 이에 S&W가 참여 하기로 한다. S&W는 유명한 총기 회사였기는 하지만 그 명성이 [[리볼버]]에 국한 되어 있던 까닭에, 당시에 이미 '''구식'''이미지가 있었다. 또한 민수용 총기만 팔던 총기 회사에게 군용 총기를 납품한다는 것은 회사 이미지가 진일보 하는 동시에, 대량납품처를 확보할수 있고, 이미 m/45의 설계가 있기 때문에 만들기만 하면 되는 상황으로 S&W로써는 이보다 더 좋은 기회는 없었다. 원본인 m/45와의 차이점은 m/45 후기형에 사용된 더블스택 탄창에만 호환성이 있도록 삽입구를 만들고, 노리쇠 고정홈을 없애고, 반자동 조정간을 추가한 수준으로, 큰 틀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완성된 실총은 원본인 스웨디시 K와 마찬가지로 연사 속도가 적절하고 반동 제어도 잘 되고 내구성도 좋은 무난한 9mm 기관단총이었다. 그런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76-early_usmc 0.jpg|width=100%]]}}} || || '''사격 중의 [[https://smallarmsreview.com/the-seal-submachine-switch/|초기형]] M76''' || 세상사가 생각처럼 되는 것은 아니기에, 단순한 복제에서 벗어나 경량화를 위해 총몸의 소재가 [[알루미늄 합금]]으로 바뀐다거나 무탄피 탄약 실험 등이 추가되면서 실제 양산 준비가 끝나갈 즈음에는 [[베트남 전쟁]]에서의 철수가 거론되며 수요가 급감한 [[미합중국 해군]]에서의 구매 수량은 수천정에 그치고 말았다. 군용으로는 애매해진 M76은 결국 [[미국의 경찰제도|경찰]]과 민간인을 상대로 한 판촉으로 옮겨졌지만, 그리 잘 팔리지 못했기에 1974년에 6,100정 생산을 끝으로 결국 단종되고 말았다. 그 이후 [[스미스 & 웨슨]] 사가 아닌 다른 회사에서 저가의 복제품들이 대거 만들어져 자동사격이 가능한 MK760 등의 기종들은 영화 촬영용 소품총기로[* 그냥 총알 뿌리는 수준으로만 필요한 고증을 따지지 않는 영화에 자주 등장했다.] 많이 사용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76_seals 0.webp|width=100%]]}}} || || '''M76을 소지한 [[네이비 씰]] [[https://www.reddit.com/r/MilitaryPorn/comments/2vw76r/seal_team_one_member_with_a_smith_wesson_m76_in/|대원]]''' || [[미국]] [[샌디에이고]] [[https://en.wikipedia.org/wiki/Naval_Amphibious_Base_Coronado|코로나도 기지]]에 주둔한 [[미합중국 해군]] [[네이비 씰]] 제1팀에서는 [[H&K MP5-N|MP5-N]]이 도입되는 1984년까지 M76을 계속 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소모되는 부품 조달을 위해 [[스미스 & 웨슨]] 사가 아닌 복제품인 [[https://smallarmsreview.com/the-semi-auto-mk-760/|MK760]]을 내놓은 MK 암즈 사와의 계약이 체결되기도 했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76-barrel.jpg|width=100%]]}}} || || '''M76의 [[총열]]을 둘러싼 원통형 방열판''' || 태생부터 [[칼 구스타프 m/45]] 설계에서 비롯된 만큼 [[총열]]을 감싼 방열판과 U자형 접이식[* 접는 방향은 왼쪽으로 바뀌었다.] [[개머리판]]을 갖춘 외형적인 특징은 물론, [[오픈 볼트]] 방식의 [[노리쇠]]로 작동하는 [[노리쇠#단순 블로우백|단순 블로우 백]]을 따르는 것까지 동일하며 상자형 [[탄창]]도 그대로 호환된다. 그외에는 주요 소비자인 [[미합중국 해군]]의 요청에 따라 당대에 보기 힘든 양면 연동형 조정간이 달려 안전 상태와 반자동 발사 변경도 가능하다. 이음매 없는 [[파이프]]에 전기 용접으로 접합된 총몸은 대량 생산에 유리한 반면, 총열이 고정되는 부위가 원본에 비해 단단하지 않아 분해 및 조립후 [[영거리 사격|영점]]이 벌어진다거나 연발 사격 시의 명중률이 나빠지는 단점도 뒤따랐다. == 종류 == === M7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76(caseless)_right 0.jpg|width=100%]]}}} || || '''M76 (X219)''' || 1966년 [[미합중국 해군]]에서의 발주를 받고 제작된 X185~219 일련 번호의 실험용(Experimental) 샘플. 