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13년]] [[5월 8일]]에 펼쳐진 [[KBO 리그]] 막장매치. 이 날 경기는 두산 vs SK 경기에서 임팩트가 큰 [[막장]] 경기가 나왔다. 바로 '''역대 최다 점수차 역전승'''. 종전 기록은 [[현대 유니콘스/2003년/5월/27일|2003년 5월 27일 경기]]와 [[한화 이글스/2009년/9월/12일|2009년 9월 12일 경기]]의 '''9점차 역전승'''이었지만, 이 경기에서 '''10점차 역전승'''이라는 말도 안 되는 기록이 나오면서 종전 기록을 경신했다.[* 10점차 역전 자체는 [[삼성 라이온즈/1995년/6월/28일|95년 6월 28일 경기]]에서 삼성이 롯데를 상대로 이뤄낸 바 있었다. 다만 이때는 다시 삼성 불펜이 불쇼를 하면서 재역전패. 이후 [[SK 와이번스/2017년/7월/5일|약 4년 뒤에 KIA 타이거즈에게 '''무려 11점차를 뒤집혔다가''' 다시 뒤집은 경기도 있었다.]]] 한편 NC와 한화의 경기도 이틀 연속으로 9회 2사에서 역전이 일어난 비범한 경기였지만, [[인천 SSG 랜더스필드|문학 야구장]]의 대역전극에 묻혔다. 나머지 경기는 대체로 평범하게 흘러갔다. 그러고 7년이 흐른 후 2020년 5월 19일 경기에서 KT와 한화의 경기에서는 무려 10점차 역전을 초과하려는 말도 안되는 상황이 될 '''뻔'''했지만 그런 일은 없었다.[* 경기 중반까진 압도적인 KT의 대량 득점이였으나, 7회부터 불펜진이 리그 최약의 타선인 한화를 상대로 10점을 내주는 말도 안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역전되나 했으나 결국 두 점 차로 승리를 거뒀다.] 그리고 8년이 지난 후 [[한화 이글스/2021년/6월/6일|'''단 두 이닝에 8점차를 뒤집어버리는 경기도 나왔다.''']] == 경기 내용 == ||<-9> '''{{{#white 두산 베어스 선발 라인업}}}''' ||<-9> '''{{{#white SK 와이번스 라인업}}}''' || ||<-9> {{{#white 선발 투수}}} ||<-9> {{{#white 선발 투수}}} || ||<-9> '''[[이정호(1992)|이정호]]''' ||<-9> '''[[여건욱]]''' || || {{{#white 1}}} || {{{#white 2}}} || {{{#white 3}}} || {{{#white 4}}} || {{{#white 5}}} || {{{#white 6}}} || {{{#white 7}}} || {{{#white 8}}} || {{{#white 9}}} || {{{#white 1}}} || {{{#white 2}}} || {{{#white 3}}} || {{{#white 4}}} || {{{#white 5}}} || {{{#white 6}}} || {{{#white 7}}} || {{{#white 8}}} || {{{#white 9}}} || || [[중견수]] || [[2루수]] || [[좌익수]] || [[지명타자]] || [[1루수]] || [[우익수]] || [[3루수]] || [[포수]] || [[유격수]] || [[2루수]] || [[좌익수]] || [[3루수]] || [[우익수]] || [[1루수]] || [[지명타자]] || [[포수]] || [[유격수]] || [[중견수]] || || [[민병헌]] || [[최주환]] || [[김현수(1988)|김현수]] || [[홍성흔]] || [[최준석]] || [[임재철]] || [[허경민]] || [[양의지]] || [[손시헌]] || [[정근우]] || [[이명기]] || [[최정]] || [[김상현(1980)|김상현]] || [[한동민]] || [[박재상]] || [[조인성(야구)|조인성]] || [[최윤석]] || [[조동화]] || ||<-15> {{{#ffffff 5월 8일, 18:29 ~ 22:30 (4시간 1분), [[인천 SSG 랜더스필드|{{{#ffffff 문학 야구장}}}]] 9,907명}}} || ||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 '''{{{#ffffff 두산}}}''' || '''[[이정호(1992)|이정호]]''' || '''{{{#ffffff 9}}}''' || 0 || 2 || 0 || 0 || 0 || 1 || 0 || 0 || '''12''' || 14 || 0 || 10 || || '''{{{#ffffff SK}}}''' || '''[[여건욱]]''' || 1 || 0 || 0 || 0 || 1 || 4 || 0 || '''{{{#ffffff 5}}}''' || '''2X''' || '''13''' || 15 || 2 || 8 || ▲ '''승리''': [[전유수]](1이닝 무실점) ▲ '''패전''': [[오현택]](0⅔이닝 2실점 2자책점) ▲ '''홀드''': [[김태영(야구선수)|김상현]](2이닝 