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303e8cbfa198ff6cdae741af7c1fb1bc.png|align=right]] [목차] [clearfix] == 개요 == '''S.M.A.R.T.'''(Self-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 자가 진단, 분석, 보고 기술)는 [[HDD]], [[SSD]]의 신뢰성을 검사하여 잠재적인 실패 가능성을 진단, 보고하는 감시 체계이다. S.M.A.R.T.가 실패를 예측하여 사용자는 드라이브를 교체함으로써 예기치 않은 과전압 문제나 데이터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제조업체는 S.M.A.R.T. 데이터를 이용하여 문제 여부를 발견하고 추후 드라이브 설계시 참고하여 이를 예방할 수 있다. == HDD 오류의 원인 == 하드 디스크 실패는 두 가지 가운데 하나에 기인한다. 1.저장소 표면의 기계적 마모, 점진적 감손과 같은 느린 처리로 인한 예측할 수 있는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모니터링을 통해 이러한 실패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1.아무런 경고 없이 예측할 수 없는 실패가 갑자기 일어날 수 있다. 전자 부품의 결함에서부터 갑작스런 기계적 실패[* 좋지 못한 관리로 인한 가능성.]에 이르기까지 범위는 다양하다. == 검사 항목 == SMART 정보는 하드 디스크 검사 유틸리티를 이용해 간편하게 볼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자신의 하드디스크 또는 SSD가 어떤 상태인지를 짐작해볼 수 있다. 아래는 몇몇 중요한 내용들. 유틸리티에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으면 보통 '원시 값'으로 나타나는 값을 읽으면 된다. 특히 아래 내용 중에서 05, C4 값이 높게 나온다면 즉시 데이터를 [[백업]]부터 하는 것이 좋다. 자세한 내용은 [[배드섹터]] 참고. || 번호 || 값[* 한글 명칭은 Crystal Disk Info 기준으로 작성] || 설명 || || 03 || Spin-Up Time [br] (RPM 최고 속도 도달 평균 시간) || 하드디스크가 멈춘 상태에서 동작 속도로 회전하기까지 걸린 시간. 밀리초 단위이므로 1000 = 1초이다. || || 09 || Power-On Hours [br] (사용 시간) || 사용한 총 시간. 시간 단위이다. || || 05 || Reallocated Sectors Count [br] (재할당된 섹터 수) || 파손되었거나 인식 불량인 섹터의 개수, 곧 '''[[배드섹터]]'''를 의미한다. 이 숫자가 0이 아니면 빨리 하드 디스크(SSD의 경우도 해당)를 교체하는 것이 좋다. || || 0A || Spin Retry Count [br] (스핀들 모터 재시동 횟수) || 하드 디스크의 모터가 구동되는 데 실패하여 재시동한 횟수. 이 숫자가 올라가면 하드디스크에 기계적인 이상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다. || || 0C || Power Cycle Count [br] 사용 횟수 || 전원이 들어왔다가 나간 총 횟수. || || BF || G-sense Error Rate [br] (G-감지 오류율) || 갑작스러운 충격이 가해져 센서가 인식한 횟수. || || C2 || Temperature [br] (온도) || 현재 온도. || || C4 || Reallocation Event Count [br] 재할당 이벤트 수 || 불량 섹터를 여분으로 마련된 공간으로 대체하고 데이터를 옮기는 작업을 행한 횟수. 마찬가지로 '''배드섹터'''를 의미한다. || || C5 || Current Pending Sector Count [br] 보류 중인 섹터 수 || 불안정한 섹터의 개수. 아직 배드 섹터라고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가능성이 있는 것들의 수이다. 추후에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읽히면 정상 섹터로 판정되고 값이 감소한다. 그러나 오류가 지속되는 경우 이 부분은 배드 섹터가 되고, 위의 재할당 작업이 일어난다. || == 관련 문서 == * [[배드 섹터]] * [[CrystalDiskInfo]] [[분류: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