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스파르탄 어썰트, other1=헤일로 시리즈의 쿼터뷰 작품, rd1=헤일로: 스파르탄 어썰트)] [[분류:라스트오리진/전투원]] ||<-4>
AGS[br]'''{{{+4 S25A 스파르탄 어썰트 }}}'''[br]'''S25A Spartan Assault'''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SpartanAssault.png|width=70%&align=center]]}}}|| || '''번호''' || 216 ||<:><|2> '''등급''' ||<|2><#E2F0D9> [[파일:BRankRoleSurpporter.png|width=100]] || || '''부대''' ||<:><#000000> [[AGS 로보테크|[[파일:UI_TeamIcon_AutoGuardSystem_cr.png|width=100]][br]'''{{{#ffffff {{{+3 AGS 로보테크}}}}}}'''[br]{{{#ffffff (AGS 스파르탄즈)}}}]] || || '''기업''' || 블랙 리버 || '''타입''' || 경장형 || || '''제조사''' || BR 중공업 || '''역할''' || 지원기 || || '''최초 제조지''' || 미국 || '''전고''' || 2m || || '''Class''' || Trooper || '''중량''' || 0.54t || || '''무장''' || 30mm smAR / Nova5 Flash Granade Launcher || '''성우''' || - || || '''아이콘''' || [[파일:S25어썰트.png|width=100]] || '''일러스트''' || [[라스트오리진/스태프#s-3.1.2|메카셔군]] || >스파르탄은 시민과 도시를 지킵니다. > >시민 여러분, 전투 현장은 위험할 수 있으니 모두 손을 바닥에 대고 엎드려 주십시오. > >모든 적은 25번형 보병 로봇인 스파르탄이 처리합니다. > >걱정 마십시오. 저희는 완벽한 병사입니다. 저희가 만약 양산되었다면 철충이 쉽게 접근하지 못했을 겁니다. > >이제 저희가 생산되기 시작했으니 걱정 마십시오. [목차] == 개요 == 모바일게임 [[라스트오리진]]에 등장하는 B급 [[라스트오리진/전투원/경장형 지원기|경장형 지원기]] [[AGS]]. == 상세 == [[https://cafe.naver.com/lastorigin/231787|공식 캐릭터 소개]] 2019년 5월 9일 업데이트로 등장하였으며 본격적인 보병형 AGS이자 최초로 추가된 B등급 경장형 지원기 AGS 전투원 캐릭터이다. 게임 외적으로는 갓 시작한 플레이어들이 비교적 쉽게 제작, 편성할 수 있는 AGS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디자이너인 메카셔군이 19년 4월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8903650&memberNo=24985926|TIG 인터뷰]]에서 밀리터리풍 양산형 AGS를 준비하고 있다고 했는데 그 결과물. 약간의 디테일을 제외하면 같은 계열기로서 똑같이 생긴 [[S25B 스파르탄 부머]] 및 [[S25 스파르탄 캡틴]]과 같이 나왔다. 군용 기체임을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셋 다 [[ACU]]의 UCP 패턴과 비슷한 디지털 위장무늬를 하고 있다. 이름으로 보아 스파르탄 계열기 중에서는 돌격병 용도이며 이를 위해 어깨에 [[플래시뱅]] 발사기가 달려 있다. 철충 등장 이전에도 생산되긴 했지만, 많은 양이 생산되지는 않은 듯 하다. (정황상 S25 계열 AGS가 생산을 시작하던 시기에 이미 [[T-2 브라우니]]를 위시한 바이오로이드가 보병을 대체한 것으로 보인다.) 최전선에 나설 일이 없는 다른 군용 AGS와는 달리[* 알바트로스는 지휘 개체, 셀주크는 자주포, 폴른은 고층 빌딩이 많은 도심용 특수 목적 개체이고, 기간테스는 크기나 목적을 봤을 때 위장이 필요 없다.] 