무실점, 이상 두산) ▲ '''홈런''': [[최준석]](1회 3점), [[최정]](1회 1점), [[박재상]](8회, 1점), [[한동민]](9회 1점) ||<-5> '''{{{#ffffff 두산 베어스 투수 기록}}}''' ||<-5> '''{{{#ffffff SK 와이번스 투수 기록}}}''' || ||<-5> {{{#ffffff 선발 투수}}} ||<-5> {{{#ffffff 선발 투수}}} || || '''{{{#131230 46}}}'''[br][[이정호(1992)|이정호]] || || 5이닝[br]6R (6ER) || '''0 {{{#blue W}}} 0 {{{#red L}}} 0 {{{#green H}}} 1 {{{#blue S}}}''' || 5.49 || '''{{{#ff0000 49}}}'''[br][[여건욱]] || || 0이닝[br]6R (6ER) || '''1 {{{#blue W}}} 2 {{{#red L}}}''' || 9.56 || ||<-5> {{{#white 구원 투수}}} ||<-5> {{{#white 구원 투수}}} || || '''{{{#131230 47}}}'''[br][[홍상삼]] || || 2.1이닝[br]1R (1ER) || '''0 {{{#blue W}}} 0 {{{#red L}}} 2 {{{#green H}}} 0 {{{#blue S}}}''' || 3.48 || '''{{{#ff0000 85}}}'''[br][[최영필]] || || 1이닝[br]3R (0ER) || '''0 {{{#blue W}}} 0 {{{#red L}}} 3 {{{#green H}}} 0 {{{#blue S}}}''' || 3.86 || || '''{{{#131230 63}}}'''[br][[변시원|변진수]] || || 0이닝[br]4R (4ER) || '''2 {{{#blue W}}} 1 {{{#red L}}} 2 {{{#green H}}} 0 {{{#blue S}}}''' || 7.36 || '''{{{#ff0000 46}}}'''[br][[백청훈|백인식]] || || 4이닝[br]2R (2ER) || '''0 {{{#blue W}}} 0 {{{#red L}}} 0 {{{#green H}}} 0 {{{#blue S}}}''' || 3.60 || || '''{{{#131230 27}}}'''[br][[김태영(야구선수)|김상현]] || '''{{{#green H}}}''' || 0.1이닝[br]0R (0ER) || '''3 {{{#blue W}}} 1 {{{#red L}}} 1 {{{#green H}}} 0 {{{#blue S}}}''' || 3.42 || '''{{{#ff0000 39}}}'''[br][[진해수]] || || 2이닝[br]1R (1ER) || '''0 {{{#blue W}}} 1 {{{#red L}}} 0 {{{#green H}}} 0 {{{#blue S}}}''' || 10.45 || || '''{{{#131230 15}}}'''[br][[오현택]] || '''{{{#red L}}}''' || 0.2이닝[br]2R (2ER) || '''2 {{{#blue W}}} 1 {{{#red L}}} 0 {{{#green H}}} 3 {{{#blue S}}}''' || 0.86 || '''{{{#ff0000 51}}}'''[br][[윤길현]] || || 1이닝[br]0R (0ER) || '''0 {{{#blue W}}} 0 {{{#red L}}} 3 {{{#green H}}} 0 {{{#blue S}}}''' || 3.09 || ||<-5> || '''{{{#ff0000 43}}}'''[br][[전유수]] || '''{{{#blue W}}}''' || 1이닝[br]0R (0ER) || '''1 {{{#blue W}}} 0 {{{#red L}}} 3 {{{#green H}}} 2 {{{#blue S}}}''' || 1.69 || ||<-16> '''{{{#white 두산 베어스 타자 기록}}}''' || || {{{#white 선수}}} || {{{#white 수비[br]위치}}} || {{{#white 1}}} || {{{#white 2}}} || {{{#white 3}}} || {{{#white 4}}} || {{{#white 5}}} || {{{#white 6}}} || {{{#white 7}}} || {{{#white 8}}} || {{{#white 9}}} || {{{#white 타수}}} || {{{#white 안타}}} || {{{#white 타점}}} || {{{#white 득점}}} || {{{#white 타율}}} || || '''{{{#131230 49}}}'''[br][[민병헌]] || [[중견수|{{{#black CF}}}]] || 좌2/중희비 || || 3땅 || || 투땅 || || 4구 || || 2비 || 4 || 1 || 1 || 2 || 0.313 || || '''{{{#131230 7}}}'''[br][[최주환]] || [[2루수|{{{#black 