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AGS[br]'''{{{+4 S12 쉐이드}}}'''[br]'''S12 Shade''' || ||<-4> [[파일:LOShade.png|width=70%&align=center]] || || '''번호''' || 072 ||<|2> '''등급''' ||<|2> [[파일:SRankRoleNuker.png|width=100]] || || '''부대''' || [[버뮤다 팀|[[파일:UI_TeamIcon_TeamBermuda_cr.png|width=100]][br]'''{{{#ffffff {{{+3 버뮤다 팀}}}}}}''']] || || '''기업''' || 블랙 리버 || '''타입''' || 경장형 || || '''제조사''' || 블랙 리버 || '''역할''' || 공격기 || || '''최초 제조지''' || 한국 || '''전고''' || 2.3m || || '''Class''' || Assassin || '''중량''' || 0.75t || || '''무장''' || Diablos 6 Hand Cannon / Arm Blade || '''성우''' || - || || '''아이콘''' || [[파일:S12 쉐이드 아이콘.png|width=100]] || '''일러스트''' || [[라스트오리진/스태프#s-3.1.2|메카셔군]] || >당신은 1급 기밀 정보에 접근하고 있습니다. >정체성 광왜곡형 AI 쉐이드. >임무, 비밀 파괴 임무. >민간 생산 제한 되어 있음. >전투에 투입된 정보… 삭제됨. >[[철충]]과의 교전에서 통상 [[철충#s-4|연결체]] 파괴 임무 수행 중. [목차] == 개요 == 모바일게임 [[라스트오리진]]에 등장하는 [[버뮤다 팀]] 소속의 S급 [[라스트오리진/전투원/경장형 공격기|경장형 공격기]] [[AGS]] 성우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히야마 노부유키]]. == 상세 == 2019년 3월 7일 패치로 [[마법소녀 매지컬 모모]]와 함께 등장한 라스트오리진 최초의 신규 캐릭터. 비밀 파괴 작전을 위해서 [[광학미채]]를 통한 은폐 기능을 탑재한 모델이라는 설정이다. [[F-117]] 스텔스 전투기를 연상시키는 각지고 뾰족뾰족한 외형을 하고 있다. 얼마 없는 도감 설명에 따르면 정보 자체가 1급 기밀인 모양이며, 민간의 생산이 제한된 모델이라고 한다. 철충과의 교전에서는 철충 연결체를 잡기 위해 투입되고 있다고. 아예 손이 달려있지 않은 형태도 많은 AGS들과 달리 제대로 양손이 달린 형태를 하고 있지만, 정작 손에 들어서 장비하는 타입의 무장은 전혀 없고 팔에 탑재된 내장형 무기만으로 전투를 수행한다. 양팔에는 [[히트 병기|고열을 일으켜서 적을 절삭하는 접이식 히트 블레이드]]와 기관포가 탑재되어 있다. 이 기관포는 손목에 달린 형태인데, 발사시 손을 안쪽으로 꺾여서 포구를 방해하지 않는 상태로 만든 뒤 사격한다. 다리는 S25 스파르탄 시리즈([[S25 스파르탄 캡틴]], [[S25A 스파르탄 어썰트]], [[S25B 스파르탄 부머]])와 같은 2중 [[역관절]] 구조인데, [[허벅지]]가 아주 짧아서 얼핏 보기에는 허벅지가 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기 때문에 2중 역관절 구조인 지를 한 눈에 파악하기가 다소 힘든 스파르탄 계열기들과는 달리 이쪽은 허벅지가 강조되어 있기 때문에 2중 역관절 구조의 다리임을 파악하기가 쉽다. 도감 코멘트에서 꽤나 상세하게 자기소개를 하고 있는 다른 바이오로이드나 AGS와는 달리, 쉐이드는 [[블랙 옵스|비밀 작전]]에만 투입되는 기체라는 설정을 살리기 위한 것인지, 극도로 짧은 단답형 문장으로 6줄이 서술된게 도감 서술의 전부이다. 사실 AGS 중에는 인공지능 로봇이라는 특성을 살려서 요점만 말하는 간결한 어체로 짧게 서술된 캐릭터가 많은 편이지만, 개중에서도 쉐이드의 도감 설명은 독보적으로 짧다. 게임 내에서 도감 설명이 짧기로는 최상위권에 위치할 정도이다. 업데이트로 같이 추가된 모모가 독특한 캐릭터성을 바탕으로 꽤 주목받으면서 성공적으로 인기를 얻으며 안착한 것과 달리, S급 이상 AGS의 특성상 제작하려면 기나긴 연구와 고급 소모품 재료 수집을 뚫여야 하는데다 드랍되는 지역도 없기에 획득의 진입 장벽이 매우 높은 점, 성능상의 대체재인 발키리가 이미 존재한다는 점을 비롯한 여러가지 요소가 겹쳐서 정말 유저들의 관심이 없다.[* 심지어 중압감이 있는 메카닉들 사이에서 유일무이했던 날렵한 디자인을 과시했었지만 리오보로스의 유산 업데이트에서 로크가 추가되면서 이쪽면에서도 존재감이 없어졌다. 심지어 로크는 스토리모드 클리어시 하나를 확정으로 준다.] --현실 스텔스-- 물론 같은 라인인 기간테스와 비교하자면 적은 확률로 드랍이라도 되는 기간테스와 달리 등급은 S급이지만, 오로지 순수 생산으로만 얻을 수 있는 메카닉. 단 기간테스에 비해 제작 재료의 부담이 적다. 코어링크와 강화만 잘해준다면 압도적인 회피력과 2스킬의 똥파워로 혼자 무쌍을 찍을 수도 있다. 외형도 하반신이 부스터인 [[HQ1 알바트로스|알바트로스]]와는 달리 이족보행병기에 멋있는 외형이라 부관용으로 하나정도 뽑는 사령관들도 있다. 