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Sons of the Forest)] [목차] == 개요 == [[Sons of the Forest]]의 아이템. == 크래프팅 == * 1. 단축키 i를 클릭하면 나오는 인벤토리에서, 재료를 모아 진행할 수 있는 조합 기능 * 1) 같은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재료를 한번에 몰아놓고 연속으로 크래프팅 할 경우, 제작 속도가 향상된다. [[https://youtu.be/QM7MHbeZpS8|#1]] * 2) 특정 재료를 마우스 오른쪽으로 클릭하면, 가운데 크래프팅 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오른쪽의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해당 재료로 조합할 수 있는 결과물들과 재료들을 확인할 수 있다. * 3) 23년 3월 기준 오역이슈로 인하여, 최대치에 도달한 결과물은 '전체'라고 뜨고 있다. 이 경우, 재료가 충분히 있더라도 크래프팅이 되지 않는다. * 4) 총포류 등의 부착물 장착 및 해체도 이곳에서 이뤄진다. * 2. 3D 프린터 기능 * 1) 서로 다른 지역에 있는 3D프린터는 충전되어 있는 레진용액의 양을 공유하지 않는다. * 2) 테크 갑옷 제작에 사용되는 테크 메쉬 부품은, 이 3D 프린터에서 출력할 수 있다. 1개당 250ml의 레진용액이 필요한 장비이다. * 3) 식인종 교란 시 사용하는 붉은 마스크를 여기서 출력할 수 있다. * 4) 싱글플레이 기준, 게임을 저장하고 껐다가 다시 키면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레진용액들이 다시 리젠된다. == 근접 무기 == * 다용도 나이프: 게임 시작부터 소지 중인 장비. 사거리와 데미지가 다른 장비들보다 떨어지는 탓에 근접무기로 사용하기보다는 다른 장비나 소모품 제작시 사용하는 도구로 주로 사용된다. * 군용 도끼: 게임 시작시 플레이어가 줍는 생존팩에 GPS와 라이터, 제작가이드와 같이 동봉되어있는 근접무기다. 초반에 벌목이나 근접무기로 사용되지만 현대적인 도끼나 소방도끼를 습득시 버려지는 무기 중 하나다. 그래도 다른 도끼들과 비교하면 공격속도가 빠른 게 장점. * 모델은 총기회사로 유명한 [[헤클러 운트 코흐]]사의 [[https://www.knifecenter.com/item/BMHK14001/heckler-koch-14001-clout-tactical-axe-glass-filled-nylon-handle|Heckler & Koch 14001 Clout Tactical Axe]] 14.96인치 모델이다. * 수제 창 재료 - 막대기 x2, 덕트테이프 x1, 나이프(나이프는 나무를 다듬기 할 때만 사용한다) 제작가능한 근접무기이며 기본적인 재료만 있으면 제작이 가능한데다 근접 사거리가 길고 투창까지[* 심지어 전작과 달리 창을 던질 때 '''지구력이 닳지 않는다.'''] 가능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기다. 전작에 비해 너프를 꽤 먹었지만 0.40927 이전 버전까지는 무척 쓸만한 무기였다. [* 아마 전작처럼 대미지가 너무 강하면 투창만 쓰는등 밸런스 붕괴 우려때문인듯하다.] 하지만 0.40927 버전 업데이트 패치로 솔라파이트 광석을 이용해 무기 업그레이드[* 조금만 생각해보면 알겠지만 SoF 게임 시스템 특성상 분실 위험이 있는 아이템이 강화가 될리가 없다.]가 가능해진데다가 재료 소모없이 창든 식인종의 것을 뺏어서 사용할 수는 있지만 대미지가 15에서 10으로 한번 더 너프가 가해졌고 돌연변이의 원거리 대미지 저항까지 생겨서 이제는 중반 이후에 창을 쓰는 매리트가 아예 사라져 버렸다. * 수제 곤봉 재료: 막대기 x1, 해골 x1, 밧줄 x1 제작가능한 근접 무기. * 현대적인 도끼: 손전등을 주울수 있는 포인트에서 쭉 이동하다보면 세갈래에 길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는 캠프에 쓰러져있는 시체에서 루팅가능한 도끼다. 군용도끼와 비교해 높은 데미지와 살짝 더 긴 사거리를 가져 상위 호환인 장비이지만, 공격속도가 느린 것이 단점이다. * 소방도끼: 유지보수 벙커 A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 근접무기 중에서는 데미지로는 최강이다. 웬만한 식인종에게 이 소방도끼는 단두대. --두번 찍으면 죽는다.-- 대신에 공격속도가 매우 느리며, 스태미너 소모가 생각보다 크다. * 삽: 근접무기이지만 무기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설산 남쪽 동굴에서 얻을수 있으며 얻을라면 수중호흡기와 밧줄총을 가지고 가야한다. 아무 땅을 파면 돌맹이와 동전, 뼈를 얻을 수 있으며, 동전은 시한폭탄의 주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산탄총 획득, 벙커를 들어가기 위해서는 필수로 획득해야 하는 아이템이다. * [[체인톱|전기톱]]: 예로부터 전기톱은 근접의 최강자였지만 이 게임에서는 근접 무기로써의 가치는 소방도끼보다 좋지 않다. 기름을 쓰는 엔진톱이던 [[The Forest|전작]]과는 달리, 배터리를 쓰는 전기톱이기 때문에[* 현재 전기모터는 아직 내연기관보다 출력이 낮다. 공격력 너프가 심하게 들어간 건 의외로 현실고증인 셈.] 손전등, 혹은 전기 관련 무기와 함께 사용한다면 배터리 용량을 염두에 두고 써야한다. 돌연변이 중 데몬은 일반적인 무기를 통해서는 경직이 발생하지 않지만 전기톱으로 데몬을 공격하면 데몬이 넘어지는 판정이 발생한다. 데미지보다는 경직률이 매우 높은 편. 어째 벌목 성능도 소방도끼에 밀린다(...) * [[마체테|마셰티]]: 마체테. 수중호흡기를 얻으러 가는 동굴 인근의 해변가에 버려진 고무보트에서 얻을 수 있다. 소방도끼를 얻기 전까지는 좋은 대화수단이 된다. 도끼에 비해 스태미나 소비가 조금 적으며, 공격속도가 빠른 편. 모델링은 [[쿠크리]]에 가깝다. * 카타나: 엔딩 부분 파밍을 하다 보면 얻을 수 있는 무기. 