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린스(음악가)]][[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1987년 음반]][[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Funk]][[분류:소울 음악]][[분류:팝 록]][[분류:사이키델릭 팝]] [include(틀:프린스/음반 목록)] ||<-5> [[프린스(음악가)|{{{#fff '''프린스의 스튜디오 앨범'''}}}]] || || [[Parade|{{{#000,#fff Parade}}}]][br]{{{-2 1986}}} || → || [[Sign 'O' the Times|{{{#000,#fff Sign 'O' the Times}}}]][br]{{{-2 1987}}} || → || [[Lovesexy|{{{#000,#fff Lovesexy}}}]][br]{{{-2 198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5ac1f 10%, #000000)" {{{#fff '''Sign 'O' the Times의 주요 수상·기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17)]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연도별 1위 앨범(1980년~1999년))] ---- [include(틀:타임지 선정 100대 앨범)]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30)]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93,연도2=2020,순위2=45)]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198)] ---- [include(틀:멜로디 메이커 선정 100대 명반,순위=75)] ---- [include(틀:NME 선정 30대 더블 앨범)]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8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17)]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155)]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47, 연도=1998, 순위2=19,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68)]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31)] ---- [include(틀:더 가디언 선정 훌륭한 아티스트 입문을 위한 음반)] ---- }}} || ||<-2> '''{{{#FFFFFF {{{+1 Sign 'O' the Tim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50d2a350f3a3b28e804a6ea668f93507.jpg|width=100%]]}}} || || '''발매일''' ||[[1987년]] [[3월 30일]] || || '''녹음일''' ||[[1986년]] 3월 ~ [[1987년]] 1월 || || '''장르''' ||[[컨템퍼러리 R&B]], [[팝 록]], [[펑크(음악)|펑크]], [[소울 음악|소울]], [[사이키델릭 팝]] || || '''재생 시간''' ||80:06 || || '''곡 수''' ||16곡 || || '''프로듀서'''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 '''레이블'''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1987년]] 발매된 [[프린스(음악가)|프린스]]의 정규 9집 앨범. == 상세 == [[더블 앨범]]으로, 1987년 3월 30일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에서 발표되었다. 이 앨범은 원래 1986년 초 'Dream Factory'라는 제목의 프로젝트로 시작되었다가 프린스가 당시 자신의 연인이었던 수잔나 멜보인과 결별하고 백밴드 레볼루션도 해산한 시점에서 중단되었다. 그 해 말에 프린스는 카밀이라는 가명으로 녹음한 세 장짜리 앨범 'Crystal Ball'을 완성하였지만, 워너 브라더스가 상업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발매를 거절하자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앨범이 바로 이 Sign 'O' the Times이다. 이때쯤부터 프린스와 그의 소속사와의 기나긴 분쟁이 본격적으로 심화되기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Purple Rain]], [[1999(앨범)|1999]] 그리고 Dirty Mind와 더불어 가장 평가가 높은 프린스의 앨범 중 하나다. 특히 [[펑크(음악)|펑크(Funk)]], [[소울 음악|소울]], [[싸이키델릭 락]], [[일렉트로|일렉트로 뮤직]] 등 여러 장르를 섞어 독특한 음악을 만드는 프린스의 방식이 정점에 달한 앨범이다. 타이틀곡이 [[빌보드 핫 100]] 3위에 올라갔기는 했지만 앨범 판매량이 아주 높지는 않으며, 프린스 전성기의 끝물 앨범이다. 오랫동안 리마스터가 이뤄지지 않았다가 2020년 9월 25일 리마스터 후 재발매됨과 동시에 슈퍼 디럭스 에디션이 나왔다. 여담으로 Sign 'O' the Times는 편의상 간략하게 부르는 제목이고, 원제는 Sign "☮︎" the Times이다. == 평가 == ||AllMusic||5/5|| ||Blender||5/5|| ||Entertainment Weekly||A|| ||Christgau's Record Guide||A+|| ||[[피치포크 미디어]]||10/10|| ||[[롤링 스톤]]||5/5|| 거의 전 매체에서 만점을 매겼다. 이 앨범은 1987년 발매 당시부터 기록적인 찬사를 받고 있다. [[롤링 스톤]], [[NME]]를 비롯한 여러 잡지에서 수차례 가장 위대한 앨범 리스트에 들었고 프린스 본인의 디스코그래피를 떠나서 [[컨템퍼러리 R&B|R&B]]라는 장르와 80년대를 대표하는 앨범으로 여겨진다. 