이중 X188과 X210~218은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 소재의 총몸으로 바뀌었지만 내구성이 좋지 못해 폐기되었다. X186과 X219의 총몸 아래에는 전기 격발 용도의 30볼트 [[전지(장치)|배터리]]가 달리는 개조가 가해지기도 했는데, 성능 자체는 의외로 무난했지만 여기에 쓰인 무탄피 탄약이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 때문에 결국 중단되어 1967년의 시연을 끝으로 [[스프링필드 조병창]] 박물관에 모셔져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76(t1235)_right 0.jpg|width=100%]]}}} || || '''M76 (T1235)''' || 1967년 실사격 평가에 쓰인 T1111~1120 일련 번호의 연구개발부 공작실(Tool Room) 검수품. 초기에 [[탄창]]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생기는 급탄 불량 증상은 삽입구에 U자형 강철 조각이 덧대여져 해결되었으며 접이식 [[개머리판]]이나 [[총검]] 꽂이 등과 같은 다양한 외장 부품 적용이 시도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76(u1780)_right 0.png|width=100%]]}}} || || '''M76 (U1780)''' || U101~6100 일련 번호로 1974년까지 생산된 양산형. 특이하게도 선행 제작된 6정에는 여섯자리의 U001001~001006 일련 번호가 붙어졌다. === Mk.24 Mod.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k24mod0_left 0.jpg|width=100%]]}}} || || '''[[소음기]]가 부착된 [[https://smallarmsreview.com/the-seal-submachine-switch/|Mk.24 Mod.0]]''' || [[미합중국]] [[네이비 씰]]의 요청에 따른 특수작전용. 미합중국 해군의 [[미군/장비/명명규칙|마크/모드]] 제식명과 더불어 국가재고번호 [[https://www.nsnlookup.com/fsg-10/fsc-1005/us/1005-01-013-6050-submachine-gun-millimeter-1005010136050-010136050-2663066|1005-01-013-6050]]로 등록되었으며, [[총열]]을 대신하는 일체형 [[소음기]]가 함께 도입되었다. === MK76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k760_right 2.jpg|width=100%]]}}} || || '''[[https://www.rockislandauction.com/detail/88/362/mk-arms-mk760-class-iiinfa-fully-transferable-machine-gun|MK760]]''' || 마이크 러플링어(Mike Ruplinger)와 케네스 도미닉(Kenneth Dominick)이 함께 창립한 MK 암즈 사의 복제품. 기존의 M76 저작권을 사들였기 때문에 합법적인 생산과 판매가 가능했지만 민간인의 완자동화기 구입을 막는 1986년의 [[https://en.wikipedia.org/wiki/Firearm_Owners_Protection_Act|총기 소유자 보호법(FOPA)]]과 [[오픈 볼트]] 설계 규정을 위반했다는 [[ATF|미합중국 주류담배화기관리국]]의 철퇴를 맞아 1989년의 [[도산]] 끝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후 케네스 도미닉이 따로 세운 글로벌 암즈(Global) 및 써던 툴(Southern Tool) 사에서 또다른 복제품인 M76A1을 내놓았다. === 스템플 76/45, STG-7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emple45_right 0.jpg|width=100%]]}}} || || '''[[http://modernfirearms.net/en/submachine-guns/u-s-a-submachine-guns/stemple-7645-stg-76-eng/|스템플 76/45]]''' || 상표명에 설계자인 존 스템플(John Stemple)의 성씨가 붙여진 [[.45 ACP]] 탄약 호환 복제품. ATF의 기소를 피하려는 목적으로 지인들에게 양도했던 총몸 900개를 뒤늦게 회수한 다음 브라이언 폴링(BRP) 사에 제조를 의뢰하여 STG-76 원판과 함께 [[KP/-31]]이나 [[톰슨 기관단총]] 등의 잉여 부품들이 조합된 하위 파생형 제작이 시도되기도 했다. === SW76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w760_right 0.jpg|width=100%]]}}} || || '''[[https://www.proxibid.com/Guns-Military-Artifacts/Rifles/SPECIAL-WEAPONS-MODEL-SW760-9mm-SEMI-AUTO-RIFLE/lotInformation/57588128|SW760]]''' || [[https://www.rockislandauction.com/detail/58/1946/special-weapons-model-sw760-semiautomatic-carbine|2001년]] 스페셜 웨폰즈 컴퍼니 사의 복제품. 