2B}}}]] || 4구/1땅 || || 2땅 || || 2안 || || 중안 || || 4구 || 4 || 2 || 0 || 2 || 0.467 || || '''{{{#131230 50}}}'''[br][[김현수(1988)|김현수]] || [[좌익수|{{{#black LF}}}]] || 우안/우안 || || 우안 || || 좌비 || || 중안 || || || 5 || 4 || 4 || 2 || 0.284 || || '''{{{#131230 44}}}'''[br][[박세혁]] || [[대타|{{{#black PH}}}]][br][[대수비|{{{#black →}}}]][[포수|{{{#black C}}}]] || || || || || || || || || 1땅 || 1 || 0 || 0 || 0 || 0.200 || || '''{{{#131230 22}}}'''[br][[홍성흔]] || [[지명타자|{{{#black DH}}}]] || 중안/좌비 || || 좌2 || || 우안 || || 유땅 || || 4구 || 5 || 3 || 3 || 1 || 0.307 || || '''{{{#131230 10}}}'''[br][[최준석]] || [[1루수|{{{#black 1B}}}]] || '''{{{#ffd700 HR}}}''' || 삼진 || 삼진 || || 유땅 || || || || || 4 || 1 || 3 || 1 || 0.259 || || '''{{{#131230 97}}}'''[br][[오재원]] || [[대수비|{{{#black 1}}}]][[1루수|{{{#black B}}}]] || || || || || || || 2유병 || || 좌파 || 2 || 0 || 0 || 0 || 0.236 || || '''{{{#131230 17}}}'''[br][[임재철]] || [[우익수|{{{#black RF}}}]] || 4구 || 중안 || || 사구 || || 4구 || || 4구 || || 1 || 1 || 0 || 1 || 0.450 || || '''{{{#131230 6}}}'''[br][[허경민]] || [[3루수|{{{#black 3B}}}]][br][[대수비|{{{#black →}}}]][[유격수|{{{#black SS}}}]] || 중안 || 2직 || || 중비 || || 우비 || || 2유병 || || 5 || 1 || 0 || 1 || 0.307 || || '''{{{#131230 25}}}'''[br][[양의지]] || [[포수|{{{#black C}}}]] || 4구 || 삼진 || || 삼진 || || 유땅 || || 우중2 || || 4 || 1 || 0 || 1 || 0.263 || || '''{{{#131230 31}}}'''[br][[정수빈]] || [[대주자|{{{#black PR}}}]][br][[대수비|{{{#black →}}}]][[좌익수|{{{#black LF}}}]] || || || || || || || || || || 0 || 0 || 0 || 0 || 0.260 || || '''{{{#131230 13}}}'''[br][[손시헌]] || [[유격수|{{{#black SS}}}]] || 3실 || || 4구 || 1파 || || || || || || 2 || 0 || 0 || 1 || 0.208 || || '''{{{#131230 16}}}'''[br][[이원석(1986)|이원석]] || [[대타|{{{#black PH}}}]][br][[대수비|{{{#black →}}}]][[3루수|{{{#black 3B}}}]] || || || || || || 삼진 || || 좌비 || || 2 || 0 || 0 || 0 || 0.219 || ||<-16> '''{{{#white SK 와이번스 타자 기록}}}''' || || {{{#white 선수}}} || {{{#white 수비[br]위치}}} || {{{#white 1}}} || {{{#white 2}}} || {{{#white 3}}} || {{{#white 4}}} || {{{#white 5}}} || {{{#white 6}}} || {{{#white 7}}} || {{{#white 8}}} || {{{#white 9}}} || {{{#white 타수}}} || {{{#white 안타}}} || {{{#white 타점}}} || {{{#white 득점}}} || {{{#white 타율}}} || || '''{{{#ff0000 8}}}'''[br][[정근우]] || [[2루수|{{{#black 2B}}}]] || 유땅 || || 삼진 || || 중비 || || || || || 3 || 0 || 0 || 0 || 0.259 || || '''{{{#ff0000 6}}}'''[br][[김성현(1987)|김성현]] || [[대수비|{{{#black 2}}}]][[2루수|{{{#black B}}}]] || || || || || || || 유땅 || 우중2 || 좌안 || 3 || 2 || 4 || 1 || 0.214 || || '''{{{#ff0000 17}}}'''[br][[이명기]] || [[좌익수|{{{#black LF}}}]] || 유비 || || || || || || || || || 1 || 0 || 0 || 0 || 0.340 || || '''{{{#ff0000 0}}}'''[br][[김강민]] || [[대수비|{{{#black C}}}]][[중견수|{{{#black F}}}]] || || || 2땅 || || || 중안 || 1파 || 2땅 || || 4 || 1 || 0 || 1 || 0.069 || || '''{{{#ff0000 14}}}'''[br][[최정]] || [[3루수|{{{#black 3B}}}]] || '''{{{#ffd700 HR}}}''' || || || 4구 || || 중2 || 사구 || || || 2 || 2 || 1 || 2 || 0.351 || || '''{{{#ff0000 7}}}'''[br][[박진만]] || [[대수비|{{{#black 3}}}]][[3루수|{{{#black B}}}]] || || || || || || || || 좌안 || || 1 || 1 || 1 || 0 || 0.250 || || '''{{{#ff0000 27}}}'''[br][[김상현(1980)|김상현]] || [[우익수|{{{#black CF}}}]] || 삼진 || || || 32병 || || 4구 || || || || 2 || 0 || 0 || 0 || 0.244 || || '''{{{#ff0000 33}}}'''[br][[조성우]] || [[대주자|{{{#black PR}}}]][br][[대수비|{{{#black →}}}]][[1루수|{{{#black 1B}}}]] || || || || || || || 삼진 || 투땅 || || 2 || 0 || 0 || 1 || 0.170 || || '''{{{#ff0000 62}}}'''[br][[한동민]] || [[1루수|{{{#black 1B}}}]][br][[대수비|{{{#black →}}}]][[우익수|{{{#black CF}}}]] || || 삼진 || || 삼진 || || 우안 || || 좌비 || '''{{{#ffd700 HR}}}''' || 5 || 2 || 3 || 2 || 0.245 || || '''{{{#ff0000 11}}}'''[br][[박재상]] || [[지명타자|{{{#black DH}}}]] || || 삼진 || || || 중3 || 우안 || || '''{{{#ffd700 HR}}}''' || 4구 || 4 || 3 || 2 || 3 || 0.244 || || '''{{{#ff0000 44}}}'''[br][[조인성(야구)|조인성]] || [[포수|{{{#black C}}}]] || || 우파 || || || || || || || || 1 || 0 || 0 || 0 || 0.235 || || '''{{{#ff0000 42}}}'''[br][[정상호]] || [[대수비]]([[포수|{{{#black C}}}]]) || || || || || 우희비 || 2유병 || || 유안 || 좌안 || 3 || 2 || 1 || 1 || 0.267 || || '''{{{#ff0000 13}}}'''[br][[최윤석]] || [[유격수|{{{#black SS}}}]] || || || 4구 || || 좌안 || 4구 || || 우안 || 삼진 || 3 || 2 || 0 || 1 || 0.278 || || '''{{{#ff0000 1}}}'''[br][[조동화]] || [[중견수|{{{#black CF}}}]][br][[대수비|{{{#black →}}}]][[좌익수|{{{#black LF}}}]] || || || 좌비 || || 3땅 || 좌비 || || 4구 || 고4 || 3 || 0 || 0 || 1 || 0.250 ||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listType=date&date=20130508&gameId=&teamCode=&playerId=&keyword=&id=47677&page=1|네이버 하이라이트]] === 1회 === 1회 초부터 두산은 1번 타자 [[민병헌]]부터 9번 타자 [[손시헌]]까지 안타, 볼넷, 홈런, 실책으로 죄다 1루를 밟으며 SK 선발 [[여건욱]]을 떡실신시켜 버렸고, 결국 이날 여건욱은 무려 '''0이닝 6실점 6자책점에 평균 자책점 [[99.99]]'''[* 정확히는 무한대]--[[한기주]]?--를 기록했다. 게다가 여건욱의 다음 투수로 등판한 [[최영필]]마저 1이닝 3실점[* [[최정]]의 클러치 실책으로 인해 최영필의 자책점은 없었다.]을 기록하고 말았다. 참고로 이날 두산의 1회 9득점은 선발 전원 득점으로 역대 2번째 기록[* [[손시헌]]은 실책으로 출루하였기 때문에 출루로 인정되지 않았다. 때문에 두산은 한 이닝 전원 출루는 기록하지 못했다.]