또한 S등급 전투원이고 제작에 모듈이 들어가지 않는 다는 점에 착안해 '''해체를 통해 고급, 특수 모듈을 얻는 재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실제로 대량 제작을 하는데 부담이 될만한 재료는 시작형 파츠 25개 정도로서, 나머지는 그냥 오토런을 돌다보면 모이는 수준. 그에 비해 전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A급 이상의 전투원이 나올 확률은 낮은 편이라서 드랍으로 고급&특수 모듈 1개를 얻는 건 쉬운 일이 아니지만, 연구를 끝냈다는 전제 하에 들어가는 자원과 재료 아이템의 필요량도 비교적 저렴하고 난이도도 쉬운 편에 속한다. 쉐이드 제작에 필요한 로봇연구가 좀 많기는 하지만, 끝낸 시점에서 쉐이드를 만들고 해체 하면 확정으로 고급 모듈을 어느정도 받을 수 있고 특수 모듈을 쉐이드 하나 당 하나씩 확정으로 뽑는 게 가능 하다는 것은 특수 모듈이 많이 필요한 시점에서 큰 도움이 된다. 물론 이건 개조 전의 평가들이며, 개조 후에는 명실상부한 화염 속성 주력 딜러 중 하나로 기용될 정도로 성능이 대폭 상승했다. 별 의미 없는 거긴하지만 현재까지 유일하게 도감 번호가 두자리안에 들어가는 AGS면서 유일하게 공식카페에 캐릭터 소개가 없다. 여담으로 일본서버에서 '''마름모 로봇'''이라 불리며 기묘한 인기를 누리고 있는 AGS. 공식 트위터 9만 팔로워 달성 기념으로 전 유저에게 쉐이드를 배포했는데, 사양이 한국서버 패치 이후 기준이었기에 당시 [[낙원으로부터 온 초대장]]을 앞두고 있던 일본서버 기준으로는 명백한 오버스펙의 성능이었기 때문. 아니나다를까 이벤트에서 맹활약을 해 '''[[터미네이터|미래에서 온 살육기계(...)]]''' 취급을 받았다. == 작중행적 == === 멸망 전의 어느 기록 === 14화에서 미국의 AGS로 등장했지만 [[스카디(라스트오리진)|스카디]]와 함께 [[백악관]]에 침입, 미국의 재무장관과 대통령을 뺀 나머지 일원을 살해하며 대통령을 위협한다. [[https://arca.live/b/lastorigin/27607754|이전에는 알바트로스가 쉐이드를 인지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정부의 쉐이드가 침투한 스카디에게 해킹당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실제론 스카디와 함께 침투했다고 한다.]] === 제7구역 === 7-4Ex에서 [[콘스탄챠]]가 공장에서 약품을 구하기 위한 잠입 요원으로서 [[AL 팬텀]]과 함께 소집하는 것으로 등장하는데, 팬텀과는 같은 팀에 속해있는데도 이 시점에서 처음으로 대면한다. 여기서 보이는 모습은 합리성을 극도로 중시하는 전형적인 로봇으로, 팬텀이 같은 팀에 같은 임무를 맡게 됐으니 취미활동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대화라도 트려는 것을 "취미활동같은 비생산적인 행동은 하지 않는다"면서 거부하여 팬텀을 망연자실하게 만드나, 곧이어 함께 훈련하는 '생산적인' 업무를 할 것을 제안하고, 팬텀은 화색이 되어 이를 받아들인다. 실질적으로 팬텀이 첫 번째로 사귄 친구인 셈(...). === [[요정 마을의 아리아]] === 1지역 1스테이지 스토리에서 사령관의 선택에 따라 잠깐 조연으로 등장. 탑돌이 업그레이드 키트 대신 잠시 기다리라는 선택지를 고르면 토미워커와 함께 그렘린 작업의 보조로 동원된다. 2구역 사이드 스토리에서 잠깐 등장. [[T-9 그렘린|그렘린]]과 [[토미 워커]]가 로버트 산하의 AGS들에 맞서 사투를 벌이는 것을 돕는 것으로 등장했다. 그렘린이 대화 상대를 위해 메모리를 보강한 토미 워커의 사고 및 언어 구사 능력이 이상할 정도로 뛰어난 것을 지적하며 스스로 정비를 받아보라고 권하는 등 본의 아니게 만담을(...) 하기도 한다. 스크립트 상의 묘사에 따르면 순식간에 히트 블레이드로 적들을 쓸어버리는 등 실력은 검증되어있는 모양. === [[낙원으로부터 온 초대장]] === 2구역 후반부에서 잠깐 등장. 직접 출연하는 것은 아니고 [[메리(라스트오리진)|메리]]가 그려낸 환상으로 등장한다. 이때 메리는 쉐이드의 모습을 모르는 탓에 본래의 쉐이드와는 다르게 근처에 있던 [[CT66 램파트|램파리온]]과 비슷한 매우 자연스러운 말투로 '''하하하'''[* 이 '''하하하''' 밈은 웨히히 작가가 [[https://cjrb1228.postype.com/post/6978215|공식 연재 이전 작품]]에서 만들어낸 밈이다.]거리며 [[AL 팬텀]]을 설득하여 세뇌에서 벗어나게 한다. == 성능 == [[파일:S12_쉐이드_상세정보.pn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4>