보통 프린스의 최고작이라 여겨지는 [[Purple Rain]] 보다도 높은 평가를 받기도 한다. >우회적으로, Sign 'O' the Times는 80년대 후반을 담은 음악입니다. 이건 좋은 시절이 무너지는 소리이고, 만약 여러분이 그런 문제들을 그냥 춤추면서 떨쳐버리면 어떻게 의심과 두려움이 무시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AllMusic - 앨범 내적으로는 80년대 사회상에 대한 프린스의 반응이라고 생각된다. 마약, 의미없는 섹스, 에이즈와 같은 혼란스러운 시대의 우울한 이미지와 사랑, 희망 등 긍정적 주제가 균형을 이루면서 Sign 'O' the Times는 매우 깊으면서 한편으로 신나는, 비슷한 음반을 찾기 힘든 작품이 되었다. 현재 메타크리틱에서 '''99점'''을 기록중이다. == 트랙리스트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작사 / 작곡'''}}} || {{{#FFFFFF '''재생 시간'''}}} || ||<-5> '''Side 1''' || || 1 || [[Sign 'O' the Times(노래)|Sign 'O' the Times]] ||<|4>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5:02 || || 2 || Play in the Sunshine || 5:05 || || 3 || Housequake || 4:38 || || 4 || The Ballad of Dorothy Parker || 4:04 || ||<-5> '''Side 2''' || || 5 || It ||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5:10 || || 6 || Starfish and Coffee || 수재나 멜보인,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2:51 || || 7 || Slow Love || [[프린스(음악가)|프린스]], 캐롤 데이비스 || 4:18 || || 8 || Hot Thing ||<|2>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5:39 || || 9 || Forever in My Life || 3:38 || ||<-5> '''Side 3''' || || 10 || [[U Got the Look]] ||<|4>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3:58 || || 11 || If I Was Your Girlfriend || 4:54 || || 12 || Strange Relationship || 4:04 || || 13 || I Could Never Take the Place of Your Man || 6:31 || ||<-5> '''Side 4''' || || 14 || The Cross ||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4:46 || || 15 || It's Gonna Be a Beautiful Night || 닥터 핑크, 에릭 리즈,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8:59 || || 16 || Adore ||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6:29 || === Side 1 === ==== [[Sign 'O' the Times(노래)|Sign 'O' the Times]] ==== [Youtube(ON8l6l1Es2I)]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ign 'O' the Times(노래))] ==== Play in the Sunshine ==== [Youtube(zKlbDCDm7Ic)] ==== Housequake ==== [Youtube(T_HXcQgcwiw)] ==== The Ballad of Dorothy Parker ==== [Youtube(XW8LfVhfb-k)] === Side 2 === ==== It ==== [Youtube(J0yEgMOBP74)] ==== Starfish and Coffee ==== [Youtube(jl1n9OOBfaI)] 작곡 크레딧에서 알 수 있듯이 수잔나 멜보인이 참여했다. 곡의 내용은 수잔나 멜보인과 리사가 같이 학교를 다닐때 만났던 아이 Cynthia Rose에 관한 내용이다. 신시아는 항상 아침으로 '불가사리와 오줌'을 먹고온다고 말했다고 멜보인이 2016년 웹사이트[[https://www.starfishandcoffeeofficial.com/]]에서 밝혔다. 상술했듯이 원래는 starfish and pee-pee 였는데 프린스가 coffee로 바꾼 것이다. ==== Slow Love ==== [Youtube(e3mLHDUuZmE)] ==== Hot Thing ==== [Youtube(kBkuGmWbh0c)] ==== Forever in My Life ==== [Youtube(xtx5s5mtnLY)] === Side 3 === ==== [[U Got the Look]] ==== [Youtube(XWbOV6FMe8I)] ==== If I Was Your Girlfriend ==== [Youtube(YZU2Zqrfz-s)] * [[TLC]]가 정규 2집 [[CrazySexyCool]]에서 커버했다. 큰 변화 없이 원곡의 분위기를 똑같이 살렸다. 프린스의 시대를 앞서 간 센스를 알 수 있는 부분. ==== Strange Relationship ==== [Youtube(nQR5oYRzb_A)] ==== I Could Never Take the Place of Your Man ==== [Youtube(D_iWahmor_I)] === Side 4 === ==== The Cross ==== [Youtube(sIkZFr8-Z14)] ==== It's Gonna Be a Beautiful Night ==== [Youtube(aF_SiTMMNq4)] ==== Adore ==== [Youtube(uIgQ-tI3pb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