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The Chainsmokers]][[분류:콜드플레이/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3위 노래]][[분류:빌보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차트 1위 노래]][[분류:2017년 노래]][[분류:Spotify 10억 스트리밍]][[분류:Spotify 20억 스트리밍]][[분류:Dolby Atmos 지원 음악]] ||<-2> {{{+2 '''Something Just Like This'''}}} || ||<-2>[[파일:R-9888762-1488012854-5479.jpeg.jpg|width=100%]]|| || '''수록 음반''' ||'''[[Memories... Do Not Open]],[br][[Kaleidoscope EP]]'''|| || '''발매일''' ||'''2017년 2월 22일'''|| || '''레이블''' ||'''Disruptor, Columbia'''|| || '''작곡작사''' ||'''Andrew Taggart, [[가이 베리먼|Guy Berryman]][br][[조니 버클랜드|Jonny Buckland]], [[윌 챔피언|Will Champion]][br][[크리스 마틴|Chris Martin]]'''|| || '''프로듀서''' ||'''[[The Chainsmokers]]'''|| ||<:><#C0C0C0>'''{{{#white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100]]]]}}}'''||'''{{{#RED 3위}}} / 39주 차트인'''|| ||<:><#C0C0C0>'''{{{#white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100]]]]}}}'''||'''{{{#RED 2위}}} / 45주 차트인'''|| ||<:><#C0C0C0>'''{{{#white [[Spotify|[[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100]]]]}}}'''||'''2,121,271,870회[* 2023년 5월 13일 기준]'''|| ||<:><#C0C0C0>'''{{{#white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100]]]]}}}'''||'''2,113,396,615회[* 공식 뮤직비디오가 없으므로 오디오영상으로 대체함.][* 2023년 1월 16일 기준]'''|| [youtube(FM7MFYoylVs)] [목차] == 개요 == 미국의 일렉트로닉 듀오 [[체인스모커스]]와 영국의 록밴드 [[콜드플레이]]의 콜라보 곡. 2017년 2월 22일에 발표되어 체인스모커스의 앨범 '[[Memories... Do Not Open]]'에 수록되었으며 콜드플레이의 앨범 '[[Kaleidoscope EP]]'에는 도쿄에서 한 라이브버전이 수록되었다. 발매 2주째에 빌보드 5위에 올랐고 전세계 차트에서 상위귄에 올랐다. 2017년 NCAA 남자 농구 대회의 테마곡으로 쓰였으며, 2018년 1월에 60번째 그래미 어워드를 수상하였다. 2021년 12월 기준 20억이 넘는 유튜브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 가사 == || {{{+5 {{{#white '''Something Just Like this'''}}}}}} || ||<:> I've been reading books of old 나는 오래된 책을 읽어왔어 The legends and the myths 신화와 전설 Achilles and his gold [[아킬레우스|아킬레스]]와 그의 황금 Hercules and his gifts [[헤라클레스]]와 그의 능력 Spiderman's control [[스파이더맨]]의 통제력 And Batman with his fists [[배트맨]]의 주먹 And clearly I don't see myself upon that list 그리고 확실한 건, 나는 그들 중에서 찾아볼 수 없다는 거야. But she said where'd you wanna go? 그러나 그녀는 내게 말했지, "도대체 어디를 가고 싶은 거니?" How much you wanna risk?[* 참고로 틀린 문법이다. 이렇게 쓰면 '얼마나 위험을 감수하고 싶은지'라는 명사가 되어버린다. How much do you wanna risk? 등으로 고쳐야 한다.] "얼마나 큰 위험을 감수하고 싶은 거야?" I'm not looking for somebody with some superhuman gifts "나는 [[슈퍼히어로]]의 능력을 가진 사람을 찾고 있는 게 아니야" Some superhero, Some fairytale bliss "슈퍼히어로나 동화 속 행복이 아닌" Just something I can turn to "내가 의지할 수 있는" Somebody I can kiss "내가 키스할 수 있는 사람"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Oh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Oh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I've been reading books of old 난 오래된 책을 읽어왔어 The legends and the myths 신화와 전설 The testaments they told 성경 구절 The moon and its eclipse 달과 월식 Superman unrolls A suit before he lifts [[슈퍼맨]]은 날아오르기 전에 망토를 펼치지 But I'm not the kind of person that it fits 하지만 난 그것에 어울리는 사람이 아니야 she said where'd you wanna go? 