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00000>[[파일:smartco.webp|width=100%]]|| ||<:><#d6d6d6>'''{{{#000000 Smart Connector}}}'''|| == 개요 == [[Apple]]이 [[iPad Pro(12.9형)|12.9형 iPad Pro]]에 최초로 적용한 마그네틱 단자 기반의 단자 규격. == 상세 == [[Apple]]이 iPad 시리즈의 하위 브랜드로 생산성 작업을 중시한 iPad Pro 제품군을 기획하면서 개발한 단자 규격이다. 주로 키보드 액세서리인 [[Apple Smart Keyboard|Smart Keyboard]], [[Magic Keyboard(iPad)|iPad용 Magic Keyboard]]와 Apple의 MFi 인증을 받은 서드파티 키보드 액세서리와의 연결을 지원한다. 즉, [[마이크로소프트]]나 [[삼성전자]] 등 경쟁사들이 간간히 스마트 디바이스에 탑재하는 [[Surface 타이핑 커버]] 포트나 POGO pin과 유사하다.[* [[Microsoft]]는 [[Microsoft Surface]] 소속 [[태블릿 컴퓨터]]의 키보드 액세서리인 [[Surface 타이핑 커버]] 연결을 위해 Surface 타이핑 커버 포트를 기기에 탑재하고 있고 [[삼성전자]]는 [[갤럭시 탭 S3]] 이후로 공개되는 [[태블릿 컴퓨터]]에 키보드 액세서리 연결을 위해서 POGO pin을 탑재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모토로라]]가 [[레노버 모토로라 모토 Z|모토 Z 시리즈]]의 확장 액세서리인 [[레노버 모토로라 모토 Z#s-1.1|Moto Mods]]의 연결을 위해서 기기 후면 하단에 전용 마그네틱 단자를 탑재하고 있고 Essential 역시 확장 액세서리 연결을 위해서 기기 우측 상단에 POGO pin을 탑재하고 있다.]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서드파티 키보드 액세서리는 기존에도 많이 존재했지만 액세서리에 별도의 전원 시스템[* 별도의 전원 장치를 연결하거나 아예 배터리를 내장해야 했다. 보통은 휴대성을 위해서 배터리를 내장하는 경우가 많았다.]을 갖춰야 했고 블루투스를 계속 활성화해야 하기 때문에 기기 자체의 배터리 소모 역시 평상시보다 증가하였고, 디자인적으로도 키보드를 본체와 별개로 들고 다녀야 했고, 케이스와 일체형 키보드의 경우에도 제품 휴대시 두께가 증가하는 등 단점들이 존재했었다. 그러나, POGO pin 등 마그네틱을 이용한 단자를 사용하면 액세서리 쪽은 별도의 전원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없어서 경량화할 수 있고 기기 역시 블루투스를 활성화해서 소모되는 전력보다는 더 적은 양의 전력으로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타임 관리에도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 디자인 적으로도 키보드와 케이스를 결합하면서도 두께는 키보드 내장 케이스를 장착하지 않은 것과 별 차이가 없을 정도의 두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iPad Pro 제품군이 생산성 작업을 중시하는 만큼 키보드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마그네틱을 이용한 새로운 단자 규격을 개발한 것으로 보인다. == 탑재 기기 == * iPad 제품군: [[iPad(7세대)]] 이후의 모든 제품 * iPad Air 제품군: [[iPad Air(3세대)]] 이후의 모든 제품 * iPad Pro 제품군: 모든 제품 [[분류:단자/데이터 입출력]] [[분류:Apple의 하드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