'''성능''' || || '''공격력''' || '''방어력''' || '''속도''' || '''지구력''' || || A || C || C+ || C+ || ||<-2> '''공격 빈도''' ||<-2> '''보조 능력''' || ||<-2> A+ ||<-2> C || ||<-4> '''기본 능력치(100렙 풀링크 능력치)''' || || '''체력''' || 229(5509) || '''전투력''' || 219(5939) || || '''공격력''' || 70(2058) || '''치명타''' || 7%(17%) || || '''방어력''' || 12(181) || '''적중률''' || 135% || || '''행동력''' || 4.05 || '''회피율''' || 28.8% || ||<-4> '''운영 비용(코어링크 당)''' || || '''부품''' ||<-3> 26 / 29 / 32 / 36 / 41 / {{{#orange '''47'''}}} || || '''영양''' ||<-3> 0 / 0 / 0 / 0 / 0 / {{{#lightgreen '''0'''}}} || || '''전력''' ||<-3> 22 / 24 / 27 / 30 / 34 / {{{#skyblue '''39'''}}} || ||<-4> '''장비 슬롯''' || || '''Lv. 20''' || '''Lv. 40''' || '''Lv. 60''' || '''Lv. 80''' || || OS || 칩 || 칩 || 보조 장비 || ||<-4> '''코어링크 당 보너스''' || || '''HP''' || '''공격력''' || '''치명타''' || '''획득 경험치''' || || +20% || +20% || +2% || +4% || ||<-4> '''획득 방법''' || || '''제작 시간''' ||<-3> 4시간 20분 || ||<|3> '''제작 재료''' || 500 ||<|3><-2> AI 코어×1[br]양산형 파츠×1,250[br]시작형 파츠×25[br]무장 파츠x500 || || 0 || || 750 || || '''드랍''' ||<-3> - || || '''기타''' ||<-3>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선택 가능한 풀 링크 보너스''' || || 출격 비용 -20% || 스킬 위력 +15% || 사거리+1 || 치명타 +20% || 행동력 +0.1 || }}} ||<-6> {{{#ffffff 스킬}}} || || 분류 || 이름 || 효과 || 사거리 || 소모AP || || 액티브1 || '''연속사격''' || 단일 대상에게 보통 피해를 줍니다(4.1배). 대상이 방어력 감소 상태면 피해량이 증가합니다. || 4 || 4 || || 액티브2 || '''암살''' || 히트 블레이드 근접 공격으로 보호효과를 무시하는 큰(2배) 화염 속성 피해를 줍니다. 치명타 시, 피해량이 증가하며 3라운드 동안 대상의 방어력을 낮춥니다. 해당 효과는 해로운 효과 해제로 해제되지 않습니다. || 2 || 6 || || 패시브1 || '''스텔스[br]코팅''' || 적 공격 시, 2라운드 동안 스텔스 코팅을 전개해 회피가 증가합니다. 회피 증가 효과는 후열에 가까울수록 증가합니다. 동일 효과는 중첩되지 않습니다. || - || - || || 패시브2 || '''공격자[br]삭제''' || 적 공격 회피 시, 반격합니다. 적 처치시, 공격력/치명타가 증가합니다 || - || - || === 숙련도 === |액티브 | '''Lv''' || '''연속사격''' ||<-2> '''암살''' || || 1 || 공격력×1.1[br]약점공격 : 피해량+20% || 공격력×2[br]회심의 일격 : 피해량+30%, 방어력-20% || || 2 || 공격력×1.15[br]약점공격 : 피해량+21% || 공격력×2.1[br]회심의 일격 : 피해량+31.5%, 방어력-21% || || 3 || 공격력×1.2[br]약점공격 : 피해량+22% || 공격력×2.2[br]회심의 일격 : 피해량+33%, 방어력-22% || || 4 || 공격력×1.25[br]약점공격 : 피해량+23% || 공격력×2.3[br]회심의 일격 : 피해량+34.5%, 방어력-23% || || 5 || 공격력×1.3[br]약점공격 : 피해량+24% || 공격력×2.4[br]회심의 일격 : 피해량+36%, 방어력-24% || || 6 || 공격력×1.35[br]약점공격 : 피해량+25% || 공격력×2.5[br]회심의 일격 : 피해량+37.5%, 방어력-25% || || 7 || 공격력×1.4[br]약점공격 : 피해량+26% || 공격력×2.6[br]회심의 일격 : 피해량+39%, 방어력-26% || || 8 || 공격력×1.5[br]약점공격 : 피해량+27% || 공격력×2.7[br]회심의 일격 : 피해량+40.5%, 방어력-27% || || 9 || 공격력×1.55[br]약점공격 : 피해량+28% || 공격력×2.8[br]회심의 일격 : 피해량+42%, 방어력-28% || || 10 || 공격력×1.6[br]약점공격 : 피해량+29% || 공격력×2.9[br]회심의 일격 : 피해량+43.5%, 방어력-29% || |패시브|'''Lv''' || '''스텔스 코팅''' || '''공격자 삭제''' || '''-'''[br](SS) || || 1 || 회피+35%(전열)[br] 회피+38%(중열)[br] 회피+41%(후열) || 80% 위력으로 반격[br]공격력+10%(처치 시)[br] 치명타+5%(처치 시) || - || || 2 || 회피+40%(전열[br] 회피+43.5%(중열)[br] 회피+47%(후열) || 85% 위력으로 반격[br]공격력+10.5%(처치 시)[br] 치명타+5.5%(처치 시) || - || || 3 || 회피+45%(전열)[br] 회피+49%(중열)[br] 회피+53%(후열) || 90% 위력으로 반격[br]공격력+11%(처치 시)[br] 치명타+26%(처치 시) || - || || 4 || 회피+50%(전열[br] 회피+54.5%(중열)[br] 회피+59%(후열) || 95% 위력으로 반격[br]공격력+11.5%(처치 시)[br] 치명타+6.5%(처치 시) || - || || 