그녀가 물었지, "도대체 어디로 가고 싶은 거니?" How much you wanna risk? "얼마나 큰 위험을 감수하고 싶은 거야?" I'm not looking for somebody with some superhuman gifts "나는 슈퍼히어로의 능력을 가진 사람을 찾고 있는 게 아니야" Some superhero, Some fairytale bliss "슈퍼히어로나 동화 속 행복이 아닌" Just something I can turn to "내가 의지할 수 있는" Somebody I can miss "내가 그리워 할 수 있는 사람"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Oh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Oh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doo Where'd you wanna go? 어디로 가고 싶은 거니? How much you wanna risk? 얼마나 큰 위험을 감수하고 싶은 거야? I'm not looking for somebody with some superhuman gifts 난 슈퍼히어로의 능력을 가진 사람을 찾고 있는 게 아니야 Some superhero, Some fairytale bliss 슈퍼히어로나 동화 속 행복이 아닌 Just something I can turn to 내가 의지할 수 있는 Somebody I can kiss 내가 키스할 수 있는 사람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Oh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Oh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Oh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Oh I want something just like this 난 그저 이런 걸 원해 || == 리믹스 == 6개의 공식 리믹스가 존재한다. [youtube(5MenFU9qCzs)] * [[Alesso]] Remix [youtube(XimYV1uTCj0)] * [[R3hab]] Remix [youtube(Kt4g9zI3pbY)] * [[Dimitri Vegas & Like Mike]] Remix --아예 다른 노래를 만들어놨다...-- [youtube(XNoMw1Dmqzs)] * [[Don Diablo]] Remix [youtube(hj-wauAGn54)] * Jai Wolf Remix [youtube(PfkgyRURUDM)] * ARMNHMR Remix == 라이브 == [youtube(4u6bWs-ZG0o)] [[영국]]의 대중음악 시상식 [[브릿 어워드]]에서 진행한 라이브 버전이다. == [[DanceDanceRevolution]] 수록 == [youtube(hd_t-G2mZjw)] ||<-13><#0ff> [[DanceDanceRevolution/난이도 체계|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 ||<|3> '''싱글 플레이'''||<-2> {{{#blue BEGINNER}}} ||<-2> {{{#orange BASIC}}} ||<-2> {{{#red DIFFICULT}}} ||<-2> {{{#green EXPERT}}} ||<-3> {{{#purple CHALLENGE}}} || ||<-2> {{{#blue 2}}} ||<-2> {{{#orange 4}}} ||<-2> {{{#red 8}}} ||<-2> {{{#green 10}}} ||<-3> {{{#purple -}}} || || {{{#blue 81}}} || {{{#blue 0}}} || {{{#orange 136}}} || {{{#orange 5}}} || {{{#red 205}}} || {{{#red 6}}} || {{{#green 311}}} || {{{#green 9}}} || {{{#purple -}}} || {{{#purple -}}} || {{{#purple -}}} || ||<|3> '''[[더블 플레이]]'''||<-2><|3> ||<-2> {{{#orange BASIC}}} ||<-2> {{{#red DIFFICULT}}} ||<-2> {{{#green EXPERT}}} ||<-3> {{{#purple CHALLENGE}}} || ||<-2> {{{#orange 4}}} ||<-2> {{{#red 8}}} ||<-2> {{{#green 10}}} ||<-3> {{{#purple -}}} || || {{{#orange 139}}} || {{{#orange 4}}} || {{{#red 207}}} || {{{#red 6}}} || {{{#green 308}}}|| {{{#green 5}}} || {{{#purple -}}} || {{{#purple -}}} || {{{#purple -}}} || || BPM ||<-11> 120 || || 아케이드 버전분류 ||<-11> [[DanceDanceRevolution A20]] || [[2019년]] [[7월 24일]] 라이센스곡으로 수록되었다. 원곡이 아닌 Alesso Remix가 수록되었다. == 기타 == 이걸 패러디한 마인크래프트 노래가 Redstone Records의 '[[Herobrine's Life]]'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