위장 패턴이 적용되어 있고 디자인도 투박한 양산형이라는 점을 봤을 때, 통상적인 보병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보병이라고 해도 설정상으로는 중량 0.5톤에 폴른과 같은 [[30mm]] 기관포를 무장으로 쓰는 상당한 스펙이다. 인간형인데 다리는 [[역관절]]인데다가 상체가 너무 앞으로 쏠려져 있는, 사족보행 동물을 억지로 일으켜 세워서 뒷다리로 걷게 만든 듯한 느낌[* 이는 [[프로토스]]가 허리를 꼿꼿하게 세우고 있어서 역관절임에도 사족보행 짐승을 두 다리로 세운 것 같아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다리(신체)|다리]]의 구조는 사족보행 동물의 뒷다리를 연상시키는 모습이라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S12 쉐이드]]와 같은 2중 [[역관절]] 구조인데, [[허벅지]]가 강조된 쉐이드와는 정반대로 허벅지가 아주 짧기 때문에 얼핏 보기에는 마치 허벅지가 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설정화에서는 허벅지가 잘 보이지 않는 자세를 취하고 있기도 해서 더욱 그렇게 보이는 편. 하지만 같은 계열기인 [[S25 스파르탄 캡틴]]의 설정화를 보면 분명히 허벅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현실에서도 이런 묘한 형태의 다리를 가진 로봇이 있기는 한데,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 [[포드(자동차)|포드]]가 로봇 제조사인 어질리티 로보틱스(Agility Robotics)와 제휴하여 개발하고 있는 택배업무용 휴머노이드 로봇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8&aid=0002455775|디지트(Digit)]]'가 바로 그것이다. [[https://youtu.be/U8Iey_wfo0I|영상]].]이 강하게 드는데다가, 곡선과 직선이 적당히 섞인 기존의 AGS들과는 다른 너무나도 딱딱한 직선 위주의 이질적인 디자인 때문에 혹평이 많았다. 이런 디자인은 철저하게 군용 병기로서 기능적 측면을 강조한 디자인으로 설정 상 수송시에는 직사각형으로 접혀 [[B-1 배틀 드로이드|수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며 [[https://cafe.naver.com/lastorigin/233923|#]] 덩치에 비해 유별나게 작은 머리도 자세히 보면 몸체 내부로 들어가 수납되는 구조이다. 접힌 모습은 인게임에서는 수복할 때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후처리를 하지 않아 삽화 상에서 너무 대놓고 드러나는 3D CG 특유의 느낌이 이질감을 더했다는 의견도 있다.[* [[토미 워커]]나 [[CM67 스팅어]] 같은 다른 메카닉 캐릭터도 자세히 보면 3D CG로 작업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만 이쪽은 흠집이나 웨더링 등으로 3D CG 특유의 음영 및 질감 느낌을 줄이는 후처리를 거쳤는데, S25 스파르탄 계열 메카닉 캐릭터는 위장 도색이 없는 흉부나 복부 등을 제외하면 자세히 봐야 흠집이나 질감이 겨우 보일 정도로 희미해서 렌더링된 작업물을 그대로 내놓은 것이나 다름없는 너무 딱딱한 느낌이다.] 그나마 SD 형태는 나름 볼만하다는 평.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astorigin&no=855591|배경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astorigin&no=1578659|문제라]] [[카더라]]~~ 그래도 나중에는 계속 보다보니 적응이 되었는지 멋있다는 평이 나오기도 했다. 소개문에서 "저희가 만약 양산되었다면 철충이 쉽게 접근하지 못했을 겁니다."라고 언급하는데, 비록 용도는 조금 차이가 있으나 마찬가지로 전투용으로 개발된 선배격 메카닉인 [[CT2199W 폴른]]이 그렇게 대량 생산되어 [[철충]]에게 대다수 감염된 것을 고려하면 [[아이러니]]. ~~현재 생체회로가 개발 된 때라 망정이지...