칼을 장식해둔 받침대에 惡鬼成敗(악귀성패)라는 조금 어색한 한자성어가 적혀 있다. 제작창에 비하면 사거리가 짧은편이지만 공격 속도가 무난히 좋은 편에 속한다. 그러나 이 무기의 진가는 다름아닌 '''강공격'''. 대미지가 높은 다른 무기에 비해 강공격 시 스테미나 소모가 현저히 적고, 평범한 식인종의 팔이나 다리를 노려 강공격을 시전하면 거의 '''확정적으로 노린 부위가 절단된다!''' 다수의 식인종을 상대할 때 상당한 이점을 얻을 수 있으니, 카타나를 얻으면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자. * 퍼터: 골프채. 카타나가 있는 벙커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 사실 무기라 하기에도 매우 애매하다. 공격 속도는 빠르나 대미지는 현저히 낮은 것이 그 이유. 어디까지나 변태 플레이, 혹은 예능용. * 기절 배턴: 전기 충격봉. 데미지는 낮은 편이지만 강공격 시(왼쪽 마우스 홀드) 전기 충격을 가하기 때문에 경직을 부여하고 넘어지게 하는 판정이 있다. 싱글때는 잘 사용되는 무기는 아니며, 멀티에서 한명이 전기 충격봉으로 지지면 다른 한명이 도끼로 내려찍어 안정적으로 적을 죽일 수 있다. * 횃불 재료: 막대기 x1, 천 x1 사기 아이템. 라이터로 불을 붙여 광원으로 쓸 수 있다. 또한, 횃불로 적을 공격하면 불이 붙어서 무력화되는데 이게 식인종들한테 효과가 아주 좋기때문에 초반부터 필수적으로 제작해야하는 아이템이다. 설산에 있거나 겨울일 경우 추위로 인한 스태미나 제한을 막아주는 효과도 있다. * 십자가 오직 데몬에게만 효과를 보이는 무기. 사용하면 십자가를 쥐고 흔드는데, 다른 적에게 쓰면 데미지도 없고 약간의 어그로만 끌지만 데몬에게 사용하면 짧은 시간 동안 경직을 부여하고 불을 붙인다. 들고만 있어도 확률적으로 데몬을 공포에 빠뜨려 플레이어로부터 도망치게 만든다.[* 데몬 보스한테도 통하지만 경직이나 공포는 안 들어가기 때문에 총을 쓰는 게 낫다.] 역시 데몬한테만 효과가 있는 황금 갑옷과 똑같이 동굴에서 발견할 수 있는 미지의 금빛 금속으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밧줄총을 얻는 동굴에서 얻을 수 있다. 조명이 있어 벽에 십자가 모양 그림자가 비치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다. * 곡괭이 솔라파이트 광물을 채굴하기위해 필요한 도구. 동굴 지역에서 획득할 수 있다. * 기타 [[일렉트릭 기타]]. 유지보수동에서 얻을수 있다. 공격속도가 약간 빠른거 빼고는 장점이 없어서 쓸일이 없는 예능용 무기이다. 우클릭시 라디오로 재생되는 곡들 및 트레일러에 나왔던 음악, 타이틀 음악, 전작의 타이틀 음악 중 하나를 랜덤으로 연주한다. == 원거리 무기 == * [[테이저|전기 충격기]] : 테이저 건. [[Axon]]사의 X26P/X1 모델을 닮은 비살상 무기. 전기식인종에게 맞추면 일시적으로 경직이 걸린다. 싱글플레이에서는 무기를 빠르게 전환해야돼서 효용성이 떨어지지만 멀티에서는 한사람이 묶는 동안 나머지가 프리딜링이 가능하다. 탄약은 전기 충격기 탄환이다. * 권총: 자동권총으로 권총 레일 획득시 손전등, 레이저 사이트, 소음기를 장착할 수 있다. 장탄수 12발. 서쪽 바다에 떠있는 구명정이나 카타나, 골프채를 얻는 거주 벙커에서 획득가능. 여러 권총들의 디자인을 혼합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 자동권총들이 다 비슷하게 생겨서 정확한 모델은 불명이나, [[https://sonsoftheforest.fandom.com/wiki/Pistol|팬덤 위키]]에 따르면 [[발터 P99]]와 [[H&K USP]]가 모델이라고 한다.] 탄약은 [[9 mm]] 탄약. * 리볼버: --피카티니 레일이 훤히 보이는데도-- 부착물 장착이 불가능하고 장탄수가 6발밖에 되지 않으나 권총보다 조금 더 강력한 데미지를 가지고 있어 탄효율이 뛰어나 부무장으로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 탄약은 권총과 동일. 원본은 이탈리아의 [[Chiappa Rhino]] 리볼버. 유지보수 벙커 C에서 획득 가능. * 밧줄총: 그래플건으로 [[짚라인|두 지점을 연결해 왕복]]이 가능하다. 현실과는 달리 올라가는 것도 가능하다. 고속 이동 수단으로 주로 쓰이며 통나무 및 석재 운반용으로도 사용된다. 게임 중반(20~30분대) 이전에 텐트, 벙커, 동굴 등 주요 파밍 지점에 짚라인을 모조리 설치[* 짚라인 설치는 3D 프린터를 자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멀티플레이에서의 짚라인 설치는 세이브로드 신공으로 무제한 아이템 복사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유저가 수행해줘야한다.]하면 밤에 빠르게 집으로 복귀하거나 벌목한 통나무를 배달하고 섬 전역(동굴 안포함)에서 스폰되는 식인종들을 모조리 스킵하며 진행하는 등 게임이 한층 더 수월해진다. 설산 서쪽 작은 호수 근처 동굴에서 얻을 수 있다. * 산탄총: 펌프액션식 산탄총으로 산탄과 슬러그탄이 있다. 산탄의 위력은 --[[샷건(둠 시리즈)|유구한 전통의 퇴마수단답게]]-- 머리를 노리면 어지간한 적은 한방에 처치되는 수준이나 슬러그는 강력한 운동에너지와 대인저지력이 특징인 탄환임이 무색하게도 벅샷보다 데미지가 낮다. 원본은 [[레밍턴 M870]] TAC-14 단축 산탄총. 맥풀 사의 MOE 핸드가드가 장착된 모델이다. 맵 북서쪽 느낌표가 있는 곳으로 가면 있는 무덤을 삽으로 파거나 스토리를 진행하다 보면 획득할 수 있다. 펌프를 당기는 모션이 여러 종류가 있으며, 한 손으로 사용 시 총을 던지고 펌프 부분을 잡아서 당기는 간지나는 모션이 나온다. * 소총: 1배율 도트 사이트가 장착된 볼트액션식 소총. 사거리가 길고 정확도가 높지만 탄약이 잘 안 나온다. 맵 기준 황금 갑옷 동굴의 우측 입구에서만 획득 가능. * 제작 활 재료: 나뭇가지 x2, 밧줄 x1, 덕트 테이프 x2. 제작 가능한 활로 재료를 보면 알다시피 하루 만에 제작 가능하다. 