5 || 회피+55%(전열)[br] 회피+60%(중열)[br] 회피+65%(후열) || 100% 위력으로 반격[br]공격력+12%(처치 시)[br] 치명타+7%(처치 시) || - || || 6 || 회피+60%(전열)[br] 회피+65.5%(중열)[br] 회피+71%(후열) || 105% 위력으로 반격[br]공격력+12.5%(처치 시)[br] 치명타+7.5%(처치 시) || - || || 7 || 회피+65%(전열)[br] 회피+71%(중열)[br] 회피+77%(후열) || 110% 위력으로 반격[br]공격력+13%(처치 시)[br] 치명타+8%(처치 시) || - || || 8 || 회피+70%(전열)[br] 회피+76.5%(중열)[br] 회피+83%(후열) || 115% 위력으로 반격[br]공격력+13.5%(처치 시)[br] 치명타+8.5%(처치 시) || - || || 9 || 회피+75%(전열)[br] 회피+82%(중열)[br] 회피+89%(후열) || 120% 위력으로 반격[br]공격력+14%(처치 시)[br] 치명타+9%(처치 시) || - || || 10 || 회피+80%(전열)[br] 회피+87.5%(중열)[br] 회피+95%(후열) || 125% 위력으로 반격[br]공격력+14.5%(처치 시)[br] 치명타+9.5%(처치 시) || - || ===# 패치노트 #=== || 패치노트[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cafe.naver.com/lastorigin/185156|2019.04.08]] - '''S12 쉐이드 : 암살''' 해당 기체의 컨셉에 맞도록 해당 스킬은 보호 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게 조정됩니다. '''목격자? 이제 없군.''' – 이제 해당 스킬은 {{{#009e25 보호 효과를 무시}}}합니다. ---- ####{{{#009e25 버프}}} ####{{{#ff0000 너프}}} ####{{{#7030a0 둘다}}} ||}}} || 2019년 4월 11일 패치에서 2번스킬에 보호무시가 붙어서 발키리와 더욱 유사해졌다.[* 적 1체를 최대한 빠르게 처리해야하는 쉐이드의 특성상 보호라는 변수를 무시하는 것은 굉장한 상향으로 운용부담이 많이 줄었다. 특히 턴이 빠르게 오는 기동형 탱커가 많은 4지역에서의 사용이 많이 편해진 편.] 2019년 4월 25일 패치로 버그가 있으며 첫번째는 반격'''만'''으로 적 처치시 패시브가 켜진다는 것이고 두번째 버그는 반격을 포함한 적 처치시의 패시브가 '''무제한 중첩'''이 된다는 것이다.[* 이론 상으로 패시브 스킬 10렙인 상태로 혼자 9마리의 철충을 3라운드 이내에 잡는다면은 '''160×9=1440%'''의 정신나간 회피율 추가를 보여줄 수 있다.] === 평가 === 연결체 암살용으로 만들어졌다는 설정과 달리 단일 보스급 적을 상대하기는 힘들고 다수의 약한 적을 상대하는 것에 특화되어 있다. 공격 시 받게 되는 회피 보너스를 이용해 적의 공격을 피하고 반격으로 다 잡아내는 구성인데, [[X-00 티아멧]] 출시 이전 거지런 기사로 주로 쓰이던 S등급 [[T-8W 발키리]][* 발키리는 이후 SS 등급 승급이 가능해졌지만, 이하에서 계속해서 언급할 발키리는 S등급 시절의 발키리이다.] 거의 유사한 구성이다. 그러나 발키리에 비해 낮은 성능으로 인기가 없었고, 게임 오픈 후 1년 쯤 지나 발키리마저 한계에 이르러 잘 쓰이지 않게되자 발키리의 하위호환이었던 쉐이드는 더욱 쓰이지 않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라스트오리진 2.0이 출시되어 반격런 자체가 사장되다시피하자 존재감이 아예 사라져버렸다. 이렇게 발키리보다 낮은 평가를 받게 된 이유는, 나름 발키리의 AGS버전으로 쓰이게끔 구성한 스킬셋이 하나같이 발키리보다 떨어지기 때문. 일단 순수 회피력만 놓고 보면, 전열 배치시 4, 후열 배치시 21만큼 쉐이드의 회피가 더 높긴하다. 사실상 전열배치에 있어서는 거의 차이가 없지만, 후열, 최소한 중열에 놓으면 장점이 있는 셈. 그런데 문제는, 후열에 놓으면 적의 후열까지 '''액티브1의 사거리가 닿지 않는다'''는 점. 심지어 액티브2는 액티브1보다도 사거리가 짧기 때문에 반격요원으로 쓰라고 만든 주제에 반격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링크 보너스로든 아이템으로든 사거리 증가가 반강제가 되는데, 이렇게 되면 링크보너스나 아이템 구성에 있어서 발키리보다 손해를 보게 된다. 즉, 그깟 회피 21 높이겠다고 공격력이나 적중, 행동력 중 어느 한 곳에서 구멍이 날 수 밖에 없어 아이템을 빡세게 둘러줘야 하는데, 이 문제를 신경 쓸 필요가 없는 발키리는 원하는대로 아이템을 두를 수 있기에 발키리보다 공격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것. 또한 발키리는 전열에 두기만 하면, 쉐이드가 적 2~3기를 처치해야만 얻을 수 있는 수준의 공격력 버프를 받는다. 물론 발키리를 중열에 놓으면 쉐이드와 딜 수준이 비슷해지겠지만, 발키리를 그렇게 쓸 이유가 전혀 없다. 결국 아이템을 통해서 발키리와 비슷한 수준의 공격력을 갖춰줄 필요성이 더더욱 올라간다. 