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사이트명의 유래가 된 동명의 현상, rd1=버퍼 오버플로)] ||<-2><#ddd> {{{+1 '''스택 오버플로'''}}} [br] Stack Overflow || ||<-2> {{{#!wiki style="margin: 5%" [[파일:Stack Overflow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Stack Overflow 로고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 '''종류''' ||프로그래밍 Q&A 사이트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언어''' ||영어 || || '''회원가입''' ||선택 || || '''소유''' ||Stack Exchange, Inc. || || '''개설''' ||[[2008년]] [[9월 15일]] || || '''홈페이지''' ||[[https://stackoverflow.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SNS''' ||[[https://twitter.com/stackoverflow|[[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5&theme=dark]]]] [[https://www.instagram.com/thestackoverflow/|[[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officialstackoverflow/|[[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개발자]]들이 [[프로그래밍]]을 하다 막히거나 할 때, 프로그래밍에 대한 질문을 하고 답변을 받는 사이트이다. 웬만한 엘리트 ~~굇수~~ 프로그래머들은 이 포인트/배지 수가 어마어마하다. 규모로는 웬만한 개발자 커뮤니티 중에선 가장 크다고 봐도 무방하다. 답변이 매우 빨리 올라오기 때문에 급한 질문은 여기서 묻는 게 좋다.[* 전 세계에 있는 프로그래머들이 활동을 하기에 새벽에 물어봐도 금방 답변이 올라오는 수준이다.] 하지만 규모가 크기 때문에, 자신이 헤매고 있는 질문에 대한 해답은 '''이미 올라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질문을 올리기보다는 그냥 검색을 해서 답변을 얻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 어느모로 보나 [[선검색 후질문]] 원칙은 여기도 예외가 아님을 기억하자. 디버깅하다가 어떠한 에러/문제에 대해 구글링을 하면 가장 먼저 나오는 웹사이트이기도 하다. 오류 메시지를 자동으로 이 사이트에 검색하는 [[https://github.com/gautamkrishnar/tcso|예외처리 코드]]가 밈으로 존재할 정도. 초기에는 Java 뿐이었으나 2022년에는 다른 언어 코드도 있으니 자신에게 맞는 언어로 쓸 수 있다. 가끔은 코딩 그 자체적인 것뿐만이 아닌 좀 추상적인 내용, 예를 들어 알고리즘이나 해시 보안과 같은 주제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오가기도 한다. 다만 이런 글들은 스택 오버플로가 [[Stack Exchange|스택 익스체인지]] 네트워크의 부속 사이트로 전환된 후 보다 전문적인 답을 원할 경우 [[https://softwareengineering.stackexchange.com/|소프트웨어 공학 스택 익스체인지]]나 [[http://security.stackexchange.com/|정보 보안 스택 익스체인지]]를 방문하고 심화된 알고리즘에 대해 묻고 싶다면 [[https://math.stackexchange.com|수학 스택 익스체인지]] 사이트를 먼저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수학 스택 익스체인지에서 답해주는 수학 문제들은 보통은 [[미적분학]], [[선형대수학]], [[수치해석학]], [[이산수학]] 같이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흔히 공부하는 내용이지만, 간혹 그 수준을 한참 넘어선 고급 과목에 대해서도 질문이 올라오는데 ~~유한 갈루아 확대, 덮개 공간, [[에탈 코호몰로지]], [[스킴(대수기하학)|스킴]] 등등 [[뇌절]]이 따로 없다~~ [[대수기하학]]이나 미분위상수학 같은 야리꾸리한 과목의 야리꾸리한 질문에도 유저들이 답을 달아주기 때문에 컴알못 순수수학도들도 ~~수업 과제가 너무 어려워서~~ 이 사이트만큼은 들락거리는 이들이 많다. 