민수 시장 공략을 위해 16인치 [[총열]]이 달리면서 전장이 길어졌다. === 오메가 760, SW7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w76_right 0.jpg|width=100%]]}}} || || '''[[https://smallarmsreview.com/options-for-the-submachine-gun-buyer/|SW76]]''' || 2001년 택티컬 웨폰즈 컴퍼니(Tactical Weapons Company) 사의 복제품. 민수 시장에 [[카빈]]으로 어필했으나, 판매량이 저조하여 단기간에 단종되었다. 스템플 45/76 총몸 100개를 보유한 짐 버제스(Jim Burgess)와 텍티컬 웨폰즈 컴퍼니 사의 협상을 거쳐 오메가 760의 부품이 섞인 SW76으로 다시 살아나기도 했다. 대부분의 부품이 호환되지만 강도 문제로 재설계된 탄피 추출기로 인해 [[노리쇠]]만큼은 해당되지 않는다. == 등장 매체 == === 영화 === * [[https://www.imfdb.org/wiki/The_Omega_Man#Smith_.26_Wesson_M76|오메가 맨(The Omega Man, 1971)]] * 탐정 2인조(Hickey & Boggs, 1972) * 겟 어웨이(The Getaway, 1972) * 프라임 컷(Prime Cut, 1972) * 비련의 110번가(Across 110th Street, 1972) * [[샤프트(영화)#2편|샤프트 2(Shaft's Big Score!, 1972)]] * 스톤 킬러(The Stone Killer, 1973) * 클레오파트라 존스(Cleopatra Jones, 1973) * 래핑 폴리스맨(The Laughing Policeman, 1973) * [[더티 해리#더티 해리 2: 이것이 법이다|더티 해리 2: 이것이 법이다(Magnum Force, 1973)]] * 워킹 톨(Walking Tall, 1973) *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D%95%98%EC%9D%98_%ED%95%98%EC%9D%B4%EC%A0%9D%ED%82%B9|지하의 하이젝킹(The Taking of Pelham One Two Three, 1974)]] * 마제스틱(Mr. Majestyk, 1974) * 쿤스킨(Coonskin, 1974) * 뜨거운 오후(Dog Day Afternoon, 1975) * 브레이크아웃(Breakout, 1975) * 빈 방의 그림자(Shadows in an Empty Room, 1976) * 원 웨이 티켓(The Gauntlet, 1977) * 블랙 썬데이(Black Sunday, 1977) * 파워 플레이(Power Play, 1978) * 생존자들(The Survivors, 1983) * 익스터미네이터 2 (Exterminator 2, 1984) * 매드 헌터(Invasion USA, 1985) * 유쾌한 은행털이(Hold-Up, 1985) * 마이애미 슈퍼캅(Miami Supercops, 1985) * 공모 지대(Band of the Hand, 1985) * [[라스트 액션 히어로|라스트 액션 히어로(Last Action Hero, 1993)]] - 후반부에 엑스트라가 M76을 사용한다. * 할로우 포인트(Hollow Point, 1996) * 위 오운 더 나잇(We Own the Night, 2007) * 스트리트 킹(Street Kings, 2008) * [[다크 나이트(영화)|다크 나이트(The Dark Knight, 2008)]] - [[조커(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조커]]가 트럭이 거꾸로 전복되고 나서, 빠져나와 배트포드를 타고 돌진해오는 배트맨을 향해 M76을 난사한다. * 블랙 다이너마이트(Black Dynamite, 2009) * 엘리펀트 화이트(Elephant White, 2010) * 시너스 앤 세인츠(Sinners and Saints, 2010) *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Sicario, 2015)]] === 드라마 === * 스타스키와 허치(Starsky and Hutch, 1975) * [[마이애미 바이스|마이애미 바이스(Miami Vice, 1985~1986)]] * [[The A-Team|A-특공대(The A-Team, 1984~1989)]] * [[머나먼 정글|머나먼 정글(Tour of Duty, 1989~1990)]] * [[Hawaii Five-O#리메이크작|5-0 수사대(Hawaii Five-0, 2012~2013)]] === 게임 === * [[마피아 3]]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베트남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베트남전/월남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각주] [[분류:기관단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S&W]][[분류:1967년 출시]][[분류:1974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