이었다. '''1회 말''', [[최정]]이 홈런 공동 선두로 올라서는 솔로포를 치기는 했지만 점수는 '''9:1.''' SK가 역전하기에는 아무래도 힘든 점수차였다. === 2회 === SK는 2회에 1군 등판 기록이 단 한 번뿐이었던 투수 [[백인식]]을 등판시키면서 벌써 세 번째 투수가 등판했다. 백인식은 [[임재철]]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이후 세 타자를 무난히 잡아내며 2회엔 양팀 모두 득점 없이 이닝이 종료되었다. === 3회 === 3회초에도 올라온 [[백인식]]은 [[손시헌]]에게 볼넷을 내준 이후 [[민병헌]]과 [[최주환]]을 땅볼로 처리해내며 무난히 2아웃을 잡는다. 하지만 [[김현수(1988)|김현수]]의 안타로 주자 두 명을 쌓은 상태에서 [[홍성흔]]에게 펜스를 직격하는 2루타를 맞으며 2실점을 추가, 경기는 '''10점차'''까지 벌어졌다. 거기다 홍성흔의 2루타 때 좌익수 [[이명기]]가 홍성흔의 깊숙한 타구를 잡으려다 펜스에 부딪쳐 왼쪽 무릎 인대 부상을 당하고 교체되는 바람에[* 당초 6~*주면 재활이 완료될 것으로 보였지만 재활이 더뎌지면서 결국 이날 경기를 끝으로 이명기는 2013시즌을 허무하게 끝마치고 말았다.] SK의 분위기는 완전히 침체되고 만다. 게다가 3회말 선두 타자 [[최윤석]]이 볼넷을 얻어 나갔으나 득점엔 실패, SK가 10점의 점수차를 좁히지 못했다. === 4회 ~ 5회 === 4회는 양 팀 모두 득점을 올리지 못한 뒤 5회 초 두산이 득점권에 주자를 내보냈으나 무득점, 5회 말 SK는 선두 타자 [[박재상]]의 3루타와 [[정상호]]의 희생 플라이로 1득점, 10점차였던 점수차를 9점차로 만들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두산은 완전한 승기를 잡은 듯 싶었으나, [[요기 베라|경기는 아직]] [[허구연|완전히 끝난 게 아니었다]]. 게다가 '''KBO 리그에는 점수차로 인한 [[콜드게임]]이 없다'''. === 6회 === '''6회 초''', SK가 '''[[진해수]]'''를 장전시켰지만 이미 9점 차여서 화제를 끌지는 못했다. 이날 진해수의 성적은 2이닝 1실점(평균자책점 4.50)으로 평균은 쳤다는 평가를 받았다.[* 6회에는 실점하지 않았고 아래 7회 항목에 나온대로 7회에 1실점하였다.] '''6회 말''', 5회 동안 2실점으로 호투하던 선발 투수 [[이정호(1992)|이정호]]에게 [[김강민]]이 안타를 치고 나간 뒤 이어 [[최정]]이 2루타, [[김상현(1980)|김상현]]이 볼넷을 얻어내며 무사 만루를 만들어냈다. 두산은 계속해서 이정호로 밀어붙였으나, 뒤이어 나온 [[한동민]]과 [[박재상]]이 연속 적시타를 쳐내며 3점을 추가하였고, 두산의 투수는 [[홍상삼]]으로 바뀐다. 홍상삼은 [[정상호]]를 병살로 잡아냈으나 이정호의 주자인 3루 주자가 홈을 밟으며 이정호의 자책점은 총 6실점으로 늘어났고, SK는 6회 말에 총 4득점하며 점수는 '''11:6''', 5점 차로 좁혀지게 되었다. '''하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아무도 역전할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물론 역전되지 않았으면 이 문서는 없었겠지만...'''[* 심지어 양준혁 해설위원은 "이정호 선수도 이런 위기를 맞아보는 게 경험도 되고 좋을 것"이라고 해설했다.] === 7회 === '''7회 초''', [[진해수]]는 [[민병헌]]에게 볼넷을 내주고 이어 [[최주환]]의 안타, [[김현수(1988)|김현수]]의 1타점 적시타로 다시 6점 차로 점수차가 벌어졌다. ~~그럼 그렇지~~ 하지만 [[홍성흔]]이 땅볼로 아웃된 뒤 1사 1, 3루의 찬스때 [[오재원]]이 병살타를 때려내면서 겨우 1득점에 그쳤다. 7회를 마친 양팀의 스코어는 '''12:6''' 이었다. '''역시 이때까지만 해도 아무도 신경쓰지 않았다'''. === 8회 === '''8회초''', 두산은 볼넷으로 주자가 나가자 병살로 주자를 제거(?). 이어 [[양의지]]의 2루타와 투수 [[윤길현]]의 볼넷을 묶어 3루에 주자를 두지만 [[이원석(1986)|이원석]]이 좌익수 플라이로 아웃. 계속해서 차려진 밥상을 엎는 두산 타자들에 조금씩 불안감이 엄습할 무렵... '''8회말''', 두산은 [[홍상삼]]이 1사 후 [[박재상]]에게 솔로 홈런을 맞은 뒤(12 : 7) [[변시원|변진수]]로 투수를 교체한다. 하지만 교체한 보람도 없이 SK는 [[정상호]]의 내야 안타, [[최윤석]]의 안타, [[조동화]]의 볼넷을 엮어 6회와 비슷한 방법으로 또 만루를 만들어내고, 6회 대수비로 출장했던 [[김성현(1987)|김성현]]이 천금같은 '''싹쓸이 3타점 적시 2루타를 때려내며 스코어는 '''12:10''', 10점 차의 경기가 단 2점 차로 좁혀지게 되었다'''. 