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마인크래프트 프로젝트]][[분류:마인크래프트/플러그인/Skript]]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마인크래프트/플러그인)] [목차] {{{#!syntax javascript on load: log "Hello, World!" }}} == 개요 == Skript는 [[마인크래프트]] Spigot 기반 플러그인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팅 언어이다. == 특징 == === 장점 === * '''가독성''' - 문법이 영문법에 기반하기 때문에 비교적 다른 언어에 비해 쉽게 읽힌다. * '''개발 편의성''' - 플러그인에 비해 코드를 다시 로드하는 방법이 단순하기 때문에 코드를 수정하면서 플레이를 지속할 수 있다.[* 플러그인도 PlugMan과 같은 플러그인 또는 /reload 명령어를 사용해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방법은 아니다. Skript와 달리 플러그인은 리로드 시 메모리 저장한 내용이 깨끗하게 제거되며, 선언한 명령어는 서버를 다시 시작하기 전까지 해당 플러그인에 종속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수정하고 리로드하며 사용하기 어렵다.] * '''호환성''' - 한번 작성된 코드는 마인크래프트 버전에 구애받지 않는다. 래핑 API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얻는 장점. 예를 들어 1.12.2용으로 작성된 코드의 대부분은 1.17.1에서도 작동한다.[* 다만 너무 오래된(deprecated) API는 호환되지 않을 수 있다.] * '''막강한 애드온''' - 에드온을 손쉽게 만들 수 있고, 이 덕에 수많은 기능을 애드온을 이용해 추가할 수 있다. 가령, skQuery를 이용하면 람다식과 비동기 처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되고, skript-mirror를 사용하면 자바 코드를 직접 다룰 수 있으며, SkBee나 SkStuff를 사용해 비교적 안전하고 손쉽게 NMS 패키지를 불러올 수도 있다. === 단점 === * '''인터프리터의 한계''' - 인터프리터의 단점을 그대로 따른다. 문제는 아래 항목을 따로 서술할 정도로 추가적인 문제가 있다는 점이다. * '''난잡한 코드''' - 타 언어와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이 완전히 다르다. 초보자가 코드 해석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코드가 상당량 정형화되어 있지 않은데, 정작 이로 인해 코드를 깔끔하게 작성하기는 어렵다. * '''느린 속도''' - 플러그인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단, Bukkit과 Spigot API를 그대로 사용하고, 코드를 로드할 때 컴파일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일반적인 사용 범위 내에서 플러그인과 성능 차이는 미미하다고 해도 무방하다. 하지만 연산과 관련된 부분에서 차이가 큰 편이다. 약 50배 가량 차이나는 모양. [[https://m.blog.naver.com/kites_/221555668124|#]] == [[/스크립트 작성 도움말|스크립트 작성]] == 스크립트의 Event, Conditions, Effect 등이 작성되어 있는 문서. == 애드온 == {{{#!folding [애드온 목록 펼치기 / 접기] || 애드온 || 개발자 || 카테고리 || 기능 || 버전 || || [[Skript/스크립트 작성 도움말/Skellett|Skellett]] [[https://www.spigotmc.org/resources/skript-java-addon-skellett.34361/|#]] || LimeGlass || 유틸리티 ||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범용 애드온이다. || 1.17 || || SkQuery || || 유틸리티 || || 1.12 || || [[https://dev.bukkit.org/projects/skrayfall|SkRayFall]] || || ||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범용 애드온이다. || 1.17 || || Biosphere2 || || || || || || BunchSk || || || || || || BungeeMaster || || 커넥터 || || || || Conquer || || || || || || Ersatz || || || || || || FunkySk || || || || || || GameAPI || || || || || || Marsk || || || || || || FileSkRebirth || || || || || || HolographicDisplaysAddon || || 커넥터 || || || || HyperSK || || || || || || IdkSk || || || || || || Khoryl || || || || || || Kosmos- || || || || || || MiSK || || || || || || MundoSK || || 유틸리티 || || || || NpcAddon || || || || || || PurpleSk || || || || || || QuarSK || || || || || || [[https://forums.skunity.com/resources/sharpsk-1-8-1-12.72/|SharpSK]] || || || || 1.12 || || Sk-NBeeT || || NBT || || 1.12 || || SkBee || || NBT || Sk-NBeeT의 계승 애드온으로 NBT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 1.17 || || SkDragon || || 파티클 || 장식용 파티클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 1.16.5[* 1.17 버전은 Skript 공식 디스코드에서 배포되고 있다.] || || Skematic || || || || || || skLib || || || || || || skript-gui || || GUI || TuSKe의 계승 애드온으로 GUI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 1.17 || || skript-hack || || || || || || [[https://github.com/btk5h/skript-mirror/releases|skript-mirror]] || || 리플렉션 || 자바에 접근할 수 있어 Vault 없이도 펄미션이나 에센셜의 돈을 불러올 수 있다. || || || skript-npc || || 커넥터 || || || || Skript-Paper || || 커넥터 || || || || skript-ping || || || || || || skript-reflect || || 리플렉션 || skript-mirror의 포크 버전이다. || 1.17 || || skript-votifier-hook || || 커넥터 || || || || [[https://github.com/Sashie/skript-yaml|skript-yaml]] || || 데이터베이스 || [[YAML|yml]] 파일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 1.17 || || SkRolis || || || || || || SkRPG || || || || || || SkStuff || || || || 1.12 || || skU || || || || || || Skuared || || || || || || Skungee || || 커넥터 || || || || skUnity-Testing || || || || || || SkUniversal || || || || || || skUtilities || || 유틸리티 || || || || SkWaze || || || || || || Tablisknu || || || || || || TeamSkript || || || || || || Ticker || || || || || || TuSKe || || GUI, 유틸리티 || GUI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 1.16.5 || || TwitterSK || || || || || || Umbaska || || || || || || Vixio || || || || || || WebSKT || || || || || || WildSkrip || || || || || || WolvSK || || || || || || randomsk || || || || || || gomsk || || || || || || wildsk || || || || || }}} == 커뮤니티 및 레퍼런스 == * '''[[https://github.com/SkriptLang/Skript/releases|Skript 공식 문서]]''': 깃헙 페이지로 호스팅되는 스크립트 공식 도큐먼트 * '''[[http://skunity.com|skUnity]]''': 스크립트와 애드온 모두 문서를 제공하며, 직접 작성할 수도 있다.[* 이 레퍼런스는 자체 확장앱을 지원한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the-skunity-extension/fkimgceiikaopeaomjneajfkjlfinkik|링크]]'''] * '''[[https://skripthub.net/docs|Skript Hub]]''': 스크립트와 애드온 모두 문서를 제공한다. skUnity와 비슷하나 레이아웃이 단순하고 더 빠르다. * '''[[https://blog.naver.com/hireusen|Hireusen's Blog]]''': 국내 한 유저가 Skript 플러그인의 구문들을 한국어로 번역 및 정리한 블로그 == 여담 == * [[마인크래프트/베드락 에디션|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에디션]]의 비공식 모드들 중 하나인 [[블록런처/ModPE 개발|ModPE 스크립트]] 역시 스크립트라고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