이전에 사이트 분위기가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을 때는 [[http://web.archive.org/web/20090731114625/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34075/what-is-your-best-programmer-joke|이런]] 장난기 있는 글들도 올라오곤 했는데, 답변에 주관성이 개입되는 질문을 하지 않기로 네트워크 전체에 합의가 되고 나서는 이런 질문은 금지되었다. 스택 익스체인지에는 SF 등 프로그래밍 이외의 주제를 다루는 공간도 있다. 능력있는 개발자들이 모이는 공간이다 보니 구인 광고도 많고, 사이트 자체에서 구인/구직 연결 시스템을 점점 키우고 있다. == 유의점 == * '''영어가 안 되면 쓰기 조금 어렵다''' 대부분의 답변들은 코드 스니펫을 올려주고 아래에 설명을 해주거나 친절한 답변은 한줄한줄 세세히 알려주긴 하지만... 영어가 안되면 그 해석들을 읽지 못하고 코드만 따가는 신세가 된다. 그래도 코드를 읽을 수 있을 정도라면 그렇게 크게 부담 갖지 않아도 된다.[* 안 되겠으면 번역기라도 쓰자. 스택 오버플로에도 영어를 완벽히 구사하는 사람들만 있는 건 아니다. 문법이나 스펠링 조금 틀렸다고 태클 걸지는 않으니 부담 갖지는 말자.] 평점 안 좋으면 질문도 막힌다. * '''내가 찾으려는 문제를 이미 누가 물어봤는지 검색해보고 묻는다''' 관련 질의응답이 이미 존재한다면 중복질문이 뜬다. 사람들은 이에 답변을 달아주지 않는 게 보통이며, 친절한 사람은 기존 답변의 링크를 걸어준다. 가끔은 답변 하나를 위해 [[GitHub]] 리포까지 만들어주는 대인배들이 있다. 이때는 감사인사도 좋지만 스택 오버플로에는 Pay it forward, 감사합니다라는 말 대신 누군가 도움을 구했을 때 기꺼이 도와주는 문화가 있어, 다음에 누군가를 도와주기를 바란다. * '''최대한 스스로 시도해본 뒤 안 되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질문한다''' '이거 이거 모르겠는데, 혹은 안 되는데 어떻게 해야 되죠?'도 먹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핑거 프린세스|자신이 알아보려 하지도 않는 작태]]를 싫어하는 분위기가 있기 때문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해볼 수 있는 건 다 해본 다음에 그럼에도 풀리지 않는다면 자신의 코드, 개발환경 스펙, 시도해본 방법 등을 함께 올린다면 핑프 느낌이 들지 않기 때문에 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도와주러 온 상대방의 컴퓨터에서도 해당 오류를 재현할 수 있게 해야 하며, 질문이 부정확하거나 무엇을 물어보는 건지 설명을 확실히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강제수정[* 마치 위키처럼 타 유저가 질문의 정확도를 높이려고 조금의 수정을 해 주는 것은 가능하다.] 당하거나 타 유저들에게서 까인다. 만약 자신이 쓴 글이 downvote를 받았더라도, 해당 글을 삭제하면 총점은 회복된다. 점수가 까였다면 보통 그 사유를 상단에 알려주기 때문에 속상해하지 말고 올바른 답을 찾았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애초에 외국 형님들한테 욕먹을 각오하고 배우는 거다~~ * '''이미 있는 질의응답을 맹신하는 것은 의외로 좋지 않다''' 스택 오버플로에서 '이런 이런 이유 때문에 구현이 힘들다'라고 했는데, 막상 구글링하면 방법이 있는 경우도 태반이다.[* 어떤 경우에는 스택 오버플로 내 전혀 다른 질문에서 원하는 답을 찾는 경우도 있다.] 