그 후 두산은 [[김태영(야구선수)|김상현]]으로 투수를 교체했지만 [[김강민]]의 땅볼로 김성현을 3루까지 보낸 후, 대타 [[박진만]]에게 3루수 옆으로 빠지는 1타점 적시타를 맞고 1실점을 추가한다. 경기는 어느새 '''12:11''', 그 까마득해 보였던 10점 차이는 이제 단 '''1점 차'''가 되었다. 6회 4득점할 때까지만 해도 멀어보였던 역전이 턱밑까지 다가오자 이미 이겨도 이긴 게 아닌 게 되어버린 두산 팬들은 멘붕, SK 팬들은 부푼 기대감을 안고 뚫어져라 경기를 지켜보았다. 당연하지만 이 경기는 시간도 엄청나게 오래 걸려 경기가 다 끝난 타팀 팬들도 모두 모여 이 희대의 경기를 구경하고 있었다. === 9회 === || [[파일:attachment/508 대첩/dc.jpg]] || ~~[[쿠니미 히로|히로]]: [[H2|타임 아웃이 없는 시합의 재미를 가르쳐 드리지요]]~~ 9회 초, 두산은 두 명의 주자를 내보냈지만 추가 득점에는 실패했고 결국 '''1점차''' 승부가 이어졌고, 마침내 '''9회 말''', 선두 타자로 출격한 [[한동민]]이 [[오현택]]의 2구를 받아쳐 솔로 홈런을 날려버렸다. '''이제 경기는 12:12, 원점으로 돌아갔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listType=date&date=20130508&gameId=&teamCode=&playerId=&keyword=&id=47678&page=1|'''"좌측으로 뻗는 타구''' (양준혁 : 자! 큽니다!) '''크게 뻗어갑니다 한동민~! 담장을~! 넘어 갑니다~~~!! 한동민의 동점 솔로 홈런!!"''']] > ---- >- [[윤성호(아나운서)|윤성호]] 캐스터(9회말 한동민 동점 홈런 콜) 이후 [[박재상]]의 볼넷과 [[정상호]]의 '''페이크 번트 슬래시''' 안타가 작렬하고, [[최윤석]]이 다시 페이크 번트 슬래시를 시도하나 타격폼이 완전히 무너지며 헛스윙을 한다[* 더블 스틸을 시도하자 일부러 헛스윙을 했을 확률도 높다.]. 그러나 이 때 [[박재상]]의 주루센스가 돋보이는 [[정상호]]와의 '''더블 스틸'''을 시도하고, 포수가 송구를 하지 못해[* 타자인 최윤석이 번트 자세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번트를 대비해 3루수는 앞쪽까지 나와있어 3루 도루저지를 할 수가 없었고, 박세혁은 공을 받자마자 3루를 쳐다보았기 때문에 2루에도 송구를 할 수 없었다. 그야말로 박재상과 정상호의 노련미로 만들어낸 작전.] 성공으로 이어지며 무사 2, 3루를 만든다[* 이 때 중계 카메라에서 SK 와이번스의 더그아웃을 보여주는데, 분위기가 정말 최고조로 올라갔다. 웃으며 박수를 치는 [[최정]]과 소리까지 질러가며 좋아하는 [[한동민]]을 보여주는 장면은 백미.] 최윤석은 삼진으로 처리한 두산 배터리는 투수가 옆구리 투수인 [[오현택]]이고, 다음 타자인 좌타자 [[조동화]]를 [[고의사구]]로 거른다. 1사 만루. '''그리고 타석에는 전 타석에서 만루상황 싹쓸이 3타점 적시 2루타를 기록한 [[김성현(1987)|김성현]]이 나오는데…'''[* [[오현택]]이 옆구리 투수임을 감안했을 때, 두산 배터리가 [[김성현(1987)|김성현]]을 선택한 것은 당연하다면 당연한 수순이었다. 하지만 이날 [[조동화]]는 안타가 없었던 반면 김성현은 앞선 8회 싹슬이 2루타를 쳐내며 타격감도 끌어올렸고 또한 이미 동점이라 말아먹어도 연장에서 또 치면 되니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았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두산으로서는 아쉬운 선택이 아닐 수 없다. 여담으로 이때 네이버 중계 시청 인원이 15만 명을 돌파했다.][* 일부에서는 번트에 일가견이 있는 조동화의 스퀴즈를 의식하여 피치아웃을 자꾸 시도하다 그냥 고의사구를 준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내기도 했다.][* 사실 9회말 1아웃 동점 끝내기상황에서는 사실 타자주자가 죽더라도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 경기가 끝나버리기 때문에 타자가 공을 외야플라이나 내야땅볼로 치기만해도 경기가 끝날 가능성이 크다. 즉, 타자를 삼진이나 내야플라이로 잡을 확신이 없는 이상 1루를 메워 수비에 유리한 만루로 만드는 것이 맞는 선택인 것이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listType=date&date=20130508&gameId=&teamCode=&playerId=&keyword=&id=47673&page=1|'''"1구 타격! 왼쪽~~! 좌익수 뒤로!! 경기 끝!! 끝내기 안타를 때려내는 김성현! 