게다가 발키리는 저격수라는 설정으로 코어링크 보너스로 명중 35%를 받아 버프 포함 적중이 203까지 올라가는 반면, 쉐이드는 기본 적중 135외의 적중력을 올릴 수 있는 버프 수단이 없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망원조준장치나 적중칩을 달거나 아예 처음부터 적중 스탯을 발키리보다 더 많이 투자해야하는 등, 적중력 또한 신경써야 한다. 또한 쉐이드 역시 발키리와 똑같이 공격을 해야만 회피 버프가 생성되면서 회피가 올라가는 형태인데, 공격하기 전에 회피 디버프 공격에 피격되면 발키리와 달리 디버프를 지울 수 있는 수단이 없다. 발키리는 액티브1에 자동으로 회피 디버프가 해제되는 능력이 달려있어 먼저 한두대 맞더라도 위험에서 벗어나 스테이지를 클리어할 수 있는 반면, 쉐이드는 회피 디버프를 해제할 방법이 없어서 한대 맞기 시작하면 계속 맞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발키리가 한두대 얻어맞아가면서 오토런을 돌릴 수 있는 맵이더라도, 쉐이드는 한두대 맞고 + 행동순서가 꼬이고 + 적을 공격하는 순서가 잘못되면서 터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결국 발키리보다 수치상으로는 회피가 높음에도 발키리보다도 신경써서 회피템을 달아줘야 하는 모순이 발생한다거나, 아니면 행동력을 극도로 높여야만 하는 상황까지 일어난다. '''종합하자면, 모든 스킬이 발키리보다 성능과 구성면에서 떨어지는데, 이로 인해 아이템 구성의 유연성에 영향을 미쳐 종합적인 성능이 발키리보다 떨어진다.''' 심지어 스킬 모션까지 구리다. 쉐이드를 써보면 바로 알 수 있겠지만, 액티브1이 제자리에서 쏘고, 달려들어 쏘고, 다시 물러나와 쏘는 세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기에도 갑갑한데 실제로도 발키리보다 미세하게 느리다. 물론 한두 판 정도면 큰 차이가 아니겠으나, 장시간 오토를 돌리면 발키리에 비해 확연히 시간소모가 더 크다. 그렇다면 거지런 요원이 아닌 공격에만 올인한 평범한 스쿼드 딜러로 육성하면 거지런에 쓰라고 달아준 스킬셋이 퓨어딜러로 활용하는 것을 방해한다. 어차피 발키리도 스쿼드 딜러로서는 애매한 스킬셋이긴 하지만, 그래도 패시브1에 공격, 적중, 치명을 올려주는 성능이 달려있어 굳이 딜러로 써먹자면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니다. 그런데 쉐이드는 패시브1, 2 모두 공격 관련 능력치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딜러로서는 패시브가 아예 없다고 해도 무방. 한마디로 스탯만 높은 B등급 내지 A등급 딜러나 마찬기지다. 물론 액티브2의 성능이 뛰어나긴 하지만, 액티브1보다 사정거리가 짧아서 오토로는 써먹을 수 있는 방법이 없고 퓨어딜러 중에 액티브2의 성능이 나쁜 공격기는 아예 없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특별히 스쿼드 요원으로 써먹을 이유가 1도 없는 셈이다. 사실 쉐이드가 발키리와 이렇게까지 비슷해진 것은 19년 9월 27일 밸런스 패치 때문인데, 그 이전까지는 발키리와 다소 다른 스킬 구성이었다. 적을 죽여야 회피버프를 얻는 대신 수치가 160%으로 발키리의 두 배였고 따라서 최대한 빨리 적 하나를 때려잡을 수 있느냐에 따라 활약이 갈리는 딜탱이었던 것. 거기에 [[매지컬 모모]]와 더불어 최초로 업데이트된 캐릭터이자 최초의 경장형 공격기 AGS라는 나름의 의의까지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출시시점과 획득시기. 일단 기존유저들의 경우, 최초로 출시된 전투원들이 만렙을 찍고 있는 시점에서야 출시된 쉐이드를 뒤늦게 활용할 필요성이 적었다. 신규유저의 경우에는, 설계도를 작성한 뒤 직접 만들어야만 얻을 수 있는 쉐이드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졌었다. 그렇더라도 나름 최초 업데이트, 최초 경장공격 AGS라는 상징성 때문인지 제작진이 어떻게든 패치를 통해 살려보려 한 것인데, 오히려 이렇게 스킬을 바꾼 것이 발키리의 하위호환으로 전락하게끔 만들었고 결국에는 쉐이드가 완전히 잊혀지게 만든 결정타가 된 것. 그러나 이렇게 많고많은 단점에도 불구, 장점이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것은 바로 '''영양소모가 0인 유일무이한 거지런 요원이었다는 점'''. 이 단 하나의 장점 덕분에 어찌됐든 쓰는 경우가 제법 있었다. 물론 영양만 채워지만 곧바로 창고에 처박히는 신세가 되었지만... 어쨌거나 2.0 이후에도 '''영양소모 0'''라는 장점 덕분에 여전히 활용되는 경우가 있긴 하다. 물론 반격런이 거의 사장되었고, 거지런에서 주로 쓰이는 [[에이다 Type-G]]의 영양소모가 0이기 때문에 쉐이드의 가치가 예전보다도 훨씬 떨어졌지만... 그러나 아직까지 에이다를 얻기 위한 연구를 끝내지 못한 초보 유저가 영양 보충만을 목적으로 거지런을 돌리겠다면? 그런 경우에 있어 쉐이드가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에이다를 얻었더라도 아직 성장이 덜 되어서 에이다 화력이 부족하다거나, 파밍 등을 위해 에이다의 생존을 장담할 수 없는 지역에서 거지런을 돌리고 싶은데 영양을 아끼고 싶다거나, 아니면 수면런용으로 일부러 천천히 거지런을 돌리고 싶은 경우 등... 