이는 스택 익스체인지 네트워크 전체의 문제점이기도 하다. * '''답변을 달 때는 자신이 알고 있는 선에서 최대한 자세하게, 질문자와 같은 문제를 겪는 사람들이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예시를 올린다''' 한국 프로그래밍 커뮤니티에서는 (00으로 검색해 보세요 같이) 답변으로 구글링할 수 있는 키워드 하나만 던져주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 그대로 했다가 불친절하다고 비추천 세례를 받을 수 있으니 조심하자. 해당 링크 정도는 걸어주고, 그대로 따라하라던지 어떤 부분을 바꿔서 써보라던지 등 조언을 덧붙여서 답하자. == 이곳을 이용하는 유명인 == 대표적으로는 '''[[구글]]'''에 재직중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존 스킷이 있다. 스택 오버플로의 사용자 평가 전체 1위(2021년 기준).[[https://stackoverflow.com/users/22656/jon-skeet|Jon Skeet 사용자 문서]] [[C\#|C#]] 전문가이며 'C# in Depth'를 저술하기도 했다. 스택 익스체인지 내에서 이미 그의 이름은 하나의 밈이 되었으며, [[척 노리스/사실]]처럼 존 스킷에 대한 사실(John Skeet Fact)도 만들어졌다(...). [[http://kenial.tistory.com/m/880|번역본(링크 내 원본 포함)]] 우리말로 비유하면 존스킷[[피셜]]이 된다. 약간은 다른 차원의 유명인으로는 [[https://en.wikipedia.org/wiki/Lyndsey_Scott|Lyndsey Scott]]이라는 패션 모델[* 위키피디아에서는 아예 모델 겸 모바일 전문 프로그래머라고 소개하고 있다.]이 있다. [[빅토리아 시크릿]] 무대에도 설 정도로 꽤나 유명한 모델이지만 [[Python]], [[C++]], [[Java]], [[MIPS]], [[Objective-C]]를 다룰 수 있다고 한다.[* 이 정도면 전문 프로그래머 수준에서도 대단히 많은 언어를 다룰 줄 아는 것이다. 폴리글랏(Polyglot) 프로그래밍의 시대라지만 각 언어 하나하나를 깊게 꿰뚫고 있는 진짜 폴리글랏 프로그래머는 많지 않다. 자세한 내용은 [[프로그래밍 언어#오해]] 문서 참고.] 패션 모델이 5개의 개발 언어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아무래도 믿기 힘든 편이었고 허풍이라고 비난하는 이들까지 생기자[* '기껏해야 [[Hello, world!]]나 찍을 수 있겠지' 하는 식이었다.] 이 스택 오버플로 사이트의 엄청난 상위 수준의 이용자임을 인증하여 반박한 바가 있다. [[http://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39104072|사건 정리.]] [[https://stackoverflow.com/users/2274694/lyndsey-scott|Lyndsey Scott의 사용자 소개 문서.]] == 기타 == 짝퉁 사이트로 qastack이 있는데, 해당 웹사이트의 일부 페이지를 구글번역해서 크롤링 하는 페이지다. 이 사이트의 정체는 불분명. 도메인 정보를 보면 서버는 독일에 있다고 나온다. 다만 CC라이센스상 단순 미러링 사이트라는 의견이 있다. [* [[https://github.com/danny0838/content-farm-terminator/issues/42|참조]]. 중국어->영어번역/파파고 중국어 한국어 번역 참고.] qastack 말고도 stackoverrun, python2.net 같이 이상한 번역을 시전하는 사이트들이 정말 많다. 이런 사이트들을 검색 결과에서 숨기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검색어에 {{{-site:사이트 이름}}} 을 매번 붙여주거나, 광고 차단 확장 프로그램의 [[https://github.com/RyuaNerin/only-stackoverflow|플러그인]]을 사용하면 된다. [[잡코리아]]처럼 일자리 또한 알려주는 편이다. 외국계 기업에 관심이라도 있다면 한번 리스트를 구경해도 좋다. [[북한]]에서도 쓴다. 북한의 [[정보전사]]들이 해킹이나 소프트웨어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접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분류:프로그래밍]][[분류:Q&A 사이트]][[분류:취업 관련 사이트]][[분류:2008년 설립]][[분류:미국의 웹사이트]]