~~[* 게임상에 상술된 기존에 생산된 기체들이 철충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프리져, 프라이어, 드라이어 시리즈가 공개된 걸보면 결국 생체회로 없이는 스파르탄도 폴른과 다를바 없는 걸 알 수 있다. ~~철파르탄의 사기성을 생각할때 얘네가 정말로 양산되었더라면 지구는 정말로 멸망했을 것이다~~] == 작중 행적 == === 제10구역 === 어썰트 301호가 사이드 스토리 전장 파트의 마지막 부분에 등장한다. 머리에 손상을 입은 상태에서 언어 모듈이 고장났는데, 이 때문에 알바트로스가 내린 명령인 '[[달렉|말살하라]]' 라는 말만을 되풀이한다. 이후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배웠다는 수리법으로 부머가 어썰트의 머리통을 후려치자 그대로 중파당한다... === 외전 : [[윈도우 무비 메이커|오르카 무비 메이커]] === 펍 헤드가 전형적인 사망 대사를 내뱉고 스파르탄 어썰트가 오열하는데... 바로 재미 없는 램파트의 시티가드 공익 광고를 봤기 때문. 그러면서 공익 광고가 왜 효과가 없는지 어썰트가 하나하나 반박한다.[* 7편 '속옷이라도 입읍시다.'는 코헤이 교단의 반박, 6편의 '뭐라도 하나 걸칩시다.'는 펜리르를 제외하면 일단 뭐라도 하나 걸쳤기 때문이라고.] 그러면서 펍 헤드가 영화라도 보면서 배우라는 말에 너희도 만들어 본적은 없다는 태클을 듣자마자 이참에 한번 만들어보자며 토론을 하다가 인간과 바이오로이드를 위한 영화는 존재하지만 AGS를 위한 영화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AGS를 위한 영화를 만들어보자고 한다. 이후 본인들이 만든 영화의 상영회를 여는데, 스파르탄 부머는 예전 어썰트가 말살하라는 말만 했을 때처럼 이 영화야말로 말살해야 한다고 하고 폴른은 슬픈 기계음을 내며 메인보드가 녹슬기 전에 이 영화를 경험했다는 것이 슬프다며 탄식한다. 그리고 시티 가드 쪽에서도 따뜻한 위로의 한마디를 들으며 펍헤드의 가슴에 못을 박는다. 이후 펍 헤드는 쉬러 가고 어썰트는 연구를 해보려는데 워울프가 감상회도 문을 닫아서 무슨일을 하는지 묻자 영화 촬영을 위해 잠시 닫았다고 대답해준다. 이후 어썰트의 영화를 감상하고는 AGS를 위한다며 억지로 반대 노선을 탔던게 문제라며 인간과 AGS의 공통된 점도 있을테니 그걸 노려보라는 조언을 듣게 된다. 이후 AGS들과 인터뷰를 통해 각자 생각을 듣기로 하는데 첫 인터뷰를 하게된 로크는 처음 시도해보는 일이며 심지어 전투용 유닛인 어썰트가 몇번이고 실패하며 진행하게 될 일일텐데 어째서 하게 된건지 역으로 되묻자 어썰트는 영화를 통해 창작자의 생각을 알 수 있었다며 먼 훗날 평화로운 시대가 왔을 때 철충과의 전쟁 시기에 AGS의 관점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함이라고 대답한다. 하지만 여러 인원과의 인터뷰 속에서 AGS에게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의 해답은 얻을 수 없었는데 결국 어썰트는 몇번이고 실패를 반복하며 성공으로 나아가겠다는 결정을 내린다. 어썰트는 여러가지 시도를 해보지만 올리비아와 골타리온에게 혹평만 듣고 좀 쉬어보라는 조언을 받는다. 결국 포츈에게 재정비를 받고 나서는데 캡틴과 사령관을 만난 어썰트.[* 사령관은 과로로 병가를 얻은 상태로 데이터 단말기를 너무 오래봐서 온 안구 건조증이다.] 사령관은 신기하긴 하지만 그것 뿐인 영화라 애매하다는 반응을 보이는데 캡틴은 인간의 영화를 LRL과 흐레스벨그도 잘 즐기는데 억지로 AGS를 위한 영화일 필요는 없지 않겠냐고 하고 사령관은 AGS에 의한 영화를 찍어보자고 해서 결론을 내린다.[* 워울프의 조언과 로크와의 질답을 통해 내린 결론이었다.] 그렇게 훈훈하게 끝내려던 순간 캡틴이 어썰트에게 카메라 촬영기법을 지적을 시작한다. 