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변이 및 변종]][[분류:일본의 사건 사고]][[분류:브라질의 사건 사고]] [include(틀:상위 문서, top1=SARS-CoV-2/변이 및 변종)] [include(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2021년 1월 6일, 일본 국립감염증연구소에서 최초로 발견한 변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이다. B.1.1.248, 브라질 변이 등으로 불리다가 WHO 공식명칭으로 '''감마 변이'''로 최종 명명되었다. 이 변이 바이러스는 [[알파 변이]]의 감염력, [[베타 변이]]의 항체 파괴력이란 양측의 특성을 다 가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https://news.v.daum.net/v/20210112204219273|#]][* N501Y, E484K가 존재하는 P.3이 백신 효과를 크게 떨어트리지 못했지만 N501Y, E484K, K417T가 존재하는 감마 변이는 백신 효과를 떨어트렸으며 '''K417N''' 변이가 있는 [[베타 변이]]는 아예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무력화 시켰다. 다만 중증 예방 효과는 존재할 수 있다.][* K417T는 백신 회피 변이의 효과를 증폭시키는 강도가 높지 않으며 K417N은 백신 회피 변이의 효과를 증폭시키는 강도가 매우 높아서 결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베타 변이|무력화 시키고 말았다.]]] 후속 연구에서 일반 코로나19 바이러스종 대비 '''전염성 +152%(127-178%), 치사율 +45%(10-80%)'''라는 [[베타 변이]]를 쌈싸먹는 희대의 결과가 나왔다.[* K417T가 존재하는 일반적인 감마 변이에 한정][* K417N 변이가 있는 감마 변이는 [[베타 변이]]와 별 차이가 없었다. 이로 인해 K417T 변이가 있는 감마 변이에게 밀려났다. 참고로 T478K 변이가 있는 [[델타 변이]]가 그보다 전염성이 낮은 T478R이 있는 [[델타 변이]]를 밀어냈는데 두 변이 다 백신 회피 강도가 높은 변이를 밀어버리고 전염성이 높은 변이가 살아남았다. 물론 밀려난 변이도 멸종하지는 않았고 지금도 드물게 퍼지고 있다.] 2021년 3월 말을 기준으로 [[알파 변이|알파]], [[베타 변이|베타]], [[엡실론 변이]]는 어느 정도 통제되는데 비해 이 변이종은 브라질에서 통제하지 못해서 최대의 변이종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우점종은 [[델타 변이]] 등 다른 변이가 될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감마 변이가 K417T가 '''K417N'''으로 변이해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무력화 시킨다고 해도 전염성이 더 높은 [[델타 변이]]와 [[델타 플러스 변이|K417N 변이가 있는]] [[오미크론 변이|희대의 미친 변이]]가 있기 때문에 우점종이 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3월부터 브라질에서는 젊은 중환자가 속출하고, 특히 임산부 중환자와 사망자가 크게 늘었다. 감마 변이와 산모의 관계는 아직 불명이나 브라질 보건 당국은 연관이 있을 것이라 짐작하고 국민을 대상으로 임신 계획을 미루라는 권고까지 내렸다. 브라질 정부는 그동안 접종했던 중국제 백신의 효과가 떨어지자 미국의 정치적 압박과 품질 관리 미흡으로 허가하지 않았던 러시아제 백신 [[스푸트니크 V]]를 2021년 6월 긴급 승인했다. 아르헨티나 연구진이 브라질발 감마 변이의 100%효과가 있다고 발표하고[[https://cmobile.g-enews.com/view.php?ud=202105250909064293f67c3fc824_1&ssk=favorset&md=20210525112534_R|#]] 지방정부가 정치적인 이유로 성능이 우수한 스푸트니크 V 대신 중국산 백신을 허가했다고 중앙정부를 고소하는 법정 다툼이 이어졌기 때문이다.[[https://m.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KR20210428003700094#_enliple|#]] == 주요 변이 == 일반적인 감마 변이에 존재하는 주요 변이 || 주요 변이 || '''{{{#red E484K}}}''' || K417T[* K417N이 있는 감마 변이에는 없음] || N501Y || || 특징 || 백신 회피 변이 || || ||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감마 변이의 다른 버전은 K417T가 아닌 K417N이 존재한다.[* 전염성이 [[베타 변이]]와 별 차이가 없는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극소수만 감염된 변이일 가능성이 있음] || 주요 변이 || '''{{{#red E484K}}}''' || '''K417N'''[*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 N501Y || || 특징 || 백신 회피 변이 || 백신 회피 증폭 변이 || || P.1.1 || 주요 변이 || '''{{{#red E484K}}}''' || K417T || || 특징 || 백신 회피 변이 || || P.1.2 || 주요 변이 || '''{{{#red E484K}}}''' || K417T || N501Y || || 특징 || 백신 회피 돌연변이 || || || == 발견 과정 == [[브라질]]에서 일본으로 입국한 사람에게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이후 브라질-영국 CADDE 센터에서 일본으로부터 받은 변이 바이러스 자료를 통해 조사에 나섰으며 1월 12일, 브라질 아마조나스주에서 12건의 P.1 계통의 바이러스가 추가 발견되어 브라질에서 변이된 것이 확인되었다. 