만화 같은 일이 오늘 현실로 나옵니다!!"''']] > ---- >- [[윤성호(아나운서)|윤성호]] 캐스터(9회말 김성현 끝내기 안타 콜) [[김성현(1987)|김성현]]은 전진 수비 중인 두산의 외야수를 비웃듯이 또다시 좌익수 키를 훌쩍 넘겨 펜스 근처까지 날아가는 장타를 만들어내면서… '''결국 10점차 역전승이라는 KBO 신기록이 세워졌다.''' == 여담 및 총평 == [[파일:508 대첩.jpg]] [[https://m.tv.naver.com/v/12410313?t=174|경기 하이라이트]]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라는 야구의 진리를 제대로 보여준 경기.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SK가 결국 기적을 일으키며 짜릿한 승리를 쟁취했다. 2년 전 같은 날 같은 곳에서도 대첩은 아니었지만 야구 팬의 뒷목을 잡을만한 진기록이 달성되었다. 이 때는 [[KIA 타이거즈]]가 원정팀이었으며 [[SK 와이번스]]가 연장 11회 말까지 가는 접전 끝에 '''연장 끝내기 [[트리플 플레이]]'''로 패배하는 진기록이 나온 적이 있었다(…).[* 당시 11회초 [[김주형]]이 역전 적시타를 친 뒤 SK의 공격에서 나온 일. [[삼중살]] 문서에 그 때 당시 상황이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나무위키]]의 전신인 [[리그베다 위키]]에서 끝내기 삼중살이 담긴 내용으로 '508 대첩' 문서가 작성된 적이 있었지만 내용 자체로는 그다지 막장스런 내용이 아니었기 때문에 삭제됐었다. 그리고 2년 뒤 2013년에 10점차 대역전극이 벌어져서 이 문서는 재작성되었다. 12:12 동점이 됐으니 '''12.12 사태'''라는 둥, 이 날이 어버이날이니 '''효도 대첩, 어버이날 대첩'''으로 하자는 둥, 대첩을 명명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안들이 나왔다. 공교롭게도 [[두산 베어스|두산]] 팬으로 보이는 [[아들]]과 [[SK 와이번스|SK]] 팬으로 보이는 [[아버지]]가 함께 직관을 온 것이 중계 카메라에 잡혔다. ~~어버이날 효과, 효도르급 효도~~ 여담으로 일부 팬들은 [[김성현(1987)|김성현]]의 이름을 [[김상현(1980)|김성사]]로 바꾸자는 드립을 치기도 했다(…). 이들이 이름을 바꾸자고 한 이유는 [[김성현(1989)|김조작]] [[2012년 프로야구 승부조작 사건|때문이었다]]. 당연하겠지만 이 충격적이고 어이없는 대역전 참사에 두산 베어스 팬들은 그야말로 '''[[멘붕]]을 넘어 격렬한 분노에 다다랐다'''. '''10점차로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돌진욱~~ [[김진욱(1960)|김진욱]] 감독은 온갖 이해할 수 없는 선수 기용[* 주전 일찍 빼버리기, 한 박자 늦는 투수 교체 등. [[김진욱(1960)|김진욱]] 감독도 '''[[오현택]]과 [[변시원|변진수]]를 아끼려다가 사단이 났다'''라고 말했다.]으로 가루가 되게 까였고,[* 그런데 SK [[이만수]] 감독도 이미 게임을 내줬다고 생각했는지 홈런~~과 실책~~을 기록한 [[최정]] 등 주전급 선수들을 빼고 투수 기용도 거의 패전처리 위주로 끌고 나갔다. 그런데 '''백업 선수들이 (긍정적인 의미에서) 대형 사고를 쳤으니 '''결과적으로 엄청난 전화위복이 된 셈. 게다가 '''주전들의 체력 안배를 한 상태에서 백업 멤버들로도 두산을 이겼기에''' SK 입장에서는 일석이조였고 두산에게는 더욱 큰 멘붕이 되었다.] 급기야 [[타이중 참사]]를 일으켰던 [[류중일]] 때처럼 [[다음 아고라]]에 [[http://bbs3.agora.media.daum.net/gaia/do/petition/read?bbsId=P001&articleId=137679|사퇴청원]]이 생겼다(…). 그리고 [[현대 유니콘스/2003년/5월/27일|이 경기]]와 [[2009년]] [[한화 이글스/2009년/9월/12일|이 경기]]에서 최다 점수차 역전패라는 불명예 기록을 세웠던 [[KIA 타이거즈|KIA]]와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는 드디어 흑역사 기록 1위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한편, [[삼성 라이온즈]]는 이 날 휴식일이라 경기를 벌이지 않았다. 하지만 전날 두산이 패배함으로써 삼성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편안하게 3위로 올라갔고, 하루 만에 다시 3위를 내줄 뻔했지만 대첩의 탄생으로 3위를 굳히게 되었으니 숨어있는 승자였던 셈(…). 더욱이 두산이 털리면서 팀 평균자책점도 1위가 되었다. 그러나 이 기쁨은 오래가지 못했다. 다음 날 경기였던 9일에는, 안타를 무수히 쏟아낸 SK 타선이 ~~조루~~식은 탓이었는지, 폭우까지 겹치면서 7안타 2볼넷으로 출루는 어느 정도 했으나 2점을 뽑아내는데 그쳤다. 