부하의 취미를 공유하기 위해 영화를 모조리 다운받아서 영화를 추천하는 AI 수준에 이르게 된 상태였던 것으로 어썰트는 캡틴을 스승님이라 칭하며 가르침을 달라하자, 캡틴은 최고의 스승에게 배우라는데, 하필이면 그 스승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E-16 탈론페더|'''탈론페더''']]였기에 사령관은 걱정이 앞서지만, 캡틴은 [[피터 잭슨|B급 스플레터 영화로 시작한 감독]]도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세계 최고의 판타지 영화]]를 만들었다며 [[Aal izz well|All is well]] 이라고 말한다. 폭소할 만한 개그 부분도 있지만 프로젝트 오르카 이후로 바이오로이드들의 새로운 시도와 행동들이 AGS들에게도 영향이 미쳐 그들의 새로운 방향성을 보여주는 외전이다. 부제목과 내부 스토리도 여러 영화에서 따온 부분이 많은데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AGS를 위한 영화는 없다]], [[네 멋대로 해라|네 멋대로 하세요]], [[인터뷰(영화)|더 인터뷰]], [[영화는 영화다(영화)|영화는 아무튼 영화다]]등 여러 명작 영화를 가져오고, 스토리 안에서도 하치코가 죽어서 복수에 나서서 펜이 총보다 강하다며 펜으로 암살자 셋을 죽이는 [[존 윅|블랙 리리스]]라는 영화에 대해 이야기 하거나, 캡틴이 사령관을 안심시키면서 피터 잭슨, 반지의 제왕 시리즈, [[세 얼간이|All is well]]이라고 말하는 부분 등 영화에 취미가 있다면 여러모로 더 보이는게 많은 외전이다. === [[오르카 필름 페스티벌]] === 서브 스토리 <스파르탄 어썰트, 무녀 데뷔합니다!>에서 등장. [[LRL]], [[사이클롭스 프린세스]], [[블라인드 프린세스]]가 만드는 영화 늑대 사냥꾼 빨간 모자의 촬영 감독을 맡고 있었는데, 늑대역을 맡기로 한 바르그가 모종의 이유로 촬영에 참가할 수 없게 되자[* 장화와 천아가 살을 태워 사령관을 유혹하겠다고 태닝 기계를 쓰다가 화상을 입어 간호할 사람이 필요해졌다.] 대신 펜리르를 부르기로 하는데 그럼 신사쪽에 공백이 생기기에 현장에 있지 않아도 촬영 감독일을 할 수 있는 어썰트가 신사 일을 돕기로 한 것. 이런 어썰트를 보려고 사령관, 무녀복을 입은 모습을 보려고 [[골타리온 XIII세]]와 [[데카르트 보이저 삿갓]]이 찾아오는데,[* 이 둘, 특히 골타리온은 연기 지도로 바쁘지만 [[Mr.알프레드]]와 [[페레그리누스]]가 무녀복을 입은 어썰트를 보고 오라고 닥달했다고. 물론 본인들도 이건 흥미가 있긴 했는지 어썰트가 오면 잔뜩 놀릴 궁리를 하고 오기는 했다(...).] 어썰트가 평범한 모습으로 등장하자 두 AGS의 격렬한 반발을 맞게 된다. 이에 소금을 잔뜩 넣은 분무기로 골타리온과 삿갓을 쫓아낸 어썰트는 사령관에게 신사를 안내해준다.[* 이때 이전번의 고장났을 때 반복했던 말이었던 말살하라를 응용해서는 말살 모드라며 분무기를 뿌려대는 대사가 백미다. 이걸 봐서는 이전의 영화를 찍는 외전도 그렇고, 메인 스토리에 나왔던 당시 언어 모듈이 고장났던 어썰트 301호 본인인 듯.] 사령관 말로는 어썰트 자신이 신사 일에서 제법 적성을 보이는 건 물론 AGS의 시각으로 보는 신사 소개도 제법 신선하다고. == 성능 == [[파일:스파르탄_어썰트_상세정보.pn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4>
'''성능''' || || '''공격력''' || '''방어력''' || '''속도''' || '''지구력''' || || C+ || C || C+ || C+ || ||<-2> '''공격 빈도''' ||<-2> '''보조 능력''' || ||<-2> A ||<-2> B || ||<-4> '''기본 능력치(100렙 풀링크 능력치)''' || || '''체력''' || 190(4528) || '''전투력''' || 136(3228) || || '''공격력''' || 44(1089) || '''치명타''' || 2%(2%) || || '''방어력''' || 10(150) || '''적중률''' || 140%(175%) || || '''행동력''' || 3.95(3.95) || '''회피율''' || 2%(2%) || ||<-4> '''운영 비용(코어링크 당)''' || || '''부품''' ||<-3> 15 / 16 / 18 / 20 / 23 / {{{#orange '''26'''}}} || || '''영양''' ||<-3> 0 / 0 / 0 / 0 / 0 / {{{#lightgreen '''0'''}}} || || '''전력''' ||<-3> 7 / 8 / 9 / 10 / 11 / {{{#skyblue '''13'''}}} || ||<-4> '''장비 슬롯''' || || '''Lv. 20''' || '''Lv. 40''' || '''Lv. 60''' || '''Lv. 80''' || || 칩 || 칩 || OS || 보조장비 || ||<-4> '''코어링크 당 보너스''' || || '''체력''' || '''공격력''' || '''적중''' || '''획득 경험치''' || || +20% || +20% || +7% || +4% || ||<-4> '''획득 방법''' || || '''제작 시간''' ||<-3> 1시간 10분 || ||<|3> '''제작 재료''' ||<#FFD864> 100 ||<|3><-2> AI 코어×1[br]양산형 파츠×50[br]연산 제어 파츠×10[br]합금 장갑판x15 || ||<#E2F0D9> 0 || ||<#DEEBF7> 100 || || '''드랍''' ||<-3> - || || '''기타''' ||<-3>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선택 가능한 풀 링크 보너스''' || || 출격 비용 -20% || 스킬 위력 +15% || 사거리+1 || 버프/디버프 효과 Lv +2 || 행동력 +0.1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4>
'''등급''' || || [[파일:BRankRoleSurpporter.png|width=50px]] || →[br]승급 ||<-2> [[파일:ARankRoleSurpporter.png|width=50px]] || ||<-4> '''승급 시 추가 능력치[* 노링 기준. 풀링 시에는 체력과 공격력이 노링 때보다 2배 증가.]''' || || '''체력''' || +50 || '''전투력''' || - || || '''공격력''' || +26 || '''치명타''' || +3% || || '''방어력''' || +8 || '''적중률''' || +5% || || '''행동력''' || +0.01 || '''회피율''' || - || ||<-4> '''승급 시 추가 운용 비용''' || || '''부품''' ||<-3> +5(노링) / +9(풀링) || || '''영양''' ||<-3> +0(노링) / +0(풀링) || || '''전력''' ||<-3> +3(노링) / +4(풀링) || }}} ||<-6> {{{#FFFFFF 스킬}}} || || 분류 || 이름 || 효과 || 사거리 || 소모AP || 효과[br]범위 || || 액티브1 ||<#DCDCDC,#010101> '''[[돌격소총|어썰트[br]라이플]]''' ||<:> 돌격 소총으로 피해를 주고(2.07배) 2 라운드 동안 대상의 공격력과 치명타를 낮추며(-10%)[br]받는 피해를 증가시킵니다.(10%)[BR]{{{#A1A1A1 “스파르탄 어썰트의 사격으로 적을 견제합니다.”}}} || 3 || 4 ||<#ffffff><:> - || || 액티브2 ||<#DCDCDC,#010101> '''[[섬광탄|플래시 뱅]]''' ||<:> 섬광탄을 발사해 지정 범위에 매우 적은 피해를 주고,[br]대상의 적중(-35%)과 AP(-1)를 낮추며 적중 강화 효과를 해제합니다.[BR]{{{#A1A1A1 “아군은 즉시 [[OME|눈을 감으시오!]]”}}}|| 4 || 5 ||<#ffffff><:> □ □ □[br]□ {{{#C65911 ■}}} {{{#F4b084 ■}}}[br] □ □ □ || === 숙련도 === |액티브 | '''Lv''' || - || - || ||<#DCDCDC,#010101> 1 ||<:> +-.:%[br] ||<:> - || ||<#DCDCDC,#010101> 2 || - || - || ||<#DCDCDC,#010101> 3 || - || - || ||<#DCDCDC,#010101> 4 || - || - || ||<#DCDCDC,#010101> 5 || - || - || ||<#DCDCDC,#010101> 6 || - || - || ||<#DCDCDC,#010101> 7 || - || - || ||<#DCDCDC,#010101> 8 || - || - || ||<#DCDCDC,#010101> 9 || - || - || ||<#DCDCDC,#010101> 10 || - || - || |패시브|'''Lv''' || - || - || - || ||<#DCDCDC,#010101> 1 ||<:> +-.:%[br] ||<:> - ||<:> - || ||<#DCDCDC,#010101> 2 || - || - || - || ||<#DCDCDC,#010101> 3 || - || - || - || ||<#DCDCDC,#010101> 4 || - || - || - || ||<#DCDCDC,#010101> 5 || - || - || - || ||<#DCDCDC,#010101> 6 || - || - || - || ||<#DCDCDC,#010101> 7 || - || - || - || ||<#DCDCDC,#010101> 8 || - || - || - || ||<#DCDCDC,#010101> 9 || - || - || - || ||<#DCDCDC,#010101> 10 || - || - || - || === 관련 영상 === |스킬 영상|<#DCDCDC,#010101> '''어썰트 라이플''' || || [include(틀:navervid, vid=DC0EEC47815182E04FF2E6856276CBF85889, outkey=V1297c1bd3580381852a77c04d8f56eb0f6b2f689559fd01fb6237c04d8f56eb0f6b2, width=740, height=416)]|| ||<#DCDCDC,#010101> '''플래시 뱅''' || ||[include(틀:navervid, vid=E8413190F52E24D1304A08BA95D58F5A04AF, outkey=V12783ff7007720187eb03e18cecaae499f6527d28bee50f54af43e18cecaae499f65, width=740, height=416)]|| === 평가 === 스파르탄 3인방 중에서 서브딜러 겸 서브버퍼를 맡는 유닛이다. 전문적으로 버프를 주는 [[S25 스파르탄 캡틴|캡틴]]과 다르게 1스킬이나 2스킬을 통해 디버프를 주면서도 1스킬의 화력으로 적을 공격하는 타입. 디버프 효과는 좋지만 전투력 자체는 B급을 벗어나기 힘들다. 디버프 역시 1스킬인 어썰트 라이플은 '받는 공격 증가, 대상 적의 공격력과 치명타 다운'이고, 2스킬인 섬광탄은 '적중 강화 효과 해제', '적중과 AP 감소'의 효과를 지닌다. 어찌보면 좋은 효과이고 실제로도 나쁜 효과는 아니지만 B랭크 지원기답게 '지원' 이외엔 모두 2% 모자란 면모를 보여서[* 화력이 비슷한 지원기인 폴른보단 더 높지만 반대급부로 맷집이 떨어져서 아차하면 갈려나가있다.] 후반 지역에서 쓰기엔 아무래도 고랭크 바이오로이드나 메카닉에게 밀리는 경향을 보인다. 만약 이 유닛을 주력으로 굴리겠다면 [[S25 스파르탄 캡틴]]과의 조합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캡틴의 패시브와 2스킬 등의 일부 버프를 지원받으면 이게 진짜 B급이 맞나 싶을 정도로 적 유닛들을 잘 두들겨 팰 수 있기 때문. 양산 가능한 B급 AGS이니만큼 초보들이 스파르탄 부대를 편성하면 좋을 것 같지만, 문제라면 캡틴은 막 게임을 시작한 뉴비가 제작하기엔 다소 힘든 유닛이므로[* 드랍지역도 없는데다 설계도를 위한 연구에 들어가는 재료와 자체 생산 재료들 중 하나가 4지역은 가야 드롭할 수 있는게 있다. 물론 2-8에서 얻을 수 있긴 한데 거길 오토로 돌 수 있을만한 스펙을 갖췄을 정도면 4지역까지 뚫는 게 충분히 가능하다.] 처음부터 주력 부대로 쓰기보단 예비부대를 꾸릴 때 고려해보는 정도가 좋다. 스파르탄 부대에 편성하지 않을 경우에도 어썰트는 아주 중요한 용도가 있는데, 바로 2-4 거지런이다. 바이오로이드 부대를 굴리다 보면 영양이 동나는 경우가 많은데, 영양을 먹지 않는 AGS 유닛으로 거지런을 돌면 자원 밸런스를 맞추기 좋다. 