전작보다 더욱더 벌어진듯한 영점과 탄도 드랍으로 인해 어느 정도 연습을 해서 감을 익혀야 쓸 수 있다.[* 전작에 비해 돌화살의 탄낙차가 끔찍할정도로 심해졌고 전작에서 모던보우+모던 화살 조합기준 목부분을 노리면 머리가 맞던 것과는 달리 거의 배를 노려야 머리가 맞는 수준이 되었다] 화살 종류에 따라 성능이 크게 갈리는데, 헤드샷이면 가면 식인종 외엔 다 한 방이라 별로 체감이 안든다. 돌화살의 경우 거의 돌을 던지는 수준의 비거리를 보여주지만 3D프린터 화살만 되도 제법 괜찮은 비거리를 보여주며 탄소섬유 화살 정도 되면 극적인 성능이 나온다. 초기에는 재료[* 작은 돌x4, 깃털x4, 나뭇가지x2]가 무난한 돌화살로 연습하고 평소에는 프린터 위치 발견 후 거의 무한에 가깝게 만들 수 있는 3D프린터 화살을 추천. * 새총: 작은 바위(돌멩이) 또는 골프공을 쏠 수 있는 새총. 금속 프레임을 사용하는 현대적인 새총으로, 삽을 얻는 동굴의 입구에 있다. 전작에서도 예능에 가까웠던 무기인데 이번 작은 원거리 장비 수급이 원활하기 때문에 잘 안 쓰인다. * 쇠뇌: 크랭크로 장전하는 현대식 컴파운드 림 [[석궁]]. 조준을 하지 않으면 발사 불가능하다. 활과는 비견이 안되는 위력과 비거리, 탄속을 보여주며, 무엇보다 한 손으로 사격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쇠뇌 볼트는 제작이 불가능하나 회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고정 수급처를 외워두면 제법 오래 쓴다. 식량 벙커에서 얻을 수 있다. * [[컴파운드 보우|컴파운드 활]]: 제작 활의 상위 호환버전. 제작 활보다 훨씬 영점이 맞고 화살별 비거리도 제작 활보다 증가해서 조준하기가 더 쉽다. 유지보수 벙커 B에서 얻을 수 있다. * 화살 종류 * 돌 화살 : 재료는 나뭇가지 x2, 작은 돌멩이 x4, 깃털 x4로 한 번에 4개 제작 가능. 최대 소지 개수 20개. 우왁스럽게 대충 두들겨 만드는 애니메이션처럼 조잡해서인지 제작 활로 쏘면 돌팔매와 비견되는 비거리를 보인다. 그것 때문인지 다른 화살보다 발사 각도가 가장 높다. 헤드샷을 맞추고 싶으면 복부에 그리고 살짝 오른쪽을 조준해서 쏴야 한다. 초기에 자원이 없을 때나 쓰지, 레진이 그득하게 쌓이기 시작하면 버려지는 아이템 * 3D 인쇄 화살(레진 3D 프린터 출력식) : 최대 소지 개수 20개. 조준 시, 실제보다 많이 아래를 조준해야 한다. 즉 헤드샷을 하고 싶다면 배꼽과 가슴 사이 어딘가를 조준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돌 화살을 생각하고 사용했다가는.... * 탄소섬유 화살 : 조준 시, 실제보다 많이 아래를 조준해야 한다. 즉 헤드샷을 하고 싶다면 배꼽과 가슴 사이 어딘가를 조준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돌 화살을 생각하고 사용했다가는.... 탄약 상자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 투척 무기 == * 화염병 재료: 보드카 병+천 이름 그대로 화염병. 라이터로 불을 붙이고 던지면 착탄된 지점에 불을 지핀다. * 시한폭탄 재료: 회로판+ 동전 x5+ 손목시계+ C4 블록+ 덕트테이프 C4에 각종 부품을 붙여 만든 사제 폭발물[* C4 블록은 분명 한 개가 들어가지는데, 완제품은 2개가 붙어 있다.]로, 술을 사용해서 만드는 [[더 포레스트|전작]]과는 달리 진짜 폭발물인 C4를 사용하기에 위력만큼은 확실하다. 하지만 점착 레시피가 사라졌으며, 소지갯수가 5개에서 3개로 줄어들었다. * 수류탄 : 처음 헬기 잔해에서 부터 3개를 얻을수 있다. 투척시 폭발한다. == 일반 장비 == * 서바이벌 북(Guide Book): 스폰시 기본적으로 배낭에 소지하는 책. X키를 눌러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좌측은 청사진이며, 우측에는 구조물의 배치 방법이 그려져있다. 섬을 돌아다니면서 파밍을 하다보면 새로운 청사진을 해금 할 수 있다. * 수중 호흡기(Rebreather): 호흡기를 가지고 있으면 물속으로 들어갈때 자동으로 장착이 되며 산소통을 사용하여 충전할 수 있다. 해안가 스폰지점 근처 동굴에서 얻을 수 있다. 산소 게이지 하단에 깨알같이 Made in Canada라고 적혀 있다.[* 개발사 엔드나이트 게임즈의 소재지가 캐나다에 있다.] * GPS 추적기: 생존팩에 같이 들어있다. 지도를 볼 수 있으며, GPS 신호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침수가 돼서 그런지 화면에 글리치가 꽤 자주 끼긴 하지만 플레이에 지장은 없는 단순한 연출. * GPS 신호기: 파밍하거나 직접 제작할 수 있는 GPS 신호기. GPS 신호기는 특정 지점을 마킹해 새로 들어온 클라이언트 유저들에게 그곳에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기 쉽게 해준다. 0.38820 업데이트로 3D 프린터로 GPS 케이스 제작이 가능하게 패치되었다. GPS 신호기 제작에는 배터리, 회로판, 덕트 테이프, 전선이 각각 1개씩 필요하다. * 조명탄: 추락한 헬기 잔해에서 얻을 수 있다. 사용 할시 붉은색 빛이 나고 연기가 난다. 꽤 밝아서 광원으로도 쓸수있다. 게임에 익숙해지기 시작하면 쓸일이 없는 아이템. * 물병: 3D 프린터 잉크 100ml를 통해 제작 할 수 있으며 하나만 소지할 수 있다. 물을 한번에 100까지 저장하며 한번 마실때마다 50만큼 소모된다. 강물을 그냥 떠다 마시면 대미지를 받지만 노말 난이도일 경우 전작처럼 쥐똥만큼만 들어오니 그냥 마셔도 된다. 다만, 오염된 물은 갈증 회복수치가 낮다. 물이 얼어붙어서 물을 얻기 어려운 겨울에 필수적인 장비. * 무전기: T 키를 눌러서 장착 가능하며 들고 있는동안 멀티 플레이 음성 소통이 가능하다 --그냥 디스코드를 쓰도록 하자-- * 썰매: 3D 프린터 레진 용액 1000ml를 사용해 제작 할 수 있다. 높은 곳에서 아래로 내려갈때 썰매를 들고 점프와 동시에 좌클릭을 하면 썰매를 타고 내려갈 수 있다. 