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푸른 눈]]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Sin(유희왕), top2=푸른 눈)]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MaleficBlueEyesWhiteDragon-JP-Anime-MOV2.png|width=3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명칭=Sin() 푸른 눈의 백룡, 일어판명칭=Sin(シン) 青眼の白龍(ブルーアイズ・ホワイト・ドラゴン), 영어판명칭=Malefic Blue-Eyes White Drago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종족=드래곤족, 효과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의 덱에서 "푸른 눈의 백룡" 1장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만\, 패의 이 카드를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필드에 "Sin World"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카이바 세토|사장님]]께서 이 카드를 싫어하십니다.--[* 실제로 듀얼링크스에서 카이바가 자기의 푸른 눈을 추악한 모습으로 만들었다고 분노한다.] ##このカードは通常召喚できない。自分のデッキから「青眼の白龍」1体を墓地へ送る事でのみ、手札のこのカードを自分フィールド上に特殊召喚する事ができる。フィールド上に「Sin World」が存在しない場合、このカードを破壊する。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패러독스(유희왕)|패러독스]]가 [[카이바 세토]]의 [[푸른 눈의 백룡]]을 강탈해서 만든 푸른 눈의 백룡의 그림자. [[Sin 셀렉터]]로 서치한 후 같이 소환된 [[Sin 붉은 눈의 흑룡]]이 [[블랙 매지션 걸]]을 공격했으나 [[정크 가드너]]의 효과로 수비 표시가 되어 막히자 [[블랙 매지션]]을 공격해 파괴한다. 공격명은 나오지 않았으나 다른 Sin 몬스터들의 공격명이 원본과 같은 점으로 보아 이쪽도 원본과 같은 멸망의 버스트 스트림이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 패러독스가 Sin 푸른 눈의 백룡의 공격 대사로 나왔다.] === OCG === [[파일:20TH-JPC69.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명칭=Sin() 푸른 눈의 백룡, 일어판명칭=Sin(シン) 青眼の白龍(ブルーアイズ・ホワイト・ドラゴン), 영어판명칭=Malefic Blue-Eyes White Drago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덱에서 "푸른 눈의 백룡" 1장을 제외했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Sin(신)" 몬스터는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다른 자신 몬스터는 공격 선언할 수 없다., 효과3=③: 필드 마법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주간 소년 점프 2010년 2호 특전 카드로 발매.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등장한 푸른 눈의 백룡의 Sin 버전이다. 그래서인지 [[타락]]이라도 한것처럼, 대다수의 푸른 눈 관련 몬스터들과 달리 속성이 [[유희왕/속성#s-2.6|어둠 속성]]이다. 원래는 유일했으나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과 [[푸른 눈의 카오스 드래곤]]의 등장으로, 유일한 어둠 속성 푸른 눈 몬스터는 아니게 되었다. 원작 극장판의 Sin들은 원본 몬스터를 제외하지 않고 그냥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특수 소환했다. 만약 OCG에서도 저랬다면 푸른 눈 덱에서도 채용가치가 높았을 것이다. 소환하는 것 뿐만 아닌 '''즉시 덱에서 푸른 눈의 백룡을 묘지로 보낸다'''라는 것은 당시 기준으로 강력한 효과이기 때문이었다. 때문에 OCG화되면서 제외하는 것으로 나왔다. 