즉, '''특히 영양을 모으고 싶은데 에이다를 투입시킬 수 없는 상황'''에 한정한다면 여전히 최우선적으로 고려할만한 캐릭터이다. 그 외엔 단점밖에 없어서 문제지만. 조정 이후에는 아래 항목을 참조하며, 이 평가 항목은 쉐이드의 철충 감염 형태인 '슬래셔'를 상대할 때 유효한 정보로만 남게 되었다. === 2021.6.14 리워크 이후 === 6월 14일 패치로 액티브와 패시브 양쪽 모두 스킬이 개편되었다. 액티브 스킬은 전부 명칭과 연출이 변경되었다.[* 쉐이드 감염버전 철충의 모션은 변경되지 않아 쉐이드의 예전 모션과 판정을 가지고 있다.] 1스킬 히트블레이드는 팔의 칼날로 단일 대상을 공격하도록 변경되고, 화염 속성 공격이 되었으며 사거리가 2로 줄었다. 2스킬 처형은 단일 공격기에서 2×2 범위 화염 공격이 되었으며, 그에 따라 계수가 조정되고 사거리가 5로 조정되어 후열에 배치하면 자동으로 2스킬을 사용하도록 변경됐다. 패시브 1 그림자 난무 프로토콜은 전열에 가까울수록 회피 수치가 증가하며, 라운드 시작됐을 때 효과가 발동하도록 변경됐다. 개편 전과 마찬가지로 반격 기능도 남아 있고, 적을 공격할 때 공격력이 14.5%, 치명타가 9.5%까지 증가하며 적을 처치할 때마다 최대 1.9까지 AP를 얻게 된다. 패시브 2 암살준비는 전투 개시 후 최대 200%의 엄청난 공격력 버프를 얻지만, 라운드마다 남아 있는 적 1명당 15%씩 공격력이 감소하는 디버프도 함께 걸린다. 적이 9명 꽉 차 있어도 65%라는 나쁘지 않은 공격력 버프를 얻을 수 있고, 적이 1명만 남았을 때는 185%라는 초월적인 버프가 된다. 개편 전 발키리 하위호환에서 개편 후에는 주로 2 스킬인 '처형'의 4칸 범위 딜을 주축으로 사용하는 범위딜러로 포지션이 변경됐다. 여전히 1 스킬을 이용한 반격/회피 딜러로 구상할 수 있으나, 패시브인 '그림자 난무 프로토콜'과 '암살준비'와 2스킬의 궁합이 워낙 좋아 현재로썬 2스킬 몰빵 딜러로 사실상 굳어진 상태. 특히나 2스킬이 표기상으로는 AP 소모가 좀 있어보이나, 그림자 난무 프로토콜의 효과로 AP를 수급받을 수 있어서 심하면 1턴에 3번이나 발동하는 경우도 있을 정도인지라 어지간하면 적을 전멸시키기 쉽고, 2스킬 '암살 준비'의 높은 공벞으로 한방컷을 내기도 쉽기 때문이다. 특히 패시브 2번에 의한 딜뻥으로 표기 공격력이 낮아도 실제 산출되는 공격력이 어마어마하다. 최소 65%, 최대 185%까지 공격력이 증가하는데 이는 '초전박살'이 핵심인 [[쿠노이치 카엔]]의 패시브 공 자벞량이 최대 80%에서 서서히 감소한다는걸 고려하면 이례적으로 높은 수치이다.[* 물론 카엔은 2스킬의 일격필살 추가 딜량 등 종합적인 요소가 들어간다.] 거기다 범위도 4칸이라 1턴에 2번만 그어도 어지간한 적은 죄다 날려버리는게 가능한건 덤. 때문에 딜을 증폭시켜주는 화염 속성 저항 감소 디버프를 걸어주는 [[천공의 엘라]], [[블랙 웜 S9|블랙 웜]]이나 [[자비로운 리앤]], [[시라유리(라스트오리진)|시라유리]] 등을 기용한 화염 몰빵 덱의 메인딜러로 주로 기용된다. 특히나 [[N2E-888 아라크네|아라크네]]의 등장 이후로 블랙 웜에게 표식을 걸어 탱킹 안정성을 급등시켜줄 수 있어서 '쉐이드+엘라+블랙 웜+아라크네+a(주로 리앤)'를 섞은 화염 몰빵 덱을 구성하는 케이스도 많고, 영전 30층처럼 줄 하나를 비워버리려면 [[쿠노이치 카엔]]을 보조딜러로 기용하기도 한다. 반대로 [[라미엘(라스트오리진)|라미엘]]처럼 광역 화염딜러는 쉐이드로도 충분히 광역딜을 넣을 수 있어 기용되진 않는다. 화염 저항 감소를 쓰기에도 경장형인 쉐이드가 선공을 더 잘 잡는지라 쓰기 어려운건 덤. 노링 쉐이드 솔로런으로 3-1EX 3-2EX 4-1EX 4-2EX [[https://cafe.naver.com/lastorigin/844536|노링쉐이드 4-1EX 4-2EX 공용]]를 돌 수 있게 되면서 새로운 거지런 주자로 부상중이다. 생명을 거두는 자 스킨을 입히면 처형의 연출이 더 짧아지기 때문에 효율도 높아진다. 총평하자면 '''리워크 이전 최약체에서 리워크 이후 탈 S급~화속딜 최강자'''까지 올라온 환골탈태의 대명사가 된 셈이다. === 전용장비 : 'Heartless Heart' 우회 회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8>
{{{#white ''''Heartless Heart' 우회 회로'''}}} || ||<|4><-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I_Icon_Equip_Chip_Heartless_T4.webp|width=75%]]}}} ||<-3> '''장비 장착 제한''' ||<-2> '''[[S12 쉐이드]]''' || ||<-3> '''장비 종류''' ||<-2> 칩 || ||<-3> '''드랍''' ||<-2> '''11-5B''' || ||<-3> '''총 강화비용''' ||<-2> - || ||<-8> '''능력치 / 추가 효과''' || || '''Lv.10''' ||<-6> 공격력 +120, 회피 +20% || }}} S12 쉐이드의 전용장비로 2023년 6월 27에 추가되었다. 사실상 쉐이드는 치명 혹은 공격칩을 주로 사용하는데 거의 공격 베타칩에 준하는 수준의 공격력과 회피를 같이 제공해주는데 공격베타칩의 회피 디버프를 공격을 조금 깎아서 회피까지 올려준 것으로 보면 편하다. 