생각보다 속도가 빠르며, 컨트롤이 잘 되지 않는편 23년 3월 기준 꼼수로 절벽에서 사용하면 낙뎀을 안입고 쉽게 내려올 수 있다 --(중간에 턱이 있으면 멈추거나 가속도에 의해 날아갈 수 있다)-- * 손전등: 절벽에 목이 매달린 동료의 시체에서 획득할 수 있다. 전력이 고갈되면 출력이 저하되며 완전히 0%가 되면 작동하지 않는다. 방전 상태에서 인벤토리에 배터리가 있을 경우 자동으로 사용되며 조합을해 미리 충전하는 것도 가능. 손전등 스폰 주변 캠프에서는 모던 도끼를 얻을 수 있다. * 라이터: 보라색 불꽃이 나오는 플라즈마 라이터. 모닥불이나 화염병등에 불을 붙일 수 있으며 광원으로도 쓸 수 있다. 다만, 광원으로 쓸때는 생각보다 불빛이 밝지 않아 그냥 손전등을 쓰는 경우가 많다. [[The Forest|전작]]의 그 Bic 가스 라이터와는 달리 중도에 꺼지는 일은 없다. 모델이 된 제품은 [[https://tacticalgear.com/lighter|TG Plasma Lighter]]로, 깨알같이 IG라는 각인이 새겨져있다. * 통조림 따개 : 통조림을 섭취하기 위해 무조건 필요한 도구. --그냥 칼 쓰면 안돼?-- 스폰 지점 근처 텐트(해안가 스폰인 경우 해안가 변두리 바위 주변에서)에서만 얻을 수 있다. == 음식 == 서바이벌 옵션 활성화시 대부분 일반 회복량의 절반 수치로 적용되나 일부 아이템은 예외가 있으니 주의하기 바란다. * 고기: 만복도(날것+10, 조리시+50, 썩은것+5), 체력(날것+10, 조리시+25, 썩은것-5~8). 전작과 생김새로 비슷하다. 전작과는 달리 작은 고기, 큰 고기가 통일돼서 다람쥐를 잡아 채취한 고기도 사슴에서 얻은 고기와 기능이 같다. 시간이 지나면 상해버리니 날 것이든 조리된 것이든 바로 먹는 것이 좋다. 탄 고기를 먹을 경우 구토를 하며 갈증 수치가 오히려 감소하니 주의. '''체력'''회복 기능도 있기 때문에 동물들을 가끔 사냥해 부상에 미리 대비하는 것도 좋다. 당연한 얘기지만 구워서 먹으면 체력이 더 많이 회복된다. 고기와 생선은 건조대에 말려서 먹을수 있다, 특히 고기는 건조시키면 썩지않는 장점이 있지만 말린 생선이나 고기는 그냥 먹으면 탄 음식을 먹었을때 만큼은 아니지만 갈증 수치가 어느정도 감소하기 때문에 근처에 수원이 있지 않는이상 구워서 먹는것이 좋다. * 생선: 만복도+50(조리 여부x, 썩은것+5), 체력(날것+10, 조리시+25, 썩은것-10). 호수나 바다에서 얻을 수 있는 음식. 전작처럼 수제창으로 찔러서 잡을 수 있다. 하지만 제일 편한 방법은 물가로 켈빈을 데려와 생선을 잡으라고 명령하는 것. 그러면 켈빈이 주섬주섬 생선을 모아서 한 마리씩 건내준다. 나무가 물가로 쓰러질 경우 그 나무에 맞아죽어(...) 물 위에 둥둥 뜨는 경우도 있다. 먹는 애니메이션이 한 종류 밖에 없기 때문에 굽거나 말려도 펄떡거리는 --좀비-- 생선의 머리부터 먹는다. * 굴: 만복도+2, 체력+1. 바닷가에서 얻을 수 있으며, 조리가 불가능하며 생으로만 먹을 수 있다. 단백질이라 그런지 체력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모든 수치는 여전히 열매 아이템 1개 분량과 동일한 수준으로 회복시키므로 [[에드 스태포드|주 식량으로 운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 인육: 중후반기에 들어서면, --인간이길 포기한-- 플레이어들의 주식이 되는 식량. 식인종의 팔다리가 재료이다. 파리채 함정에 죽은 식인종의 경우 팔다리가 자동으로 분리되기에, 즉시 구워서 먹을 수 있다. 아니면 시체를 도끼로 잘라서 얻을 수도 있다. 팔과 다리 각각 최대 소지 개수가 2개씩이다. 0.33002 버전 기준 생선, 고기, 인육 등을 버리거나 다른 곳에 수납하면 날 것으로 변하는(...) 버그가 있다. * 에너지 바: 만복도+10, 피로도+40, 체력+1. 자양강장제와 비슷한 용도로 사용된다. 만복도, 피로도를 회복시켜주고 쥐꼬리 만큼의 체력이 회복된다. * 통조림 : 만복도+30. 통조림 따개가 있어야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이다. 내용물은 고양이 사료다. 0.33573 버전에서 회복량이 75에서 30으로 대폭 너프되었다. * 자양강장제: 갈증+50 피로도+20. 에너지 드링크. 전작과는 달리 섭취 딜레이가 생겨 소다컨은 힘들어졌다. 초기에는 피로도를 무려 40이나 회복시켜 잠을 아예 안자도 될만큼 사기적인 아이템이었으나 0.33002 버전패치 이후 회복량이 20으로 대폭 너프되었다. 피로 회복은 이제 의자에 앉아 휴식하거나 섬에서 흔하게 얻을 수 있는 약초들을 조합해서 쓰거나 상위호환인 에너지 바를 먹으면 되기 때문에 매리트가 없어진지 오래이고 수분 문제는 삽을 얻고 벙커에서 물병을 만들면 해결되기에 사실상 극초반을 넘기고나면 이후에는 쓸모가 없어지는 계륵같은 아이템이었으나 0.35777 업데이트 패치로 하드 서바이벌 난이도가 추가되면서 수통 및 냄비의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여 수분 보충면에서 가치가 상당히 올라갔다. * 휴대 식량팩: 만복도+75. [[MRE]].[* 18번 메뉴 슬로피 조라고 적혀 있는데, 게임 발매 시점에서 18번은 비프 라비올리고 슬로피 조는 22번이었는데 퇴역한 상태였다.] 포장되어 있는 음식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더라도 썩지 않는다. 통조림과는 정반대로 0.33573 버전에서 회복량이 25에서 75로 대폭 버프되었다. 구하기 쉬운 음식인데도 불구하고 굳이 왜 버프를 했는지는 의문이다.(...) * 씨리얼: 만복도+50. 현재 반려동물 간식(...)으로 오역되어 있다. * 라면: 만복도+25, 갈증-25[* 소모품 효과 감소 옵션이 켜져있는 경우 '''-75''']. 컵라면. 포크로 먹는 모션이 나오는데 물을 붓지 않고 먹는다.[* 물을 부어야만 먹을 수 있는 음식인데도 불구하고 수통을 하나만 소지 가능한 것으로 보아 의도된 것으로 보인다.] 