덱에서 [[푸른 눈의 백룡]]을 제외하면 패에서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패에 잡히면 특수 소환이 쉽다는 걸 제외하면 Sin 덱이든, 푸른 눈 덱이든 장점이 거의 없다. 푸른 눈의 백룡은 제외되지, 다른 Sin 몬스터는 소환을 못하지, 자신은 이 몬스터로밖에 공격하지 못하지, 필드 마법이 없으면 파괴되어 버린다. 거기다 전설의 백석의 존재를 생각해보면 8기 당시 웬만해선 전설의 백석 3장, 푸른 눈의 백룡 3장이 들어가는 푸른 눈 덱에선 이 카드도 여러 장 있지 않으면 잘못하면 이 카드가 패에 잡히기 전에 푸른 눈의 백룡 3장이 먼저 패에 들어올 가능성도 다분하단 문제가 생긴다. 전설의 백석으로 서치할 수 없고, 일반 몬스터도 아니라서 [[하늘빛 눈의 은룡]]의 싱크로 소재로 사용이 안 됐다. 하지만 이 카드 역시 푸른 눈 카드인지라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 [[푸른 눈의 정령룡]]의 소환 소재로 쓰는 것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 카드의 파괴를 트리거로 [[딥아이즈 화이트 드래곤]]을 특수 소환할 수 있긴 하다.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나 [[갤럭시아이즈]] 엑시즈 몬스터와 같은 레벨 8x2을 요구하는 엑시즈 몬스터의 채용할 경우, 소재 1장을 쉽게 조달할 수 있기도 하다. 또한 [[드래곤 자각의 선율]]에도 대응해 서치는 쉬운 편이다. 다만 가장 큰 문제는 소환 조건. 덤핑이었다면 당장 백룡을 묘지로 전송시켜주는 만큼 엄청난 메리트가 되지만, 하필이면 푸른 눈과 제일 안 맞는 '''제외'''가 조건. 더군다나 9기 때의 폭풍 지원 이후로 필드에 백룡들이 득실득실해지는 게 가능해지면서 이 카드는 순수 푸른 눈 덱에선 경쟁 조건을 완전히 잃었다. 거기에 [[푸른 눈의 아백룡]]의 소환[* 패의 푸른 눈의 백룡을 보여줌으로서 특수 소환.]과 서로 충돌될 위험성도 있어서 순수 푸른 눈 덱에는 거의 아예 안 넣는다. 물론 이런 문제점은 어디까지나 이 카드를 '''순수 푸른 눈''' 덱에서 사용한다는 가정 하의 문제점이다. 푸른 눈의 의존도를 낮춘 드래곤 링크 축 백룡 등에서는 확정 서치가 가능한 [[용의 계곡]] 등의 필드 마법을 통해 소환 조건을 맞출 수 있으며 이 경우 링크/엑시즈 소재로 사용하긴 [[아백룡]]보다도 편하다. Sin 덱에서는 당연히 사이버 엔드와 스타더스트에 밀리긴 하지만, 이외의 Sin들 중에서 소생이 가능한 녀석은 이 녀석하고 [[Sin 붉은 눈의 흑룡]], 그리고 [[Sin 패러독스 드래곤]] 3장 뿐인데,[* [[Sin 트루스 드래곤]]은 자신의 특수 소환 가능 영역이 자체적으로 묘지를 포함하지만, 자체 효과로만 소생되니 예외.] 이 중 비교적 서치 및 소환 난이도가 쉬우면서도 높은 능력치를 보유하고 있는건 '''이 카드 뿐이다.''' 특수 소환 난이도 자체는 [[Sin 사이버 엔드 드래곤]]과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쪽이 훨씬 더 쉽지만, 그래도 이 쪽은 패 특수 소환에 성공하기만 하면 몇 번이고 우려먹을 수 있다. 대부분의 Sin과 마찬가지로 [[스킬 드레인]]과 상성이 좋다. 거기다 Sin 중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함께 레벨 8이기 때문에 [[Sin 패러렐 기어]]로 튜닝해 [[Sin 패러독스 드래곤]]을 불러올 수 있는 Sin 중 하나. 보통 [[스킬 드레인]]이 깔려있는 상태에서도 2번째 Sin을 불러내는 건 불가능하지만, [[Sin 패러독스 드래곤]]만큼은 예외적으로 가능하기 때문. 필드에 스킬 드레인 + 다른 Sin이 나와있는 상태에서 Sin 패러렐 기어를 소환한 뒤 바로 패의 이 카드에다가 튜닝해버리면 공격력 4000짜리 몬스터가 뚝딱 하고 튀어나와 협공에 가세할 수 있다. 이 점에선 같은 레벨의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비교되는데, 소환 난이도는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더 쉽고 저쪽은 필드 마법 보호 효과까지 갖추고 있다. 그러나 스킬 드레인을 깔고 싸울 생각이라면, 좋은 효과까지 사라져버리는 저쪽에 비해 오히려 디메리트 효과만을 갖고 있는 이쪽이 더 이득을 보게 되는 셈이다. 거기다가 공격력은 이쪽이 더 높다. == 관련 카드 == === [[푸른 눈의 백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