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그리스 요리, rd1=수블라키)] [include(틀:슬로우다이브/정규 음반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Souvlaki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Far Out 선정 10대 가을에 어울리는 슈게이징 명반)]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50대 슈게이징 앨범)]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앨범 차트,순위=49)] ---- ||<#fff><:> [[NME|[[파일:NME 로고.svg|width=70]]]] ||<#fff,#1F2023> '''[[NME|{{{#000,#fff NME 선정 역대 최고의 슈게이징 앨범}}}]]'''[br]{{{+5 '''3위'''}}} ||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58)]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2043)] ---- [include(틀: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92)] ---- }}} || ||<-2><#000> '''{{{#fff {{{+1 Souvlak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ttps___images.genius.com_bb87963b8240f24a9896dcef6b7588b0.1000x1000x1.jpg|width=100%]]}}} || || '''발매일''' ||[[1993년]] [[6월 1일]] || || '''장르''' ||[[슈게이징]], [[드림 팝]]|| || '''재생 시간''' ||40:26|| || '''곡 수''' ||10곡|| || '''레이블''' ||[[크리에이션 레코드]]|| || '''프로듀서''' ||[[슬로우다이브]]|| [목차][clearfix] == 개요 == 1993년 6월 1일 발매된 [[슬로우다이브]]의 2집 정규 음반. 수블라키는 닭/양/소 등 다양한 고기로 만드는 그리스의 꼬치 음식 중 하나이며, Souvlaki라는 음반명은 코미디 듀오 The Jerky Boys의 상황극 중에서 나왔는데, 호텔에 전화를 하는 상황에서 지배인이 그리스인인 것을 알게 되자 '내 아내는 그 그리스 놈을 사랑해..그녀는 너의 좆을 수블라키 처럼 빨거야'(My wife loves that Greek shit... She'll suck your cock like souvlaki.)[* cock은 수탉을 뜻하는 단어이자 남성의 음경을 뜻하는 속어로 나타내기도 한다. 즉 이중적 의미를 이용한 언어 유희.]라고 이야기하는 대목에서 따왔다고 한다.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에서는 한때 Soulvaki라고 오기되어있었다. == 평가 ==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ww.allmusic.com/album/either-or-mw0000092082, 점수=★★★★☆)]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11841-just-for-a-day-souvlaki-pygmalion/, 점수=9.3)] [include(틀:RYM, 링크=https://rateyourmusic.com/release/album/slowdive/souvlaki/, 점수=4.11)] 발매 초기에는 호불호가 갈리는 평가를 받았으나, 후에 재평가되면서 현재는 [[슈게이징]]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당시 [[브릿팝]]이 떠오르고 91년의 [[Loveless]]를 끝으로 슈게이징 신이 끝물을 달리던 영국 인디 록 신의 상황이 반영된 것이었다.[* 실제로 이때 당시 CEO였던 앨런 맥기도 슈게이징보다는 [[브릿팝]]에 관심을 가지고 [[오아시스(밴드)|오아시스]]를 영입하였다.] 그렇기에 발매 직후 [[NME]]는 이 음반에 10점 만점에 6점을 주면서 '아름다우나 부족하다' 라고, [[시카고 트리뷴]]에서는 이 음반을 '정말 지루한 음반'이라고 칭하면서 혹평하기도 했으며, 이외에도 여러 매체에서 평가가 극과 극을 달렸으나 후에 앨범의 세련된 편곡과 섬세한 사운드 등이 재평가를 받으면서 90년대 슈게이징의 상징적인 작품 중 하나로 남게 된다. 후대의 [[슈게이징]], [[드림 팝]] 밴드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끼친 앨범이기도 하다. == 트랙리스트 == ||<-3><#000> '''{{{#fff 트랙리스트}}}''' || || '''#''' || '''제목''' || || 1 || Alison || || 2 || Machine Gun || || 3 || 40 Days || || 4 || Sing || || 5 || Here She Comes || || 6 || Souvlaki Space Station || || 7 || When the Sun Hits || || 8 || Altogether || || 9 || Melon Yellow || || 10 || Dagger || [[분류:슬로우다이브]][[분류:1993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슈게이징]][[분류:드림 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