만복도가 많이 회복되지만 그만큼 갈증 수치가 많이 감소하므로 충분한 양의 에너지 드링크를 가지고 있거나 주변에 흐르는 강이 있을 경우에만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여담으로 서바이벌 옵션이 켜져있을 경우 갈증이 50만큼 감소할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무려 75만큼이나 감소하므로 라면을 먹을 시에는 각별히 주의해야만한다. * 뇌, 베이컨, 스테이크 큐브: 만복도+1. 식량 저장동에서 얻을 수 있는 정사각형으로 잘려져 있는 고기. 뇌(Brain), 베이컨, 스테이크로 3 종류다. 장기간 보관해도 썩지 않아서 편리하지만, 얻을 수 있는 곳이 푸드 벙커뿐이라는게 단점. 초기 버전에서는 회복량 10이라는 괴랄한 수치를 자랑했으나 이후 1/10로 대폭 너프되었다. * 보드카 병: 화염병의 제작 재료로만 사용되는 아이템이며 섭취는 불가능하다. 다만, 0.35777 업데이트로 추가된 냄비 아이템에 거북알과 같이 넣고 에그노그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 실제 모델은 [[스미노프]] 보드카. * 스노우베리, 트윈베리, 새먼베리, 블랙베리, 블루베리, 과라나 열매: 조합이 불가능한 열매 아이템들이며 열매별로 특성이 모두 다르다. * 스노우베리, 트윈베리[* 전작의 독화살 재료에 들어가는 그 열매 맞다.]: 체력-2, 만복도+1 * 새먼베리, 블랙베리, 블루베리: 만복도, 갈증+1 * 과라나 열매: 만복도+1, 피로도+5 * 땃두릅나무, 서양톱풀, 화살잎, 치커리, 분홍바늘꽃, 알로에베라, 쇠뜨기: 조합에 사용되는 약초 아이템들이다. 열매별로 특성이 모두 다르다. * 땃두릅나무: 체력-2, 만복도+1 * 서양톱풀, 화살잎, 쇠뜨기: 만복도, 갈증+1 * 치커리, 알로에 베라: 만복도+1 * 분홍바늘꽃: 만복도+5, 갈증+10 장거리 원정 시 숲에서 얻는 열매나 약초들에 단축키를 지정해 먹으면서 이동하는 방식[* 대개 서바이벌 옵션(생존 대미지, 소모품 효과 감소)이 켜져있는게 아닌이상 음식은 썩어넘치므로 일반적인 경우에는 하등 쓸모없는 아이템이다.]으로 식량과 물을 절약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열매나 약초 아이템들은 섬에서 얻는 씨앗들로 추가 재배가 가능하다. 충분한 양의 씨앗을 확보하면 솔플기준 수렵 활동 일절 없이 물이 없는 설산에서도 농경 생활이 가능해진다.--그놈의 아이템 복사 버그에 묻혀져서 그렇지(...)-- * 조합된 약초 아이템들: 강화된 성능을 지닌다. 버지니아 호감도작을 하면 랜덤하게 선물로 주는 경우도 있다. * 체력 믹스(알로에 베라+서양톱풀): 체력+50 * 체력 믹스+(분홍바늘꽃+알로에베라+쇠뜨기): 체력+100 * 에너지 믹스(화살잎+치커리): 피로도+20 * 에너지 믹스+(땃두릅나무+치커리+분홍바늘꽃): 피로도+40 * 거북이 알: 만복도+2. 바다거북 근처에서만 얻을 수 있는 엄연한 음식 아이템. 장기간 방치하면 점점 금이 가다가 알이 깨지고 내용물은 사라진다. * 광대버섯: 체력-2, 만복도+2 * 그 외 버섯류: 만복도+2 * 인쇄한 수통: 수분 +25(2)[* 회복량 50에 최대 4번까지 마실 수 있었으나 냄비 아이템이 추가되면서 회복량과 사용 횟수가 1/2로 너프되었다.]. 3d프린터기에서 100ml의 레진을 소모하여 제작할수 있는 수통, 강물을 떠다 마실수 있으며, 전작과 성능이 비슷하다. * 냄비: 수분 +25(4)[* 다른 재료없이 오로지 물만 들어있을때] 생존자 캠프에서 얻을수 있는 냄비, 수통보다 사용횟수가 많고, 불위에 올려놓고 레시피대로 재료를 넣으면 요리를 해 먹을수 있다. 0.36736 업데이트 패치로 더러운 물, 깨끗한 물 시스템이 추가되었으며 냄비에 깨끗한 물 레시피가 추가되었다. 이제 물은 끓여서 먹지않으면 체력 피해를 입는다. == 의복 == 갑옷은 외피에 걸치며 플레이어에게 방어력을 제공한다. 의복은 갑옷보다 안쪽에 착용하는 부위이며 여러가지 혜택을 제공한다. 내구도가 손상된 갑옷은 인벤토리에 넣거나 갑옷 보관함에 넣었다가 도로 꺼내입으면 내구도가 수리된다. 테크 갑옷같은 내구도가 높은 갑옷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이 좋다. * 나뭇잎 갑옷 : 나뭇잎과 천으로 만들수 있으며 방어력이 가장 낮지만 그대신 매우 높은 수준의 은신 효과 보너스를 제공한다. 방어력: 10 * 기괴한 갑옷 : 핑거즈와 장님 돌연변이같은 돌연변이들의 시체에서 얻을 수 있다.[* 보통 한 마리당 1개를 주는데 예외적으로 데몬 보스한테서는 5개를 얻을 수 있다.] 인간의 장기와 살점으로 만들어진 듯한 기괴한 외형을 하고 있으며, 후반에는 돌연변이들이 자주 덮쳐오기 때문에 주로 사용할 갑옷이다. 그냥 외형만 다른 일반 식인종 수준인 장님 돌연변이한테도 드랍되기 때문인지 방어력이 전작의 반토막으로 크게 너프를 먹었다. 은신 효과 보너스가 없다. 방어력: 40 * 가죽 갑옷 재료: 동물 가죽 2개, 천 1개 동물을 자주 잡다 보면 쌓이는 가죽과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을 조합해서 만들 수 있다. 재료들도 구하기 쉬워서 부담없이 만들 수 있는편. 낮은 수준의 은신 효과 보너스가 있다. 방어력: 20 * 뼈 갑옷 재료: 뼈 4개, 덕트 테이프 1개, 밧줄 1개 방어력이 기괴한 갑옷과 별 차이가 나지않아 나쁘지 않아보이지만 만들때마다 밧줄을 소모하기 때문에 맞딜을 넣으며 싸울 경우 유지관리가 상당히 어렵다. 또한, 인벤토리에 지니고 다닐 수 있는 뼈 한도도 15개로 매우 적은 편에 속하기때문에 테크 갑옷 만큼은 아니지만 가성비가 상당히 나쁘다. 가성비와는 별개로 풀셋 갑옷 중에서는 나뭇잎 갑옷과 더불어 제일 간지나는 갑옷에 속한다. 은신 효과 보너스가 없다. 방어력: 35 * 테크 갑옷 재료: 배터리 1개, 테크 메쉬 1개, 덕트 테이프 1개, 전선 1개 이 게임에서 가장 높은 방어력을 가지고 있지만 --디자인도 구리고-- 테크 메쉬의 가격이 꽤나 높아서 양산은 쉽지 않다. 은신 효과 보너스가 없다. 방어력: 80 * 황금 갑옷 전작의 방한복과 마찬가지로 상단의 갑옷 5종과 함께 착용할 수 없다. 방어력은 없지만 데몬으로부터 받는 피해를 70%까지 감소시킨다. 오직 엔딩 구간을 위한 갑옷이라 보면 된다. 하지만 데몬 외에는 효과가 없다. 