바이러스 내부에서는 총 17개의 아미노산이 변이되었으며 그 중 10개는 N501Y와 E484K 등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포함되어 있다. California M Voloch 논문에서는 이미 2020년 10월부터 B.1.1.248이 브라질 북부지역에서 등장했을 가능성을 암시했으며, CADDE 센터에서는 12월에 브라질 마나우스시에서 채취된 샘플의 42%(31건 중 13건)에서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되었다고 발표했다. 이후 공식적으로 브라질에서 변이된 것으로 선언되었다. 초기 보고서에 따르면, 변이 바이러스 P.1과 P.2는 모두 브라질 계통의 B.1.1.248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B.1.1.248은 나중에 별개의 계통으로 인정되어 변이 바이러스의 지위를 상실하고 B.1.1.28로 재분류되었다. P.1은 B.1.1.28.1이라고도 하며, P.2는 B.1.1.28.2 또는 VUI-202101/01라고 불린다. == 경과 == [[2021년]] [[1월 11일]], [[브라질]]에서 [[일본]]으로 입국한 입국자 4명에게서 새 변이 바이러스 B.1.1.248이 발견되었다. [[https://www.ajunews.com/view/20210111094157502|#]] 이후 기원지로 추정되는 브라질에서도 추가 확인되었다. [[https://www.cnbc.com/2021/01/15/brazil-a-new-covid-variant-has-been-discovered-heres-what-we-know-so-far.html|#]] 1월 18일 [[한국]]에 유입되었고[[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43281|#]] 1월 25일 2건이 더 유입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404195|#]] [[미국]]의 [[미네소타주]]에서도 B.1.1.248이 유입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0932498|#]] [[이탈리아]]에서도 B.1.1.248이 유입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5/0000870297|#]] 2021년 2월 8일, 질병관리청 [[http://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00000&bid=0015&act=view&list_no=712054&tag=&nPage=1|정례브리핑]]에서 B.1.1.248가 15여개국으로 확산됐다고 밝혔다. 2021년 3월 6일 기준, 브라질에서는 P.1 계통의 B.1.1.248이 우점종이 되었다. 그 결과, 30~59세의 중년층 중심으로 브라질내 코로나19 확진자 및 사망자가 늘어나고 있다. [[https://www.ytn.co.kr/_ln/0134_202103220926177870|#1]]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10325/106082207/1|#2]] 2021년 5월 25일 기준, 대한민국 내 변이 코로나 확진자 2,000명 중 B.1.1.248 확진 사례는 11명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518101351530|#]] 2021년 하반기, 남미에서 [[델타 변이]]에 우세종 자리를 내주었다. 하지만 확진자 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 백신 및 치료제 연관성 == K417T가 있는 일반적인 감마 변이 || 백신명 || 판매사(개발사) || 결과 || || [[코미나티주]] || [[화이자]] || || || [[mRNA-1273]] || [[모더나]] || || || [[NVX-CoV2373]] || [[노바백스]] || || || [[AZD1222]] || [[아스트라제네카]]([[옥스퍼드 대학]]) || 베타, 감마 변이 평균 중증 예방률 83% || || [[Ad26.COV2-S]] || [[얀센]] || || || [[스푸트니크 V]] || RDIF(가말레야 연구소) || 85%[* 1회 접종 시], 100%[* 2회 접종 시] || K417N이 있는 드물게 나타나는 감마 변이는 [[베타 변이]]와 백신 회피 강도가 비슷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변이 및 변종, version=31, paragraph=3)] == 기타 == K417N이 있는 드물게 나타나는 감마 변이는 특정한 종류의 진단 키트를 사용할 경우 [[베타 변이]]로 잘못 진단될 수 있다.[* 다만 A701V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키트를 사용할 경우 베타 변이가 아닌 K417N이 있는 감마 변이로 진단된다.][* 물론 유전자 증폭 검사를 하면 베타 변이와 다른 변이로 판정된다.] == 관련 문서 == * [[SARS-CoV-2]] * [[알파 변이]] * [[델타 변이]] * [[엡실론 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