그에 반해 두산은 20안타 5볼넷을 솎아내며 11점을 기록, 전 날의 충격적인 패배를 그나마 갚는데 성공했다. 5월 9일 경기 SK [[선발 투수]]인 [[조조 레이예스]]도 508 대첩의 선발 투수 [[여건욱]]처럼 대량 실점하며 스코어는 9:0이 되었고, 전날 경기에서 교훈을 얻은(…) 두산은 선발 투수인 [[김선우(1977)|김선우]]를 일찍 내리고 필승조인 [[유희관]]-변진수를 투입하면서~~ 불안한~~ 리드를 지키고 스코어 11:2로 승리하면서 스윕패를 면했고, 두 경기 연속으로 기적이 일어나는 일은 없었으며, SK는 이틀 연속 [[여건욱|선발]] [[조조 레이예스|투수]]가 털리는 수모를 겪었다. 하지만 역시 이 대첩의 후유증은 당연히 당한 두산 쪽이 훨씬 더 컸다. 가뜩이나 5월 들어 투수진이 서서히 붕괴의 조짐이 보이는 시점에서 충격적인 대역전패를 당하면서, [[오월두산|이를 계기로 투수진이 선발, 불펜 가리지 않고 처참하게 무너져 버렸다.]] 두산은 이 경기를 패한 이후 5월 9일~11일에 3연승을 달렸으나 그 이후부터 추락이 시작되었다. 5월 12일, 두산은 [[NC 다이노스]]에 스코어 '''17:5'''로 대패의 수모를 겪었고, 5월 18일에는 당시 압도적인 9위를 달리던 [[한화 이글스]]에 '''2:14'''[* 더 충격이었던 건 [[이혜천]] 선발.]로 또 다시 치욕적인 대패를 기록하고 말았으며, 5월 21일에는, [[넥센 히어로즈]]에 '''15:7'''로 대패하면서 한 번 더 [[멘탈붕괴]]한다. 더욱이 5월 마지막 날인 31일마저 다시 [[넥센 히어로즈]]에게 스코어 '''10:3'''으로 패하고 화룡점정을 찍으면서 두산은 2자릿수 이상 대량 실점패를 5월 한 달에만 5번을 찍었고, 1위였던 팀 평균자책점은 폭망해서 '''8위'''까지 내려갔다. 또 두산은 5월 21일 경기에서 5회초에 점수차가 8점인 상황에서 나온 상대 팀의 3루 도루에 발끈해 빈볼을 던진 것에 대해 옹호를 거의 받지 못했는데,[* 두산 팬들 사이에서도 2연속 빈볼은 과했다는 의견이 대세였다.] 이 대첩의 여파로 10점 차라도 충분히 역전 가능하다는 인식이 퍼져버렸기 때문이었다. 더군다나 역전패를 당한 팀이 두산 당사자였기에, 두산은 역지사지도 모른다는 말과 이 대첩에서 얻은 교훈이 없다는 말도 들어야 했다. 이후로도 여전히 두산은 큰 점수차로 질 때 도루를 당할시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못하고 있어서 비판받고 있다. 특히 이 대첩의 상대였던 SK를 상대로 [[두산 베어스/2014년|다음 시즌]] 7월 24일과 9월 6일, 두번이나 저 짓을 했다는 것이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black2873154|기사]]로 뜨면서 팬들 역시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훗날 [[김진욱(1960)|김진욱]] 감독은 [[skySports]]에서 해설을 하게 됐는데 SK 경기 중계 도중 타석에 나선 김성현을 보고 "감독일 때 아픈 기억이 있어서 그런지 아직도 김성현만 보면 움찔하게 된다"는 코멘트를 날리기도 했다. 이후에 두산이 불과 4개월 후 같은 장소에서 [[두산 베어스/2013년/9월/12일|이런 경기]]를 만들어내며 그나마 만회하긴 했지만 10점차 역전패라는 치욕을 지우기엔 무리가 있다. 4년 뒤 [[SK 와이번스/2017년/7월/5일|7월 5일 경기]]에서 SK가 11점차의 리드 상황에서 KIA에게 역전을 당하며, 최다 점수차 역전승 기록을 잃어버리고 흑역사를 적립할 위기에 처했으나, 재역전승을 이루어내며 팀의 기록을 지키고 흑역사 적립을 방어하는데 성공했다. 6년 뒤, 같은 5월 8일 수요일에 [[한화 이글스]]를 홈에서 맞은 SK는 이번에는 반대로 '''1회에 9점을 선취하며''' 508 대첩 때 두산의 흐름과 똑같이 시작했다. 아웃카운트 하나 잡지 못하는 상대 선발에 더불어 3루 실책으로 인한 추가 실점은 덤. 하지만 그때와 달리 마운드의 근본적인 차이가 있어서 SK는 경기 내내 압도적인 흐름을 이어갔고, 결국 2:17로 완승하며 어버이날에 좋은 기억을 이어갔다. 508 대첩 당시 극적인 동점 홈런을 기록한 [[한동민]]은 6년 뒤에는 멀티홈런을 장식했으며, [[최정]], [[김성현(1987)|김성현]], [[김강민]]은 두 경기 모두 안타를 때려냈고, 당시 외야를 맡았던 [[조동화]]와 [[박재상]]은 SK 코치가 되어 이 경기를 지휘했다. 또한, 당시 상대팀이던 [[두산 베어스]] 역시 홈에서 KIA를 맞아 투수전 끝에 0-1로 승리를 거두었다. [각주] [[분류:KBO 리그/개별 문서가 있는 경기/2013년]][[분류:두산 베어스/2013년]][[분류:SK 와이번스/201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