동굴 안에서 종종 보이는 금빛 금속으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데 지하 벙커를 돌아다니다보면 발견할 수 있는 잡지 표지에서 해당 금속에 대한 내용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황금 갑옷과 상호작용하여 열 수 있는 금속 문이 따로 존재하며 다른 갑옷을 입고 있더라도 컷씬으로 강제로 황금 갑옷으로 바뀐 후 문을 연다.[* 엔딩 컷신에서 큐브에 들어갈 때도 이 황금 갑옷을 입는데, 컷신 종료 후 슬러기 보스와 전투할 때도 그대로 입고 있으므로 재빨리 벗고 다른 갑옷을 입어야 한다.][* 이로인해 다음과같은 문제가 발생하는데 인벤토리에 중복되는 갑옷 부위, 예를 들어 착용중인 기괴한 갑옷 풀셋 + 인벤토리에 있는 기괴한 갑옷 풀셋해서 해당 갑옷만으로 총 2셋이 되는데 인벤토리 한도가 10개씩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황금 갑옷 전환시 기존에 입고 있던 기괴한 갑옷 풀셋은 그대로 증발해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부분은 확실히 개선이 필요해보인다.] * 군용 재킷 (Tactical Jacket) 플레이어와 켈빈이 기본적으로 입고 있는 복장. 무난한 성능을 지니고 있는 의복. * 가죽 재킷 (Leather Jacket) 군용 재킷에서 방수력이 약간 증가한 옷이라 보면 편하다. 수중 호흡기 동굴에서 얻을 수 있다. * 후드티 (Hoodie) 중간 수준의 방한력과 휴식 보너스를 제공하지만 최악의 방수력을 지니고 있는 의복. * 블레이저 (Blazer) 휴식 보너스가 약간 높다는 점을 제외하면 군용 재킷보다 나은점이 하나도 없다. * 턱시도 (Tuxedo) 블레이저의 상위호환이며 상당히 높은 수준의 휴식 보너스를 제공한다. * '''겨울 재킷 (Winter Jacket)''' 플레이어 전용 의복. 가장 높은 수준의 방한력을 제공하는 의복이며 착용시 추위로 인해 감소하는 스태미너를 절반으로 상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 '''파자마 (Pajamas)''' 가장 높은 수준의 휴식 보너스를 제공하는 의복. 휴식을 취할때 착용해주면 좋다. * '''잠수복 (Wet Suit)''' 플레이어 전용 의복. 가장 높은 수준의 방수력을 제공하며 수중 이동 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킨다. 다만, 지상에서는 이동 속도가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다. 삽 동굴에서 획득할 수 있다. * '''우주복 (Space Suit)''' 높은 수준의 방한력과 방수력을 제공하지만 휴식 용도로는 최악의 복장이다. 주거용 벙커(카타나 얻는곳)에서 얻을 수 있다. 게임 내의 읽을거리 중 이게 왜 이 섬에 있냐고 의문을 품는 문서를 볼 수 있다. * 위장복 (Camouflage Suit) 버지니아 전용 의복. 진짜 군용 위장복은 아니고, 그냥 위장 무늬가 칠해진 바지와 티셔츠다. * 드레스 (Dress) 버지니아 전용 의복. 푸드 벙커에서 얻을 수 있다. * 가죽 슈트 (Leather Suit) 버지니아 전용 의복. 빨간색의 가죽 바지와 자켓으로 되어 있다. [[터미네이터3]]의 [[T-X]]가 입는 것과 비슷하다. * 수영복 (Swimsuit) 버지니아의 기본 복장. == 제작품 == 집이나 생존을 위한 가구 등을 만들 수 있으며 B키로 누르면 기본적인 건축 제작법과 X를 꾹 눌러서 대피소나 가구나 함정 등의 제작법이 나와 있다. 건축물들은 C키를 꾹 눌러 회수할 수 있고 미완성된 가구는 X키를 눌러 취소시킬 수 있다. 초기에는 이미 완성된 가구는 회수가 불가능했으나 22년 3월 10일 패치로 회수하여 다시 재배치할 수 있거나 반대로 던져서 부수면 자원을 다시 회수할 수 있게 되었다. === 방어 요소 === * 세로로 눕힌 통나무: 1개의 통나무를 세로로 꽂아놓은 뒤 옆으로 연결하는 방식. 그대로 활용해도 유의미한 방벽이 완성되나, 윗부분을 깎지 않을 경우 '''식인종이 타고 넘어온다.''' 데미지를 입었을 경우, 서서히 한쪽으로 기울어지다가 마지막에는 통나무 상태로 날아간다. [[파일:벽을 뛰어넘는 식인종.gif|width=600]] * 가로로 눕힌 통나무: 5개 이상 쌓아야 유의미한 방벽이 완성되지만, 상술한 이유로 인해 식인종들은 벽을 타고 넘어온다. 사실상 집의 외벽을 만들거나, 1차 방벽을 낮게 쌓아놓는 정도로만 활용해야 한다. 데미지를 입었을 경우, 큰 변화가 느껴지지 않으며 마지막에는 구성되어 있던 통나무가 한번에 날아간다. 여담으로 케빈에게 통나무를 모아오게 할 생각이 없다면, 굳이 보관함을 만들지 말고, 이 상태로 대량으로 저장해놓으면 된다. 쓸일이 있을경우 c키로 분해하면 된다. * 스파이크 함정: 막대기의 윗부분을 깎아서, 돌로 강화를 시킨 방어 요소. 생각보다 가성비가 좋다. 상술한 통나무 방벽을 구성한 후, 최전선에 이 방어 요소를 깔면 적이 접근하면서 지속 데미지를 입다가 사망한다. 재료 수급도 편하고, 범용성도 좋다. 단점이라면, 그 크기만큼이나 좁은 범위다. * 전기 울타리: 울타리에 전선을 감아 보강한 형태의 방어 구조물. 접근한 대상에게 강력한 전기 피해를 입히며 켈빈과 버지니아는 피해를 입지 않는다. 최소 1개의 태양광 패널과 골프 카트 배터리가 필요하며 구조물 파괴 옵션을 켜지않는 한 무적의 방어 구조물이다. 전선을 계속 사용해 만리장성을 쌓을 수도 있다. * 방어벽 게이트 === 재료 === * 나무 막대기: 가구, 건축, 소모품, 열원, 장식 등을 제작하는 것에 사용되는 가장 기본 재료. 바닥에 떨어져 있는 것을 수집하거나, 작은 묘목등을 벌목하여 얻을 수 있다. 1편과 다르게 2편에서는 동료를 통해 모아오게 할 수 있다. 실수로(정말?) 켈빈이 죽어버렸다면, 2023년 3월 1일 기준으로 부활이 어렵기 때문에 직접 나무막대기를 가지러 다녀야 한다. 가장 많은 나무 막대기를 주는 나무는 영상을 참조.[[https://youtu.be/hhNtD5NB4ek|#1]] * 돌: 막대기와 비슷한 기본 재료..,.