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보험회사)] ---- ||<-2> '''{{{#ffffff {{{+2 서울보증보험주식회사}}}[br]Seoul Guarantee Insurance Company}}}''' || ||<-2> [[파일:SGI서울보증 로고.svg|width=70%]] || || '''설립일''' ||[[1969년]] [[2월 19일]] || || '''업종명''' ||보증 보험업 || || '''대표자''' ||유광열 || || '''모회사''' ||[[예금보험공사]] || || '''주요 주주''' ||'''[[예금보험공사]]: 93.85%''' || || '''기업 분류''' ||[[대기업]] || ||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 || '''직원 수''' ||1,474명^^(2020년 12월 기준)^^ || || '''자본금''' ||1,745억 5,399만 5,000원^^(2020년 기준)^^ || || '''매출액''' ||연결: 2조 5,579억 5,131만 9,264원^^(2020년 기준)^^[br]별도: 2조 5,275억 6,534만 6,987원^^(2020년 기준)^^ || || '''영업 이익''' ||연결: 4,186억 4,377만 7,816원^^(2020년 기준)^^[br]별도: 4,129억 2,895만 8,749원^^(2020년 기준)^^ || || '''순이익''' ||연결: 3,282억 1,042만 4,172원^^(2020년 기준)^^[br]별도: 3,288억 842만 61원^^(2020년 기준)^^ || || '''자산 총액''' ||연결: 9조 1,560억 4,569만 3,854원^^(2020년 기준)^^[br]별도: 9조 1,325억 2,009만 4,007원^^(2020년 기준)^^ || || '''부채 총액''' ||연결: 4조 3,083억 5,752만 9,464원^^(2020년 기준)^^[br]별도: 4조 2,929억 5,708만 9,168원^^(2020년 기준)^^ || || '''자회사''' ||SGI신용정보 || ||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김상옥로]] 29 ([[연지동(종로구)|연지동]]) || || '''웹 사이트''' ||[[https://www.sgic.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소셜 미디어''' ||[[https://www.youtube.com/c/sgictub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sgic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sgic.co.k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uZp6t6R5cg)]}}}|| || '''▲ SGI서울보증 공식 PR''' || >'''Your Best Credit Partner''' >세계일류 수준의 솔루션을 제공하여 사회적 가치를 실현 >---- >SGI서울보증의 [[캐치프레이즈]]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손해 보험사이자 보증 보험 전업사로 2018년 기준 세계 3위의 보증 기관이다. [[예금보험공사]]가 이 회사 전체 지분의 90% 이상을 소유한 최대 주주다. 즉 예금보험공사의 자회사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김상옥로 29 (연지동)에 있다. 휴대전화 등을 할부로 구매하거나 법적인 문제에 휘말리게 되면 흔히 거래할 일이 생기는 회사이다.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 [[가압류]]를 하려면 담보를 제공해야 하는데 현금 [[공탁]]을 하려면 나중에 소송이 다 끝나고서 찾을 수 있는 돈이라고는 해도 당장 목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공탁보증보험증권을 발급받아 담보제공을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법원에서 공탁보증보험증권을 내도 된다고 허가를 해 줘야 가능하다. * [[보석(법)|보석]] 허가 결정을 받은 경우 보석보증금을 낼 때에도 마찬가지 문제가 생긴다. * [[대출]]을 신청하거나 휴대전화 등을 할부로 구매할 경우 이 회사의 보증 심사를 통과해야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나라장터]]를 통하여 전자입찰을 진행할 때에도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입찰을 할 때 입찰보증금을 납부하는 대신[* 입찰과 관련하여 제한사항이 있는 업체의 경우에 보증금을 납부한다. 일반적인 공급업체는 보통 각서 제출로 갈음한다] 보증금납부각서를 제출하거나 입찰에 대한 이행보증보험증권에 가입하여 증권을 제출하는 것으로 갈음할 수 있다. == 역사 == 이 회사의 뿌리는 두 갈래로 나뉘는데 전자는 [[1969년]] 설립된 대한보증보험으로 [[1984년]] 온라인 체제를 확립하였고 [[1989년]] 제47차 국제보증보험협회 개최를 주도하며 [[1994년]] 93 최우수 손해보험사로 선정되었다. 후자로는 [[1989년]] 설립된 한국보증보험이었는데 [[1998년]] 11월 두 업체가 합병하면서 서울보증보험으로 재출범하였다. [[2007년]] [[베트남]] [[하노이]]에 사무소를 열었고 [[2009년]] 인재개발원을 세웠으며 [[2013년]] SGI서울보증보험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017년]] [[미국]]의 [[신용평가사]] [[S&P]]가 평가하는 장기신용등급이 A-에서 A+로 상향됐다. == 단계적 [[민영화]] 계획 == [[2022년]] [[7월 21일]]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서울보증보험에 투입된 공적 자금 회수를 위해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지분을 단계적으로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우선 [[2023년]] 상반기까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주식]]의 약 10%를 [[기업공개]](IPO)를 통해 [[상장(주식)|상장]]할 계획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123/0002281274?sid=101|#]] 향후 상장 절차에 역점을 두고 현재 핵심 분야 [[사외이사]] 인선 등 본격 IPO 준비에 나선 상태다.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93386|#]] 2023년 6월 예비심사를 신청하고 8~9월 내로 승인 후 공모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공적자금 회수가 목표이기 때문에 철회할 가능성은 매우 낮고 시장 친화적으로 평가를 받되 상장 이후 배당 등의 방식을 통해 공적 자금 회수에 주력할 전망이다.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300536|#]] 2023년 10월 23일, '''IPO를 철회했다.''' 서울보증보험은 회사의 가치를 적절히 평가받기 어려운 측면 등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결정했다고 밝혔다. 흥행 실패의 이유로는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5%를 넘기는 등 시중금리가 상승한 점과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국내외 투자심리가 위축된 점을 꼽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16/0002214001?cid=2000323|#]] == 역대 사장 == === 통합 전 === * 대한보증보험 사장 * 강대봉 (1969~1970) * 박은회 (1970~1975) * 배숙 (1976~1980) * 변규수 (1980~1986) * 전석영 (1986~1991) * 김영동 (1991~1993) * 고순복 (1993~1996) * 심형섭 (1996~1998) * 한국보증보험 사장 * 위성용 (1989~1992) * 김창락 (1992~1994) * 조관행 (1994~1996) * 추암대 (1996~1998) === 통합 후 === * [[박해춘]] (1998~2004) * 정기홍 (2004~2007) * 방영민 (2007~2011) * 김병기 (2011~2014) * 김옥찬 (2014~2015) * [[최종구]] (2015~2017) * 김상택 (2017~2020) * 유광열 (2020~ ) [[분류:예금보험공사]][[분류:대한민국의 손해보험사]][[분류:1969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