약간 아쉬운 점이 있다면 쉐이드는 회피 스킬 위력 증가가 없어서 회피가 증가해도 크게 사용할 부분이 없다는 점인데 아직 쉐이드는 승급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만일 SS 승급에 회피 스킬 위력 증가가 붙는 패시브가 생긴다면 해당 전용 장비의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승급이 아니더라도 다른 칩을 쓰는 것 보다는 스탯 향상치의 효율이 가장 높은 것은 사실이기에 충분히 채용 가치는 있다. 단일 증가폭이 더 높은 sss 랭크 회피칩과 공격칩은 각각 반대로 공격, 회피 수치를 반대로 떨어뜨리기 때문. == 스킨 == === [[영혼을 거두는 자|생명을 거두는 자]] === ||<-12> '''[[그림 리퍼]] 모델 (S12 쉐이드)''' || ||<-2> [[파일:쉐이드 사신.png|width=50%]] || ||<-2> 통상(공통) || || [[파일:TbarIcon_AGS_Shade_NS1.png|width=64]] || [[파일:참치캔.png|width=30px]]'''159''' || || 아이콘 || 가격 || ||<-2>쉐이드 모델은 과거, 만연했던 바이오로이드 투기장의 심판자로 활용되기도 했습니다. 경기가 지지부진하거나 검투사끼리 담합한다면, 그들은 눈 앞에 강림한 죽음과 맞서 싸워야만 했죠. 물론, 이 형태의 쉐이드는 당신의 적에게도 죽음 그 자체입니다. || 2021년 6월 14일 출시된 쉐이드의 첫 스킨.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말티엘]]같은 사신 컨셉 스킨이다. 출시 이전 이미지 조각이 나올때에는 일부 유저들은 망토의 모습이나 일러레가 MAR10임을 보고 [[골타리온 XIII세]]의 스킨으로 추측했었으나[* 쉐이드의 본래 디자이너는 '메카셔군'이었기에 일러레가 MAR10인 것과 망토를 지닌걸 모두 고려해 골타리온으로 예상한 인원들이 꽤 있었다. 물론 [[뽀끄루 대마왕|다른 일러레가]] [[AT72 라인리터|스킨을 작업하는]] 캐릭터도 있었으나, 쉐이드와 달리 저 둘은 디자이너가 퇴사했거나 외주였었다.], 해당 월의 월 교환소에 매우 드물게 쉐이드가 있었고[* 일단 월 교환소에 올라오는 캐릭터는 크게 '''패치 후로 개시될 대형 이벤트에서 쓰이기 좋은 캐릭터'''나 '''등장시기가 적당히 지난 SS랭크 캐릭터''' 혹은 '''근시일 내에 스킨이 나오는 캐릭터'''중 하나가 높은 확률로 올라온다. 물론 쉐이드의 대규모 성능 패치와 맞물려 있었기에 '성능패치 때문에 온거 아니겠느냐'라는 의견도 있었다.], AGS는 스킨과 이전 모습간의 괴리감이 상당한게 대다수여서[* 당장 AGS들 스킨을 모아서 쭉 훑어보기만 해도 알 수 있을 정도로 AGS는 바이오로이드와 달리 이전 개체와 스킨 개체가 같은 종류의 기체가 맞는지조차 의심될 수준으로 외형이 변화한 스킨들이 많다. 큰 차이가 없는 것은 골타리온과 홀로그램을 제외한 셀주크 뿐이다.] 속단은 일렀고, 결국 대다수 유저의 예측대로 성능개편과 더불어 쉐이드가 스킨의 수혜를 입었다. 스킨설명상 바이오로이드 투기장에서 바이오로이드들의 처형을 담당했던 처형관 역할을 한것으로 보인다.[* AGS의 인게임상 떨어지는 스팩을 보면 의아해할 수 있으나, 설정상으로 '폴른 1개 = 브라우니 1개 분대' 수준의 격차가 AGS와 바이오로이드 사이에 있었으니 태생이 대인전+암살 특화였던 쉐이드를 이길만한 바이오로이드가 흔하진 않았을 것이다.] 스킨 장착 시 총을 쏘는 기본모션이 사라져서 2스킬의 선딜레이가 확 보일 정도로 최근 유행하는 쉐이드 거지런에 효율이 좋다는게 특징이지만, 출시 초기에는 특정 상황에서 게임을 프리징시키기도 했는데, 번들패치 결과 중파스킨이 없음에도 중파출력이 있어서(...) 프리징을 걸었다고 한다. 비슷한 사례인 [[더치 걸]]보다도 더 큰 간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쉐이드를 주력으로 굴리겠다면 성능을 위해서라도 반 필수적으로 장만해야하는 스킨이기도 하다. 기본 목소리가 걸걸했던 것과 달리 사신처럼 음산하고 낮게 내리깔린 목소리로 바뀌는데 노린건지 모르겠지만 [[말티엘]]과 상당히 비슷한 목소리를 낸다. ~~[[데하카]]와 닮았다는 소리도 있다.~~ 일본서버 스킨판매 3위에 자리했다. == 대사 == === 기본 === [youtube(UQnEaeIUJTg)] ||<-4>
획득||S12 쉐이드, 비밀 임무 수행 시작. || ||<-4>편성||분대원과의 정보 공유 시작. || ||<-4>리더 지정||암살 임무 브리핑 준비 중. || ||<|5>리더||<-3>스쿼드 선택||암살 준비 완료. || ||<-3>출격||암살 임무 시작. || ||<-3>퇴각||임무 철회 요청. || ||<-2><|2>탐색||시작||탐사 임무, 확실합니까. || ||완료||귀환을 보고합니다. || ||<-4>전투 선택||암살 목표, 지정해 주십시오. || ||<-4>전투 지시||암살 준비, 완료. || ||<-4>액티브 2 ||절단, 시작합니다. || ||<-4>전투 불능||임무… 임무 실패… || ||<-4>수복||임무… 재개를 위해 수복을 요청합니다. || ||<-4>강화||강화 프로토콜 수행. || ||<-4>장비 장착||임무 적합성, 산출 중. || ||<-4>코어 링크||비밀 엄수 모듈이 필요합니다. || ||<|5>부관||<-3>접속||임무를 내려 주십시오. || ||<|3><-3>일반 터치||함내에서는 은신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 ||암살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사령관께서는 어떤 방법을 선호하십니까? || ||과거의 암살 사례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요청해 주십시오. || ||<-3>불명||MVP, 존재하지 않음. || === 생명을 거두는 자 === ||<-4>