이긴 한데, 23년 3월 기준 필요한 건축물이 별로 없다. 거의 사용처가 모닥불 주위 놓기와 파리채 함정, 토뎀 강화밖에 없는 수준. * 솔라파이트 광석: 동굴에서 볼 수 있는 광석. 채굴에는 곡괭이가 필요하며 무기를 업그레이드하는 재료로 사용된다. 무기의 성능 향상은 공격력만 적용되며 총기에는 도색 작업을 해도 무기 성능이 그대로인 것으로 보인다. 무기 강화 중에는 돌연변이 및 식인종 인카운터가 발생하니 주의. 솔라파이트 폭풍시 생존 일수에 따라 각 돌연변이들의 스폰 여부가 결정된다. 캐터필러(10일), 퍼피 강화종(30일), 암시/렉시(엔딩을 본 이후) 업그레이드 가능한 무기는 다음과 같다. '''권총, 리볼버, 샷건, 소총, 십자가, 군용 도끼, 모던 도끼, 소방 도끼, 마체테, 골프채, 기타, 카타나, 곡괭이''' * 작은 돌: 새총의 탄환으로 쓰거나 제작 화살의 재료로 사용된다. * 천: 전작과 달리 상자에서 나오지 않아 꽤 희귀하다. 주로 식인종 마을이나 버려진 캠핑장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급처를 외우면 편하다. 밧줄과 함께 획득하기 좋은 포인트는 아래 밧줄 영상 참조. * 밧줄: 최대 소지 개수 10개. 전작에서도 제법 여기저기 쓰이던 재료였지만 이번 작에선 집라인 줄을 제작하는데 들어가는데다 뼈갑옷 제작에 천 대신 밧줄이 들어가는 것으로 변경되어 더욱더 위상이 높아졌다. 대신 전작에 비해 몇 배로 대량 스폰 지역이 많아졌다. 식인종 캠프나 남쪽 동굴에서 대량으로 확보 가능하다. 유지관리 B동 근처 캠프와 가는 길의 폭포에서 대량으로 습득 가능하다. 자세한 위치는 [[https://youtu.be/sEynNE5ROgA|#1]] 나무 상자나 관을 깨도 꼭 하나씩 나오고, 나중에 넘치고 넘치는 재료. 함정 빌드로 수성전 컨셉의 플레이를 하려는 유저라면, 집에 올때마다 보관 가구에 밧줄을 모두 옮겨놓고 다니자. * 덕트 테이프: 무기, 방어구 등 아주 많이 쓰이지만 스폰율이 전작의 천과 비슷하다. 비상약품이 들어 있는 빨간 상자에도 나오고 잡템이 나오는 노란 뚜껑 상자에도 나오며, 여기저기에도 고정 스폰을 한다. 초기엔 소요 대비 공급이 괴리 되어서 고달파서 그렇지 조금만 섬을 쏘다니면 쉽게 모인다. 최대 소지개수는 100개. * 전선: 폭탄, 테크갑옷 등 조금이라도 현대 전자 장비를 만들어야 한다면 사용되는 재료. 2023년 3월 13일 기준으로, 폭탄제작 용도 외에는 크게 소진되지 않고 있었으나 태양광 전력망 구축과 스프링 트랩 재료로 쓰이면서 수요가 늘었다. 소지한도 100. * 동물 가죽: 23년 2월까지 사슴과 노루에서만 채취 가능. 노루에서는 2개가 나온다. 웃기게도 노루 가죽도 싸잡아서 사슴가죽이라 명명한다. 23년 2월까진 가죽 갑옷 재료외엔 쓸 일이 없다. * 깃털: 새를 처치하거나 새집을 지으면 얻을 수 있다. 일반 새는 덩치도 작아 맞추기 힘들 뿐더러 다가가면 바로 날아가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항상 앉는 스크립트가 짜인데다 인공지능이 멍청해서 도망도 한 박자 늦게 치는 갈매기가 가장 난이도가 쉽다. 최대 소지개수는 100개. * 동전: 주로 배, 관, 동굴, 벙커시설에서 발견되는 문명의 흔적이다. 사용처는 폭발물 제작. 최대 소지개수는 100개. * 나뭇잎: 나뭇잎 갑옷 제작 및 불피우기를 할 때 소비된다. 다른 재료 아이템과 달리, 벌목과 제초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된다. 전동휠로 이동하다보면 나뭇잎만큼은 항상 최대로 수급된다. * 전구 : 23년 4월 7일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아래 태양열 집열판과 전선으로 연결해서 빛을 낼 수 있다. * 태양광 패널 : 흔히 아는 태양열 집열판. 23년 4월 7일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상자를 열면 얻을 수 있다. * 머리 : 초기에는 식인종 머리 밖에 없었으나 업데이트로 사슴이나 독수리같은 일부 동물들도 죽이고 해체하면 머리가 드랍된다. 동물 머리는 식인종처럼 썩지 않는다. 식인종 머리는 음식 재료로 쓰이며, 동물의 머리는 머리 트로피에 전시가 가능하다. === 함정 === * 파리채 함정: 전작의 해피 버스데이 함정의 소형화 버젼. 브루츠 급 식인종과 일부 돌연변이를 제외한, 모든 적을 끔살시킨다. 특히 식인종의 경우 함정에 걸림과 동시에 사지가 분해되는 해체쇼가 벌어진다. 캠프 주변에 대량으로 설치할 경우, 돌연변이 패키지 인카운터를 녹여버릴 수 있다. 단, 존 2.0 / 타이탄 / 브루트 / 데몬 과 같은 함정 회피 적은 예외이다. 장전 시, 소진되는 재료는 없음 * 식인종 함정 발동 [[https://youtu.be/O8ST0iBaWqw|#1]] * 돌연변이 아기 함정 발동 [[https://youtu.be/1YK23JhoiE4|#1]] * 뼈제작 함정: 수상하리만큼 나무 막대기가 적게 들어가는 함정. 발동 시, 대상에 불을 붙여서 태운다. 장전 시, 소진되는 재료는 없음 * 물고기 함정: 이름 그대로 물고기를 잡는데 쓰이는 함정이다. 원래는 작동조차 하지않던 장식품이었지만 첫번째 업데이트로 작동되게 패치되었다. 5분 정도의 간격을 두고 한마리씩 스폰시키는 방식이라 주변에 물고기가 없어도 물가라면 안정적으로 물고기를 수급할 수 있다. 켈빈의 물고기 잡이가 너프 먹은 뒤로는 물고기 함정이 더 효율이 좋다. * 스프링 트랩: 밟으면 위로 높이 뛰어오르는 함정. 주로 언덕을 쉽게 오르기 위해 설치해놓는 경우가 많다. 다만, 떨어질때 낙댐을 입으므로 주의하자. 플레이어 캐릭터는 수심이 약간만 깊어도 탑승물에서 하차한 뒤 곧바로 헤엄을 치기 때문에 개울을 건너기 힘든 경우가 많은데 이것을 미리 설치해놓으면 점프로 넘어갈 수 있어서 편해진다. * 호키 포키 트랩: 0.38820 업데이트로 추가된 함정. 통나무 6, 나무 막대 10, 돌 15, 밧줄 3개가 필요하다. 전작의 [[The Forest/서바이벌 가이드 및 건축물#고급 함정(Advanced Traps)|로프 스윙 트랩]]과 동일하게 작동하는 함정. 