노링크 90레벨 어썰트의 경우, SS 등급 반격 OS 10강을 장비하고 칩만 적당히 강화해주면 돌아간다. [[라스트오리진/거지런|거지런]] 항목 참조. 2.0 이후에는 에이다 거지런의 하위호환이 되었지만, 에이다를 확보하기 전에는 여전히 쓸만하다. ==== 승급: A ==== 2020년 11월 2일 다른 스파르탄 시리즈와 함께 승급을 얻었다. 어썰트가 승급으로 받은 패시브 스킬은 "패시브 레이더"로, 자신과 인접한 아군 AGS에게 공격력 / 치명타 / 행동력 버프를 주는 기능과 플래시 뱅을 사용했을 때 [[S25B 스파르탄 부머|스파르탄 부머]]가 다연장 미사일로 협동공격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버프가 켜지는 타이밍이 굉장히 느슨한데, '''라운드 개시 시와 어썰트가 공격 시'''에 모두 발동하며, '''2라운드 동안 지속되고 무한히 중첩'''할 수 있다. 10레벨 기준으로 버프량이 각 15%로 치명타와 행동력은 몰라도 공격력은 아쉬운 수준이나, 못해도 2~3회, 최대 6회까지 중첩하여 30~90%까지 행동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점은 굉장히 매력적이다. 캡틴이나 부머는 다른 스파르탄 시리즈에 의존하는 부분이 큰 반면 어썰트는 캡틴이나 부머에 의존하지 않고 그 자체만으로도 AGS 덱에서 순수 버퍼처럼 쓸 수 있다는 점에서 포텐셜이 높다. ~~이제 AGS가 상향을 받으면 된다~~ 스파르탄을 사용하는 덱에서는 주력 딜러가 되는 부머의 공격 횟수를 꽁으로 늘려준다는 점에서 마찬가지로 포텐셜을 가진다. == 대사 == [youtube(Ln545FkDYUE)] ||
<#d3d3d3><-4>획득||안심하십시오. 사령관. 스파르탄이 합류합니다. || ||<#d3d3d3><-4>편성||어썰트, 합류. || ||<#d3d3d3><-4>리더 지정||임무 수행에 적합. || ||<#d3d3d3><|5>리더||<#e1e1e1><-3>스쿼드 선택||섬멸 임무 시작. || ||<#e1e1e1><-3>출격||파괴 임무, 시작. || ||<#e1e1e1><-3>퇴각||명령 재확인 요청. || ||<#dbdbdb><-2><|2>탐색||<#e1e1e1>시작||스파르탄에겐 전투 임무가 더욱 어울립니다. || ||<#e1e1e1>완료||스파르탄은 전투 임무에 더욱 효율적입니다. || ||<#d3d3d3><-4>전투 선택||어썰트, 명령 대기 중. || ||<#d3d3d3><-4>전투 지시||명령 수행. || ||<#d3d3d3><-4>액티브 2 ||포격 시작. || ||<#d3d3d3><-4>전투 불능||치명적 손상. || ||<#d3d3d3><-4>수복||수리 요망. || ||<#d3d3d3><-4>강화||전투능력 증가. || ||<#d3d3d3><-4>장비 장착||장착 완료. || ||<#d3d3d3><-4>코어 링크||전투 데이터 입력 완료. || ||<#d3d3d3><|5>부관||<#e1e1e1><-3>접속||전투 명령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e1e1e1><|3><-3>일반 터치||신속한 명령 요청. || ||스파르탄 어썰트. 섬멸 작전 특화 || ||전투 데이터 기록 중… 더미 데이터 소거 완료. || == 이벤트 투표 이력 == || 이벤트 종류 || 투표 단위 || 소속 || 결과 || || 제2회 미스 오르카 선발 대회 || 개인 || S25A 스파르탄 어썰트 || 예선 A조 11위 || == 둘러보기 == === 구성원 === [include(틀:AGS 로보테크)] === 일러레 === [include(틀:메카셔군 전투원)] === 출시순 === ||<-5> '''[[라스트오리진/전투원|{{{#ffffff 라스트오리진의 83~85번째 전투원}}}]]''' || || 2019/05/02 ||<|2> → || 2019/05/09 ||<|2> → || 2019/05/23 || || SS [[소완]] || A [[S25 스파르탄 캡틴]][br]B [[S25A 스파르탄 어썰트]][br]B [[S25B 스파르탄 부머]] || S [[커넥터 유미]][br] A [[엘븐 포레스트메이커]] || === 전투원 일람 === [include(틀:라스트오리진/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