편성||때가, 도래했노라. || ||<-4>리더 지정||명을, 따르겠다. || ||<|5>리더||<-3>스쿼드 선택||어떤 저항도, 소용없다. || ||<-3>출격||그 누구도 죽음에게서 벗어나지 못할지니. || ||<-3>퇴각||잠시, 물러갈 뿐이다. || ||<-2><|2>탐색||시작||죽음은, 어디에나 있다. || ||완료||방심하는 순간, 죽음이 덮친다. || ||<-4>전투 선택||판결, 사형. || ||<-4>전투 지시||내가 너의, 죽음이다. || ||<-4>액티브 2 ||그 목숨, 거두어가겠다. || ||<-4>전투 불능||나 또한, 피해 갈 수 없었구...나... || ||<-4>수복||아직, 안식의 때가 아니었구나. || ||<-4>강화||죽음이, 손짓한다. || ||<-4>장비 장착||불타는 낫이, 너를 노린다. || ||<-4>코어 링크||어둠의 장막이, 세를 불린다. || ||<|5>부관||<-3>접속||모든 생명은, 죽음 앞에 평등하다. || ||<|3><-3>일반 터치||이제 선고의 낫은 주인의 적에게로 향한다... 어둠과 공포가 도래할 곳을 말하라... || ||죽음은 곧 평온... 원한다면 영원한 안식 속에 잠들게 해주겠다... || ||죽음 그 자체를 부리는 기분이 어떠한가? 허나 방심하지 말거라, 주인이여... 죽음은, 상대를 가리지 않으니...|| ||<-3>불명||잠들거라, 영원히... || == 이벤트 투표 이력 == || 이벤트 종류 || 투표 단위 || 소속 || 결과 || || 제2회 미스 오르카 선발 대회 || 개인 || S12 쉐이드 || 예선 L조 11위 || == 둘러보기 == === 구성원 === [include(틀:버뮤다 팀)] === 일러레 === [include(틀:메카셔군 전투원)] === 출시순 === ||<-5> '''[[라스트오리진/전투원|{{{#ffffff 라스트오리진의 73~74번째 전투원}}}]]''' || || 최초의 72종 ||<|2> → || 2019/03/07 ||<|2> → || 2019/03/20 || || A [[37식 다이카]] SS [[공진의 알렉산드라]] SS [[네오딤]] A [[다프네(라스트오리진)|다프네]] SS [[닥터(라스트오리진)|닥터]][br] B [[더치 걸]] B [[드론 08]] SS [[라비아타 프로토타입]] B [[레이시(라스트오리진)|레이시]] A [[마이티R]] [br] SS [[멸망의 메이]] B [[미스 세이프티]] A [[바닐라 A1]] SS [[불굴의 마리]] SS [[블랙 리리스]] [br] S [[성벽의 하치코]] A [[시저스 리제]] SS [[신속의 칸]] A [[스카디(라스트오리진)|스카디]] B [[아쿠아(라스트오리진)|아쿠아]] [br] SS [[에이다 Type-G]] A [[에이미 레이저]] S [[익스프레스 76]] SS [[철혈의 레오나]] A [[켈베로스]] [br] S [[코코 인 화이트셸]] A [[콘스탄챠 S2]] S [[퀵 카멜]] B [[토모(라스트오리진)|토모]] A [[토미 워커]] [br] B [[티에치엔]] A [[포츈(라스트오리진)|포츈]] B [[프레스터 요안나]] A [[프로스트 서펀트]] B [[화롯가의 포티아]] [br] SS [[A-1 블러디 팬서]] S [[A-54 칼리스타]] A [[A-6 이오]] B [[AA-7 임펫]] S [[AG-1 네레이드]] [br] S [[AL 팬텀]] A [[AS-12 스틸 드라코]] S [[AT-100 비스트헌터]] A [[AT-4 파니]] S [[B-11 나이트 앤젤]] [br] A [[CM67 스팅어]] S [[CS 페로]] B [[CT2199W 폴른]] B [[CT66 램파트]] S [[GS-10 샌드걸]][br] SS [[HQ1 알바트로스]] A [[K180 셀주크]] B [[LRL]] A [[M-5 이프리트]] A [[P-18 실피드]][br] B [[P-2000 지니야]] A [[P-24 핀토]] SS [[P-49 슬레이프니르]] A [[P/A-00 그리폰]] S [[P/A-8 블랙 하운드]][br] S [[S5 기간테스]] B [[SD3M 펍 헤드]] A [[T-10 님프]] A [[T-14 미호]] B [[T-2 브라우니]] [br] B [[T-3 레프리콘]] S [[T-50 PX 실키]] S [[T-60 불가사리]] B [[T-75 워울프]] S [[T-8W 발키리]] [br] B [[T-9 그렘린]] SS [[X-05 에밀리]] || S [[마법소녀 매지컬 모모]] [br] S [[S12 쉐이드]] || S [[질주하는 아탈란테]] [br] S [[GS-130 피닉스]] || === 전투원 일람 === [include(틀:라스트오리진/종류)] [[분류:라스트오리진/전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