덫을 건드리면 가시철퇴가 작동해 철퇴에 맞은 모든 대상에게 피해를 가한다. * 사일런트 알람 트랩: 0.39529 업데이트로 추가된 함정. 제작에 전선과 라디오가 필요하며 작동시키면 장시간 동안 강렬한 음악을 재생한다. 적에게 피해를 입히는 트랩은 아니지만 소리를 통해 적의 접근을 사전에 알아낼 수 있다. * 멀티 트랩: 0.41610 업데이트로 추가된 함정. 서바이벌 북에는 기본적으로 없는 청사진이며 황금 갑옷 동굴의 출구 지점에서 쪽지를 얻음으로써 해금된다. === 보관함 === * 건조대 : 사냥으로 얻은 고기는 시간이 지나면 상하는데 건조대에 걸어두면 고기가 건조되어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해당 고기는 DRIED라는 수식이 붙는다. 건조가 가능한 식재료는 고기, 생선, 인육. 건조대에 고기를 걸어둘 때 설산같이 주위에 먹을 것이 풍족하지 않을 경우 동료가 걸어놓은 고기를 먹는 경우가 생긴다.[* 건조대 고기를 먹는 애니메이션은 따로 없는지 버지니아는 걸어놓은 고기는 냅두고 땅의 흙을 파먹는 듯한 모션을 취한다. 허겁지겁 먹는 소리를 내는 것이 압권.] 그러면 고기는 당연히 사라지므로 고기가 건조되었다면 가능한 빨리 회수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너무 오래 말려두면 고기가 상한 버전 텍스쳐가 나오는데 이름은 정상적으로 DRIED가 붙어있다. 회수하면 다시 말린 고기 텍스쳐로 바뀐다. * 갑옷 보관함: 갑옷 10조각을 보관할 수 있는 구조물. 패치 이전은 마네킹이라는 명칭이었으며 아무런 기능도 존재하지 않는 더미데이터였다. * 선반 : 보관함 중 유일하게 제작 시 통나무가 소모된다. 거의 모든 재료들을 보관할 수 있다. === 가구 === * 머리 트로피 : 0.36736 업데이트로 동물 머리와 함께 추가되었다. 나뭇가지 하나면 바로 만들 수 있다. 식인종 머리는 트로피에 걸면 토템과 다르게 썩어버린다는 단점이 있다. * 벽 난로 : 23년 5월 27일 업데이트로 추가되었으며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석재 돌이 필요하다. 이름 그대로 난로 속에서 모닥불을 피우는 것이 가능하다. === 운송 === * 나무 썰매/원목 썰매 : 23년 5월 업데이트로 제작에 추가되었다. 여러 재료들을 다량으로 운반할 수 있으며 원목 썰매가 더 많이 실을 수 있으나 그만큼 제작하는데 필요한 재료가 더 많이 든다. 손잡이 쪽에 E키를 눌러 끌고 다니는 것이 가능해 먼 거리에서 나무나 돌을 운반하는데 유용하다. 바위나 나무에 부딫히면 손에서 떨어지지만 풀이나 작은 나무 정도는 무시하고 제거하기때문에 제초용으로도 꽤 좋은 편. == 기타 아이템 == * 인피 지갑 : 식인종을 처치할 때 일정 확률로 드랍되며, 식인종 리더는 특히 드랍될 확률이 더욱 높다. 뼈갑옷 제작에 필요한 테이프는 매우 높은 확률로 나오며 약, 총알(!) 등 유용한 물건들도 확률적으로 나온다. 이름답게 사람의 피부로 만든듯한 외형을 하고 있으며 여러모로 미완성적인 외형을 하고 있는데 식인종에게서 파밍할 요소를 넣어야 해서 생존팩의 텍스쳐만 변경한 뒤에 급하게 추가한 듯하다. 추후 패치로 외형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 약 : 상자에서 자주 나오며 체력을 100(소모품 효과 하드일 경우 50) 회복시켜준다. 체력은 아이템 사용 후 즉시 회복되지 않고 일정시간에 걸쳐 서서히 회복되며 피해를 받으면 회복이 중단되기 때문에 피격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 뼈 갑옷&기괴한 갑옷 3개나 테크 갑옷 2개를 껴입으면 목숨 1개를 얻는 것과 동일한 효율이 나오기때문에 후반으로 갈수록 쓸모가 없어지는 아이템이다. * 망원경 * 행글라이더 : 정해진 일부 구간에서 발견할 수 있다. 0.33002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첫 전역 아이템이며 전역 아이템은 인벤토리에 넣을 수 없다. 또한 고지에서 들고 이동하면 손에서 떨어지는 등의 버그도 있는 편. * Knight V : 0.34098 업데이트로 추가된 두번째 전역 아이템. 전동휠이라고 주로 불리며 일부 버려진 텐트나 식인종 캠프에서 얻을 수 있다. 전동휠의 속력은 운전자의 실력과 장애물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최고 속력으로 이동시 집라인보다 빠르지만 나무나 바위턱 등에 부딫히면 넘어지는 단점이 있다. 썰매와 마찬가지로 탑승한 채로 떨어지면 낙댐이 아예 없으며 스프링 트랩 작동시 일반 점프보다 훨씬 더 높이 뛰어오르므로 언덕을 오르기 좋다. * 골프 카트 : 0.36736 업데이트로 추가된 세번째 전역 아이템. 조악한 조작감에 공격받으면 강제로 하차하게 되어서 탑승물로서는 상당히 불편하지만 조작감에 익숙해지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heforest2&no=11634&page=1|이런짓도 가능해진다.]] 0.38820 업데이트 패치로 탑승시 1인칭 애니메이션이 추가되었으며 기존에 탑승 가능 인원이 뒷좌석을 포함해 4명까지 증가했다. * 관리 인력 카드 * 손님용 키카드 * VIP 카드 * 빨간 가면 : 3D 프린터 제작으로만 얻을 수 있으며 식인종을 교란시키는데 사용된다. * 황금 가면 * 바다거북 등껍질 : 정착지에 빗물을 저장해 식수 문제를 해결하는 용도로 활용하거나 스프링 트랩을 설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 액션 카메라 : SoF의 스토리텔링이 담긴 짧은 비디오를 볼 수 있는 기기. 현재 최대 4개의 필름 영상을 찾을 수 있다.[[https://sonsoftheforest.fandom.com/wiki/Action_Camera|#]]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ons of the Forest, version=505)] [[분류:Sons of the Forest]][[분류:아이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